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502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18초

우리나라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생리(生理) 및 생태학적(生態學的) 특성(特性) -제(第)III보(報)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질소고정효율 및 Nitrate reductase 특성(特性)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Distributed in Korea -III. Symbiotic Effectiveness and Nitrate Reductase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 류진창;서장선;이상규;박준규;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3-53
    • /
    • 1987
  • 전보(前報)에 이어 토양별(土壤別)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분포(分布), 질소고정효율(窒素固定效率) 및 Nitrate reductase 특성(特性)을 비롯하여 동일(同一)한 토양조건(土壤條件)에서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과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친화성(親和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 중 대두근류(大豆根瘤)를 형성(形成)할 수 있는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은 $0.9{\sim}42.4{\times}10^3\;cells/g$ soil 범위(範圍)로서 토양간(土壤間)에 상이(相異)하였고 특(特)히 석회암토양(石灰岩土壤)에서 균밀도(菌密度)가 높았다. 2. 토양별(土壤別) 질소고정효율(窒素固定效率)은 대두연속재배지(大豆連續栽培地) 및 석회암토양(石灰岩土壤)에서 높았으며, 토착근류균수(土着根瘤菌數)가 많았던 토양(土壤)에서 질소고정효율(窒素固定效率)도 많은 경향(傾向)이있다. 3. 대두근류(大豆根瘤)의 bacteroid에서 질소고정효소(窒素固定酵素)와 질산환원효소(窒酸還元酵素)와의 상호관계(相互關係)에서 TNA와 NRA간(間)에는 유의(有意)한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r=-0.52^*$)를 보였으나 SNA와 NRA과는 대두근류(大豆根瘤)의 분리원간(分離源間)에 2개군(個群)으로 구분(區分)되었다. 4. 동일(同一)한 토양조건(土壤條件)에서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과 대두품종간(大豆品種間) 친화성(親和性)은 품종간(品種間)에 상이(相異)하였으며 질소고정효율(窒素固定效率)이 높았던 품종(品種)은 장엽(長葉) 및 광교(光敎)로 나타났다.

  • PDF

110kg 대비 130kg에 도축된 비육돈의 성장효율, 도체 품질 특성 및 수익성 (Growth Efficiency, Carcas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ofitability of Finishing Pigs Slaughtered at 130 vs. 110Kg)

  • 이철영;권오천;하덕민;신호원;이제룡;하영주;이진희;하승호;김원기;김광위;김두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493-502
    • /
    • 2006
  • 양돈에 있어서 도살체중은 가장 중요한 경제 요인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성장효율과 도체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비육돈의 도살체중을 130kg으로 증가시킬 수 있을 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착수되었다. 경남 지역에서 비육돈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있는 정육형 (Yorkshire×Landrace)×Duroc(YLD) 3원 교잡종 암퇘지 160두와 거세돼지 160두를 생체중 90kg에 선발하여 2(성)×2(도살체중; 110 vs. 130kg) ‘factorial’ 실험설계 하에 16돈방에 배치하였다. 공시돈에게는 3,200kcal/kg의 가소화 에너지와 15.5%의 조단백질을 함유하는 공시사료를 무제한 급여하였고, 계획된 체중에 도달하였을 때 도축하여 부분육 수율과 배최장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당증체량은 거세돼지가 암퇘지보다 높았으나(0.86 vs. 0.79kg; P<0.01) 110kg 대비 130kg 도살체중 구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0.83 vs. 0.81kg; P>0.05). 등지방두께는 암퇘지와 거세돼지 공히 130kg 도살체중 구가 110kg 도살체중 구보다 높았다(암: 17.6 vs. 21.6mm, 거세: 20.8 vs. 25.1mm). 정육중 삼겹살 비율은 거세돼지가 암퇘지보다 높았고(21.2 vs. 20.5%) 130kg 도살체중 구(21.4%)가 110kg 도살체중 구(20.2%)보다 높았다. 배최장근의 색깔, 48󰠏시간 육즙삼출율, 24󰠏시간 pH,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 등의 이화학적 특성은 두 성간 혹은 두 도살체중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110kg 대비 130kg 출하돈의 한계수익은 두당 약 󰠏20,000원에 달하였는데, 이 같은 손실은 거의 전적으로 130kg 출하돈의 도체가 너무 커 A, B 도체 등급의 도체중 상한선을 초과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일 도체중 상한선이 철폐된다는 조건으로 계산하면 130kg 출하돈당 20,000원 이상의 한계수익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정육형 비육돈에서는 성장효율이나 육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도살체중을 130kg까지 증가시킬 수 있고, 따라서 체중이 큰 출하돈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좋은 등급’의 도체중 상한선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