• 제목/요약/키워드: RESTING

검색결과 2,009건 처리시간 0.029초

Biodesulfurization of Dibenzothiophene and Its Derivatives Using Resting and Immobilized Cells of Sphingomonas subarctica T7b

  • Gunam, Ida Bagus Wayan;Yamamura, Kenta;Sujaya, I. Nengah;Antara, Nyoman Semadi;Aryanta, Wayan Redi;Tanaka, Michiko;Tomita, Fusao;Sone, Teruo;Asano, Koz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473-482
    • /
    • 2013
  • The desulfurization ability of Sphingomonas subarctica T7b was evaluated using resting and immobilized cells with dibenzothiophene (DBT), alkyl DBTs, and commercial light gas oil (LGO) as the substrates. The resting cells of S. subarctica T7b degraded 239.2 mg of the initial 250 mg of DBT/l (1.36 mM) within 24 h at $27^{\circ}C$, while 127.5 mg of 2-hydroxybiphenyl (2-HBP)/l (0.75 mM) was formed, representing a 55% conversion of the DBT. The DBT desulfurization activi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queous-to-oil phase ratio. In addition, the resting cells of S. subarctica T7b were able to desulfurize alkyl DBTs with long alkyl chains, although the desulfurization rat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total carbon number of the alkylated DBTs. LGO with a total sulfur content of 280 mg/l was desulfurized to 152 mg/l after 24 h of reaction. Cells immobilized by entrapment with polyvinyl alcohol (PVA) exhibited a high DBT desulfurization activity, including repeated use for more than 8 batch cycles without loss of biodesulfurization activity. The stability of the immobilized cells was better than that of the resting cells at different initial pHs, higher temperatures, and for DBT biodesulfurization in successive degradation cycles. The immobilized cells were also easily separated from the oil and water phases, giving this method great potential for oil biodesulfurization.

수온에 따른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Pallas의 성장과 내구란 생산 (Growth and Production of Resting Eggs of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Pallas at the Different Temperatures)

  • 박흠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79-784
    • /
    • 1998
  • 수온에 따른 담수산 rotifer, B. calyciflorus의 성장률과 내구란 생산을 조사하였다. 담수산 rotifer배양은 250ml flask에서 먹이로 농축 담수산 Chlorella를 공급하였다. Rotifer의 성장률은 수온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지만 최고밀도는 $20^{\circ}C$를 제외하고 수온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내구란 생산은 $26^{\circ}C$ 전후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총 내구란 생산과 rotifer $10^4$개체당 내구란 생산은 $20^{\circ}C$에서 각각 157개/ml와 810개/ml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담수산 rotifer, B. calyciflorus는 $30^{\circ}C$에서 성장률이 높기 때문에 대량배양에 아주 효과적이며, 수온 $26^{\circ}C$에서 내구란을 생산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Resting Time and Trial on the Maximal Grip Strength

  • Kwak, Doo-Hwan;Lee, Kyung-Sun;Kwag, Jong-Seon;Jung, Myung-Chul;Kong, Yong-Ku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81-387
    • /
    • 201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ximal grip strength for the combinations of resting time and trial and to provide guideline of resting time for the maximum gripping task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trials. Background: Despite many previous researches for the maximal grip strength, few studies have considered the effect of both trials and rest time on the maximum grip strength. Methods: A total of thir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average of maximum grip strength was measured using JAMAR hydraulic hand dynamometer. The testing position was same as the position recommended by the American Society of Hand Therapists. The between-subject experimental design has been conducted in this study. Trials(1~20 trials) and rest time(2, 3, and 4min) were consid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maximum grip strength was considered as dependent variable, respectively, in this study.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number of trials, the maximal grip strength decreased gradually as the number of trials increased. The ANOVA result showed that the main effect was significant for both resting time(p<.0001) and trial(p<.0001), and the interaction was significant(p<0.0086). Conclusions: The maximal grip strength decreased gradually as the number of trials increased. Thus, basic guideline of resting time was suggested for the number of trials of maximal grip strength tests in this study.

어린이병원 외래진료부 이용자의 대기 및 휴게행태 연구 - 장애 및 비장애 어린이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Waiting and Resting Behaviors of Children in the Outpatient Clinic of a Children's Hospital -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

  • 조민정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3권12호
    • /
    • pp.41-52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aiting and resting behaviors of children within a restorative healthcare facility design. In particular, the aim is to compare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reve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uses of design facilities, related to positive distraction, for restoration in the hospital. Three major common spaces for outpatients in S children's hospital in Seoul were examined including the main lobby and two waiting and resting spaces in the pediatric and rehabilitation medicine departments, respectively. A total of 155 children under the age of 12-67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88 without-were observed while they waited and rested at the three spaces before or after doctors' examination. Basic demographic information and waiting and rest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sabled children were more restricted in terms of space, facilities used, and social behaviors. However, regardless of disabilities, the children showed more positive distractions related to cognitive and social behaviors in areas where restorative design elements such as an aquarium, garden, or visual images were available. Based on the results, design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strengthen positive distrac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to foster the restorative quality of the spaces for waiting and resting in the children's hospital.

호텔 실내공간 색채이미지에 대한 이용자의 감정과 행동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Behavior of User's with the Color Images of Indoor Space in Hotels)

  • 김수희;김봉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2호
    • /
    • pp.67-7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behavior with the color images of indoor space in hotels. The study methods evaluation experiments of emotion and behavior with computer graphic image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lor image according to the indoor spa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ser's emotions. Lobby and restaurant had difference in pleasure arousal emotion by color image, and also guest room had difference in pleasure dominance emotion by color image. Second, The color image according to the indoor spa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ser's behavior. Also lobby and restaurant had difference in movement hobby eating resting behavior by color image, and guest room had difference in hobby eating resting behavior by color imag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user's emotions on the behavior according to the indoor space: In the lobby, the more un-arousal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hobby resting behavior increasing. And the more dominance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movement hobby eating resting behavior increasing. In the restaurant, the more dominance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movement eating hobby behavior increasing. The more arousal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movement resting behavior increasing. The more un-arousal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hobby eating behavior increasing. In the guest room, the more un-arousal dominance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hobby eating resting behavior increasing. And also the more arousal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movement behavior increasing.

유산소운동과 diacylglycerol 섭취가 비만인의 혈중 지질성분 및 안정 시 대사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Effect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and Diacylglycerol Ingestion on Blood Lipid Profiles and Resting Metabolic Rate Changes in Obese Man)

  • 이문열;백일영;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61-1267
    • /
    • 2010
  • 본 연구는 체지방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diacylglycerol (DG) 섭취와 유산소운동이 체구성비의 변화 및 혈중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안정 시 대사량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임상적 및 대사적 측면에서 비만 개선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의학적으로 다른 질병을 동반하지 않은 비만 남자 대학생으로서 연구의 의의를 충분히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사람으로 선정하였으며, 체지방 측정 후 25%미만인 자와 흡연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기본검사와 사전검사가 끝난 후 세가지(D, E, DE) 집단에 6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첫 번째 실험군(D)은 diacylglycerol 섭취 조건으로 12주 동안 diacylglycerol을 섭취하였고, 두 번째 실험군(E)은 12주 동안 러닝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 세번째 실험군(DE)은 12주 동안 diacylglycerol 섭취와 유산소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결과 모든 그룹에서 12주 동안의 그룹별 처치가 진행됨에 따라 체지방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안정 시 대사량은 D그룹을 제외하고 모든 그룹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운동과 다이아실글리세롤 섭취에 따라 콜레스테롤의 감소가 일어났다. 추후 카테콜라민, CAMP, HSL, Insulin 등과 같은 지방대사와 관련된 항목들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이루어짐으로써, DG섭취와 트레이닝의 비만개선효과를 보다 신뢰성 높게 예측할 수 있으리라 본다.

먹이에 따른 한국산 S-tyo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의 내구란 생산과 부화율 (Production and Hatching Rate of Resing Egg of Korea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S-type) with Different Diets)

  • 박흠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29-337
    • /
    • 1996
  • 한국산 rotifer, B. plicatilis, S-type를 대상으로 식물부유생물, 농축 Chlorella 및 효모류에 대한 내구란 생산과 먹이 종류에 따라 생산된 내구란의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4 종류(Chlorella ellipsoidea, Nannochloris oculata, Tetraselmis suecica, Pavlova lutheri) 가운데 N. oculata는 3,760개/20 ml로 가장 많은 내구란을 생산하였다. 그러나 식물부유생물 종류에 따른 부화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9 종류의 농축먹이(유지효모, 빵효모, 두 종류의 해수산 농축 냉장 Chlorella, 해수산 냉동 Chlorella, 냉동 해수산 Chlorella ($70\%$)+ 빵효모($30\%$), 냉동 해수산 Chlorella ($30\%$)+ 빵효모($70\%$), 두 종류의 냉장 담수산 Chlorella)에서 내구란 생산이 가장 많은 먹이는 냉동 Chlorella($30\%$)+빵효모($70\%$)와 냉장 담수산 Chlorella에서 각각 283개/ml로 나타났다. Rotifer $10^4$개체와 건조 먹이 1 mg당 내구란 생산은 냉동 Chlorella ($30\%$)+빵효모($70\%$)에서 각각 5,566개와 2,131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농축 먹이에 따른 내구란의 부화율은 유지효모가 $67.4\%$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 경제적인 내구란 생산을 위하여 빵효모와 농축 냉동 Chlorella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산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L과 S-type)의 내구란 대량생산 (Mass Production of Resting Egg of Korea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L and S-type))

  • 허성범;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45-351
    • /
    • 1996
  • 한국산 B. plicatilis, L-type rotifer와 S-type rotifer의 내구란 대량생산은 L-type rotifer의 경우 15일 동안 농축 Chlorella + 빵효모 혼합구와 빵효모 단독구로 하였고 S-type rotifer는 7일동안 1 $m^3$ 수조에서 농축 Chlorella로, $6{\~}8$일 동안 4 $m^3$ 수조에서 냉동 농축 Chlorella + 빵효모로 대량생산하였다. L-type rotifer 내구란 대량생산 실험에서 농축 Chlorella + 빵효모 혼합구가 총 내구란 생산 $54.5{\times}10^6$개, $10^{8}$ rotifers 당 내구란 생산 $30.5{\times}10^6$개, 먹이 건조 중량 1g 당 내구란 생산 $100{\times}10^3$개로 빵효모 단독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S-type rotifer의 내구란 대량생산은 4 $m^3$ 수조에서 냉동 농축 Chlorella + 빵효모를 먹이로 총 내구란 생산 $149{\~}567{\times}10^6$개, $10^{8}$ rotifers당 내구란 생산 $36{\~}123{\times}10^6$개, 먹이 건조 중량 1 g당 내구란 생산 $131{\~}338{\times}10^3$개를 생산하여 1 $m^3$ 수조에서 농축 Chlorella를 단독 먹이로 생산한 경우 보다 높았다.

  • PDF

Flusulfamide입제에 의한 배추무사마귀병의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Flusulfamide GR on Chinese Cabbage Clubroot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 장현철;이선욱;김점순;윤여순;최근숙;김학기;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43-47
    • /
    • 2005
  • Flisulfamide 입제의 포장에서 방제효과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강릉신의 배추 뿌리혹병에 오염된 고랭지 포장에서 본 시험을 진행하였다. Flisulfamide 입제는 84.6% 의 방제가로 무처리구와 기타 대조약제에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면포자의 감소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포장의 모든 처리구의 각 반복당 임의의 5개 지점에서 약제 처리 전 토양과 약제 처리 후 토양을 채집하여, 토양내의 휴면포자의 밀도를 조사하였다. 처리 전 시험 포자으이 휴면포자 밀도는 균일하지 않았으므로 포장 시험시 처리전 휴면포자 밀도의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휴면포자의 감소율을 조사한 결과, flisulfamide 분제와 입제를 처리한 후 휴면포자 밀도는 처리전에 비하여 63.7% 와 64.2% 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방제효과와 휴면포자의 감소율간에는 유효적인 상관관계가 있게 나타났다. 그리고 약제 처리에 의한 수확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약제 처리 45일 후, 각 처리구에서 20주의 배추를 수확하여 지상부 무게를 측정하였다. Flisulfamide 분제, fluazinam 분재와 flisulfamide 입제의 처리구에서 수확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14.3%, 13.8%와 13.0% 의 수확량 증가율을 나타냈고, trifloxystrobin 액상수화제의 처리구에서 수확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3.8%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대조구를 포함한 각 처리평균간에는 통계적 유의성(P=0.05)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flisulfamide 입제가 배추 뿌리혹병의 방제에 있어서 우수한 방제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휴면포자의 밀도를 감소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뇌신호 주파수 특성을 이용한 CNN 기반 BCI 성능 예측 (Prediction of the Following BCI Performance by Means of Spectral EEG Characteristics in the Prior Resting State)

  • 강재환;김성희;윤주상;김준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9권11호
    • /
    • pp.265-272
    • /
    • 2020
  • 뇌파를 이용한 Brain-computer interface (BCI) 연구에서는 다른 그룹보다 그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소위 BCI-illiteracy 그룹이라고 알려진 사용자 집단에 대한 이해와 처리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용자로부터 사전 휴지 상태의 뇌파 신호를 미리 측정하고 그 신호로부터 주파수 기반의 특징 변수를 생성하여 이를 피험자 개인의 특성 변수로 사용하고, 추정된 개인 특성 변수를 이용하여 이후 움직임 상상 패러다임이 적용된 BCI 시행의 성능과 어느 정도의 정량적 연관성을 가지며 이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검증된 공개 뇌파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 Convolution neural network 기반의 딥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이진 BCI 성능 계산을 실시하였으며 Lasso 정규화가 적용된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서 각 특징 변수와의 예측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로 휴지 상태 뇌파 모든 특징 변수들과 BCI 성능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전통적인 통계 방법들을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서 전두엽에서 측정된 뇌파 신호들의 13 Hz를 기준으로 이보다 낮은 주파수와 높은 주파수 파워 간의 비율이 BCI 성능 사이와 통계적 유의미한 높은 상관성이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상대 주파수 비율 값이 BCI 성능을 예측해볼 수 있는 좋은 지표 후보군으로 지정하였다. 두 번째로 Lasso를 이용한 회귀 분석을 통해서 휴식 상태의 상대 주파수 비율 변수를 이용하여 BCI 성능 사이에 최대 선형 계수 0.544 수준의 선형 관계를 찾을 수 있었으며, BCI 과제를 잘 시행할 수 있는 그룹과 못할 그룹을 AUC 0.817 수준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사용자마다 측정된 휴지 상태의 뇌파로부터 앞으로 있을 BCI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 제시함으로써 일반인을 대상으로 좀 더 신뢰성 있고 응용 가능한 BCI 시스템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