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intozen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7초

숙지황 중 잔류농약과 중금속의 안전성 평가 (The Risk Assessment of Residual Pesticides and Heavy Metals in Rehmanniae Radix Preparata)

  • 김정호;양준영;문영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1호
    • /
    • pp.1287-1293
    • /
    • 2007
  • To obtain the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materials in Rehmanniae Radix Preparata, the residual pesticides and heavy metals in samples on the Korea and China are surveyed. Group I ($BHC-{\delta}$, $BHC-{\beta}$, Fenitrothion, Penthoate, Endosulfan-${\alpha}$, Dieldrin, Endosulfan-${\beta}$ and Endosulfan-sulfate), Group II (BHC-${\gamma}$, Aldrin, DDD, DDT-p,p Permethrin and Fenvalerate), Group III(BHC-${\alpha}$, Chlorpyrifos, Tolyfluanid, Captan and DDT-o,p) and Group IV(Quintozene, Vinclozolin, DDE and Chlorfenapyr) could analysed on gas chromatography-ECD for evaluation of residual pesticides. Qualified detection concentration on the GC-ECD are $0.45 ng/g{\sim}2.50 ng/g$. Group I, Group II, Group III and Group IV are not detected in Rehmanniae Radix Preparata on the Korea and China. Concentration of As, Cd and Pb in Rehmanniae Radix Preparata. on the Korea are 3.06%, 7.00% and 5.78% for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KFDA). Concentration of As, Cd and Pb in Rehmanniae Radix Preparata. on the China are 5.16%, 5.33% and 6.50% for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KFDA). The hazardous materials in Rehmanniae Radix Preparata on the Korea and China were verified the safety of the residual heavy metals and pesticides compare with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advisory level.

숙지황 제조과정에서 중금속과 잔류농약 (Heavy Metals and Pesticides with Maturing Process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 김정호;양준영;문영수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3호
    • /
    • pp.255-26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건지황을 증숙하여 제조하는 숙지황 제조과정 동안의 중금속과 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숙지황을 제조할 때 건지황을 황주로 9번 증숙하는 과정동안 증숙한 한국 시료의 평균은 As는 $0.147{\pm}0.007\;mg/L$이었으며, Cd는 $0.025{\pm}0.001\;mg/L$이었고, Pb는 $0.193{\pm}0.021\;mg/L$이었다. 또한 중국 시료의 평균은 As, Cd와 Pb가 각각 $0.0145{\pm}0.014\;mg/L,\;0.023{\pm}0.002\;mg/L$$0.299{\pm}0.013\;mg/L$이었다. 건지황을 숙지황을 제조하는 동안 중금속의 농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일반 시중 숙지황 중에서 As는 우리나라 시료는 평균 $0.106{\pm}0.052\;mg/L$이었으므로 As의 허용기준 3.0mg/kg에 3.53%이었으며, 중국 시료는 $0.135{\pm}0.011\;mg/L$이었으므로 As의 허용기준에 4.50%이었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숙지황 중 Cd농도는 허용기준 0.3 mg/kg에 각각 6.66%와 5.33%였다. Pb의 허용기준은 5.0 mg/kg인데 우리나라와 중국의 숙지황 중 Pb농도는 허용기준의 5.16%와 7.86%였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숙지황 중 중금속의 농도가 허용기준의 $3{\sim}8%$ 수준으로 매우 낮았으며, 이는 중금속으로부터 안전하였다. 우리나라 안동과 중국 하남의 건지황 중 잔류농약으로 Aldrin, $BHC-{\alpha},\;BHC-{\beta},\;BHC-{\gamma},\;BHC-{\delta}$, Captan, Chlorfenapyr, Chlorpyrifos, DDD, DDE, DDT-o,p, DDT-p,p, Dieldrin, Endosulfan-sulfate, $Endosulfan-{\alpha},\;Endosulfan-{\beta}$, Fenitrothion, Penthoate, Permethrin, Quintozene, Tolyfluanid와 Vinclozolin 등이 검출되지 않았다. 숙지황 제조에 사용된 황주 시료에도 이들 농약이 모두 동일하게 불검출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숙지황에도 이들 농약이 불검출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검토된 우리나라와 중국지역의 건지황으로 제조된 숙지황은 중금속과 잔류농약이 식품의약안전청 기준에 적합한 안전성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