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수면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4초

기면병과 렘수면행동장애에서의 렘수면 뇌파 스펙트럼 분석 (Spectral Analysis of REM Sleep EEG in Narcolepsy and REM Sleep Behavior Disorder)

  • 김형일;정도언;박광석
    • 수면정신생리
    • /
    • 제15권1호
    • /
    • pp.33-38
    • /
    • 2008
  • 목 적 : 기면병과 렘수면 행동장애(RBD)에서 모두 신경 퇴행적 과정이 존재할 가능성과 함께 두 질환의 증상 사이에 공통점이 있다는 제안이 많이 있었다. 이 연구는 두 렘수면 관련 질환에서 스펙트럼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렘수면 뇌파의 미세 차이에 관해 살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기면병과 RBD 각 군에서 9명씩 성비를 맞추어 분석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각각의 분석대상자의 세 개의 렘수면 주기에서 각각 연속된 세 수면단위를 골라 한 사람당 9개의 수면단위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델타파 영역에서는 그 비율이 기면병군에서 RB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알파파(p=0.02)와 베타 2영역($20{\sim}50\;Hz$)에서는 RBD군에서 기면병보다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서파수면은 기면병에서 많았으나 양군간에 렘수면 분율의 차이는 없었다(p=0.93). 결 론 : 기면병의 렘수면에서 RBD에 비해 델타파의 비율이 높은 양상은 수면촉진기전이 기면병에서 좀 더 우세하게 작용하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 PDF

수면다원기록(睡眠多元記錄)으로 확인(確認)된 급속수구운동수면(急速眼球運動睡眠) 행동장애(行動障碍) 1례(例) (A Case of REM Sleep Behavior Disorder Confirmed with Polysomnography)

  • 정도언;윤인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1권1호
    • /
    • pp.99-106
    • /
    • 1994
  •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REM sleep behavior disorder which occurred in a 69-year-old business man. He began experiencing episodic "acting out" behavior of his dream at the age of 66. The episodes tended to be associated with dream contents, mainly being chased or threatened. Before that, his sleep was relatively quiet despite occasional nightmares, midsleep arousal, and shallowness. Injuries resulted from leaping out of bed, jumping onto furnitures, and grabbing and biting the spouse's arm. Most recent dream-incurred laceration of chin required 5 sutures. Medical and psychiatric history revealed no significant findings except that he had been overanxious all his life within himself with others' reputation of himself as pleasant and easy-going. A nocturnal polysomnogram showed repeatedly intermittent increase of chin and/or leg muscle tones during otherwise characteristic REM sleep period. The overnight video recording revealed head lifting and limb movements during REM sleep periods. Brain MRI and EEG were normal. Job-related stress was presumed to be an etiological possibility. Clonazepam 0.25-0.5mg nightly almost completely relieved the symptoms.

  • PDF

렘수면행동장애와 악몽 (REM Sleep Behavior Disorder and Nightmares)

  • 윤인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2권1호
    • /
    • pp.3-12
    • /
    • 1995
  • I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ICSD), REM sleep behavior disorder(RBD) and nightmares are classified as 'parasomnias usually associated with REM sleep'. RBD can be defined as the intermittent absence of REM sleep EMG atonia and the appearance of the elaborate motor activity associated with dream mentation. Bilateral pontine tegmental lesions in cats induce RBD-like behavior, but in human cases, more than 60% are idiopathic. Polysomnograpy shows characteristic findings in REM sleep and treatment with clonazepam is highly effective. With nightmares as long, frightening dream decreasing with age, their persistence or apperance in adults is related with certain drugs, trauma, personality and psychotic episode. Psychotherapy, behavior techniques or medication is used for treatment, but all of nightmares do not require treatment.

  • PDF

쾌적침대개발을 위한 종합수면생리신호 분석

  • 김원식;박세진;윤영로;김건흠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90-195
    • /
    • 1997
  • Medilog SAC847 수면종합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침대와 온돌에서 성인 남 자가 수면시 피험자의 뇌전도, 턱근전도, 다리근전도, 심전도, 안전도(눈) 등의 생리신호를 동시 측정하여수면단계기록국제기준에 근거하여 NREM 4단 계와 REM 단계의 수면시간을 산정 하였다. 수면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침대 와 온돌에서 수면시 입면지연시간과 NREM 단계4의 수면시간 비중을 고찰한 결과 침대수면이 온돌수면보다 입면지연 시간이 더짧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NREM 4단계와 REM 단계에 소요된 수면시간은 서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수면생리신호 분석연구는 쾌적침대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유력 렘수면 행동장애 환자 유병률과 임상 양상-오산시 역학 연구 (Prevalence and Clinical Features of Probable REM Sleep Behavior Disorder-An Epidemiological Study in Osan City)

  • 최영민;윤인영;김기웅;이상돈;주가원;박준혁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1호
    • /
    • pp.23-28
    • /
    • 2011
  • 목 적: 렘수면 행동장애는 기존 역학 연구에서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유력 렘수면 행동장애의 유병률과 임상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오산시에 거주중인 60세 이상 노인 14,050명 중 1,588명이 임의추출을 통해 표본 집단으로 선정되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렘수면 행동장애 선별 설문지로 선별검사를 시행했다. 선별 설문지 점수가 5 이상인 집단은 수면의학 전문가가 직접 개별 면담평가를 시행했다. 결 과: 14,050명의 모집단 중 886명이 1차 선별평가를 마쳤다. 선별검사 설문지 점수가 5 이상인 145명 중 123명이 2차 진단평가를 받았다. 이중 11명이 유력 렘수면 행동장애로 진단되었고 유병률은 1.5%(95% CI=0.70-2.30%)로 나왔다. 우울과 인지기능 저하의 빈도가 유력 렘수면 행동장애 진단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유력 렘수면 행동장애는 노년층에서 드물지 않은 질환이지만 이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실정이다. 유력 렘수면 행동장애의 평가와 치료에 대한 관심이 더욱 요구된다.

경계성 인격 장애 환자의 수면 (Sleep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ndividuals)

  • 이소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2호
    • /
    • pp.59-62
    • /
    • 2012
  •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is characterized by identity and interpersonal problem, affective dysregulation and pervasive severe impulsivity. Although sleep disturbances are not primary symptoms of BPD, they are important aspects of this disorder. However, clinicians and researchers did not give much attention to the sleep symptoms of BPD yet. Measured by nocturnal polysomnography, increased sleep latency as well as reduced total sleep time and sleep efficiency, and 'depression-like' REM abnormalities (i.e., reduced REM latency and increased REM density) are found in BPD patients. Co-morbid sleep disorders such as chronic insomnia, nightmare disorder or 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 associated with BPD have been reported. Clinicians should focus on the sleep complaints of BPD patients, and carefully manage such symptoms with sleep hygiene education, cognitive psychotherapy or light therapy.

심박동변이도 분석을 이용한 수면단계 분류 (Classifying sleep stages by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 김원식;박세진;장승진;장학영;최형민;이상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9-210
    • /
    • 2009
  • 수면단계는 수면감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생리지표로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수면다원검사를 이용한 전통적 수면단계 분류방법은 뇌전도, 안전도, 심전도, 근전도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므로 수면단계를 비교적 정확히 분류할 수 있지만 피험자에게 심한 구속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성상태에서 교감신경계가 지배적인 반면에 수면 중에는 부교감신경계가 더 활동적인 점에 착안하여 수면단계를 간단히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수면단계에 따른 심박동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를 분석하였다. 단일채널 심전도를 이용하여 수면단계별로 HRV 의 교감신경계/부교감신경계 활성도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W(wakefulness) 단계가 NREN(non REM) 2 단계, 3 단계, 4 단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NREM 4 단계는 REM(rapid eye movement) 단계와 NREM 1단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또한 교감신경계/부교감신경계 활성도 비율의 수면단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은 W, REM, NREM 1, 2, 3, 4 단계의 순으로 단조 감소하였다.

  • PDF

수면과 통증 (Sleep and Pain)

  • 이진성;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2호
    • /
    • pp.63-67
    • /
    • 2012
  •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sleep and pain has been reported by numerous studies. Patients with acute or chronic pain often complain of difficulty falling asleep, frequent awakenings, shorter sleep duration, unrefreshing sleep, and poor sleep quality in general. According to the majority of the experimental human studies, sleep deprivation may produce hyperalgesic changes. The selective disruption of slow wave sleep has shown this effect more consistently, while results after selective REM sleep deprivation remain unclear. Patients with chronic pain have a marked alteration of sleep structure and continuity, such as frequent sleep-stage shifts, increased nocturnal awakenings, decreased slow wave sleep (SWS), decreased rapid eye movement (REM) sleep, and alpha-delta sleep. Many analgesic medications can alter sleep architecture in a manner similar to the effects of acute and chronic pain, suppressing SWS and REM sleep.

수면과 알코올 (Alcohol and Sleep)

  • 박두흠;유재학;유승호
    • 수면정신생리
    • /
    • 제13권1호
    • /
    • pp.5-10
    • /
    • 2006
  • Alcohol has extensive effects on sleep and daytime sleepiness. Alcohol has a sleep inducing effect and the effect of increased non-REM sleep and suppressed REM sleep during the first half portion of night sleep, but alcohol induces the effect of decreased non-REM sleep and increased light sleep and frequent awakenings and REM rebound during the second half portion of night sleep. Alcohol provokes chronobiological change such as the changes of amplitude or the phase shifts of hormones or core body temperature. The sleep disruption resulting from alcohol drinking may lead to daytime fatigue and sleepiness. The elderly are at particular in the increased risk of alcohol-related sleep disorders because they achieve higher levels of alcohol in the blood and brain than do younger adults after consuming an equivalent dose. Bedtime alcohol consumption among older adults may lead to unsteadiness if walking is attempted during the night, with increased risk of falls and injuries. Continued alcohol use for sleep induction often induces aggravation of insomnia, alcoholism or sleep related breathing disorders such as obstructive sleep apnea. Alcohol should not be used as substitution of sleep pill because of the dependence and tolerance for sleep inducing effect, and the sleep disruption produced by alcohol withdrawal.

  • PDF

수면단계 자동분류를 위한 심박동변이도 분석 (Analyzing Heart Rate Variability for Automatic Sleep Stage Classification)

  • 김원식;김교헌;박세진;신재우;윤영로
    • 감성과학
    • /
    • 제6권4호
    • /
    • pp.9-14
    • /
    • 2003
  • 수면단계는 수면감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생리지표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수면다원검사를 이용한 전통적 수면단계 분류방법은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 EEG), 안전도(electrooculogram : EOG), 심전도(electrocardiogram : ECG), 근전도(electromyogram : EMG)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므로 수면단계를 비교적 정확히 분류할 수 있지만 피험자에게 심한 구속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성상태에서 교감신경계가 지배적인 반면에 수면 중에는 부교감 신경계가 더 활동적인 점에 착안하여 수면단계를 간단히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수면단계에 따른 심박동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 HRY)를 분석하였다. 이 실험에는 건강한 대학생 6명이 2일씩 전체 12회의 야간수면에 참여하였다. 수면다원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피험자들이 수면을 취하고 있는 동안, EEG, EOG, ECG, EMG(턱 및 다리)를 측정하여 수면단계를 "Standard scoring system for sleep stage"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하였다. 그런 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작된 Sleep Data Acquisition/Analysis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면다원검사 장치로부터 ECG신호만 추출하여 HRV의 전력스펙트럼을 3개의 영역[저주파수대역(low frequency : LF), 중간주파수대역(medium frequency : MF), 고주파수대역(high frequency : HF)]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단일채널 ECG를 이용하여 수면단계별로 HRV의 LF/HF를 분석한 결과, W(wakefulness)단계가 2단계에 비하여 325%높게(p<.05), 3단계에 비하여 628%높게(p<.001), 4단계에 비하여 800%높게(p<.001) 나타났으며, 4단계는 REM(rapid eye movement)단계에 비하여 427% 낮게(p<.05), 1단계에 비하여 418% 낮게(p<.05) 나타났다. 또한 LF/HF가 수면단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은 W, REM, 1, 2, 3, 4단계의 순으로 단조 감소하였다. 한편, 수면단계별 MF/(LF+HF)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표본집단의 기술통계치를 살펴본 바 REM단계와 3단계의 평균치가 가장 높았다.치가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