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inolone antibacterial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5초

은교산(銀翹散)과 Rufloxacin의 병용투여(倂用投與)가 Klebsiella pneumoniae 호흡기감염(呼吸器感染)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 vivo Synergism of Eunkyo-san, a Poly-Herbal Formula and Rufloxacin against Klebsiella pneumoniae Respiratory Infections)

  • 하연귀;박미연;최해윤;김종대;송광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53-759
    • /
    • 2005
  • In order to evaluate the in vivo synergic effect of Eunkyo-san with quinolone antibiotics, rufloxacin (RUFX), the viable bacterial numbers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monitored after experimental respiratory infection with Klebsiella peumoniae NCTC 9632.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In RUFX group, the viable bacterial number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and these were more dramatical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single treatment with RUFX, respectively in concomitant treated groups with Eunkyo-san. In control group, sever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hemorrhage and hypertrophy of alveolar linings were demonstrated at microscopical levels. However, these abnormal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in RUFX group, and these were more dramatical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single treatment with RUFX, respectively in concomitant treated groups with Eunkyo-san. In RUFX group, the LSA% (luminal surface of alveola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and these were more dramatical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single treatment with RUFX, respectively in concomitant treated groups with Eunkyo-san.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in vivo antibacterial activity of RUFX group was dramatically increased by concomitant use of Eunkyo-san against K. pneumoniae NCTC 9632 infection of respiratory tract.

시험관내에서 norfloxacin의 항균력과 다른 항생제와 병용투여시 상호작용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postantibiotic effects of norfloxacin and its interaction effects in combination with other antibiotics)

  • 박승춘;윤효인;오태광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47-154
    • /
    • 1997
  •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제2세대 quinolone 항생제인 norfloxacin(NFX)에 대한 약역학적인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분리된 동물유래 병원성 세균에 대하여 시험관내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즉, E coli(n=89) 대한 NFX의 $MIC_{50}$$MIC_{90}$는 공히 0.02g/ml이었으며, Streptococcus spp.(n=36)에 대한 NFX의 $MIC_{50}$는 2g/ml 그리고 $MIC_{90}$는 4g/ml로 나타났다. Salmonella spp.(n=56)에 대한 NFX의 $MIC_{50}$$MIC_{90}$ 모두 0.2g/ml로 강한 항균력을 보였으며, Streptococcus spp.(n=24)에 대한 NFX의 $MIC_{50}$는 2g/ml 그리고 $MIC_{90}$가 4g/ml로 나타났다. Bacillus spp.(n=34)는 NFX의 $MIC_{50}$$MIC_{90}$는 모두 0.4g/ml으로서 대부분의 병원성 세균에 대해서 $MIC_{50}$$MIC_{90}$치가 동일하든지 또는 매우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NFX는 혐기성세균인 Clostridium spp.(n=34)에 대해서는 항균력이 매우 낮았다. 현재 수의임상에서 항균제 병용요법이 많이 응용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NFX와 다른 항생물질간의 분획억제농도 (FICs)를 E coli 88ac을 시험균주로 하여 실험한 결과, NFX와 colistin과 병용할 때 FIC 값이 0.38로서 상승작용을 그리고 gentamicin, trimethoprim, amikacin, penicillin 및 tylosin과의 병용시 FIC 값이 각각 0.52, 0.56, 0.63, 1.00 및 1.02로서 상가작용을 보여주었으며, tetracyclin과의 병용시의 FIC값은 1.49로서 길항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제 항균제의 임상적용시 매우 주요한 요소인 항균활성후 저농도유효성(PAE)을 알아보기 위하여 E coli AB1157을 시험균주로 측정한 결과 PAE은 0.90~1.02 시간 그리고 S aureus R-209에 대해서는 PAE가 1.58~1.99 시간으로서 그람음성균 및 그람양성균 모두에 대해서 긴 PAE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은교산과 Ciprofloxacin 병용이 호기성 Gram(+) 세균주에 대한 시험관내 항균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 Vrtro Synergism of Eunkyo-san and Ciprofloxacin against 9 Strains of Aerobic Gram(+) Bacteria)

  • 신창호;송광규;박미연;최해윤;김종대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5-205
    • /
    • 2005
  • Objective & Methods: To evaluate the in vitro synergic effect of Eunkyo-san, a traditional poly-herbal formula used in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in oriental medicine with quinolone antibiotics, represented by ciprofloxacin (CPFX), which was used in the minimal concentration (MIC), $MIC_{50}$ and $MIC_{90}$. of single use of quinolones in concomitant treatment with Eunkyo-san against 9 strain$ of gram positive bacteria. Results: In. the case of aerobic gram positive bacteria, the MIC, $MIC_{50}$ and $MIC_{90}$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 smith,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reptococcus pyogenes, Streptococcus pneumoniae Type I, Type II and Type II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ncomitant treated groups with Eunkyo-san compared to those of single treated groups of CPFX, respectively.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were demonstrated against Bacillus subtilis and Enterococcus faecalis. Conclusion: The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of CPFX were increased against some strains of gram positive strains, especially, pneumococcus such as Staphylococcus and Streptococcus, by concomitant use of Eunkyo-san.

  • PDF

랫드에서 표준 및 사료제한 시험에 의한 fluoroquinolone 항균제 DW-116의 발생독성평가 (Development Toxicity Evaluation)

  • 김종춘;윤효인;이희복;한상섭;정문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47-456
    • /
    • 2001
  • 임신랫드에서 fluoroquinolone 항균제 DW-116에 의해 유발된 발생독성이 모동물의 사료섭취량 감소에 의한 영양 결핍이 주요 원인인지 아니면 DW-116이 배.태자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유발된것인지를 조사하고자 시험물질을 랫드에 임신 6일에서 16일까지 0 및 500 mg/kg 용량으로 반복 경구투여하였다. 사료제한군은 시험물질 투여군의 모동물의 섭취한 동일한 양의 사료를 제한급여하였다. 모든모동물을 임신 20일째에 제왕절개하였고, 모독성 및 발생독성을 평가하였다. 시험물질 투여군에서는 독성증상과 체중의 감소, 투여 및 투여후 기간의 체중증가 억제, 사료섭취량의 감소를 포함하는 모독성이 부형제대조군및 사료제한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태자사망의 증가, 생존태자의 감소, 태자체중과 태반중량의 감소, 태자기형의 증가 및 골환지연을 포함하는 발생독성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사료제한군에서는 모체 및 태자에서 경미한 독성고견만 인정되었고, 태자사망이나 태자기형 등의 심각한 발생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시험물질투여군에서 관찰된 발생독성은 사료섭취량의 감소에 의한 모체의 영양결핍에 기인된 것이 아니라 DW-116의 투여에 기인된 직접효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폐결핵 재치료에서 Ofloxacin, Prothionamide, Cycloserine, Streptomycin(Kanamycin or Tuberactinomycin) 4제요법의 임상 효과 (A Clinical Effect of Ofloxacin, Prothionamide, Cycloserine Streptomycin(Kanamycin or Tuberactinomycin) in Retreatment of Pulmonary Tuberculosis)

  • 송주영;유민규;홍재락;정재만;김영준;김문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3호
    • /
    • pp.295-301
    • /
    • 1995
  • 연구배경: 우리나라에서 1979년까지의 초치료는 INH + SM + PAS(또는 EMB)의 18개월 요법이 표준처방으로 이용되었고 1980년대에 들어와서 INH + EMB + RFP의 9개월 요법을 설시하다가 INH + RFP + PZA + EMB(또는 SM)의 6개월 표준 단기요법이 정착되었다. 그후 폐결핵의 초치료 성적은 매우 괄목할만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나 초치료 실패 및 재치료 실패 환자들의 경우 약제 내성균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 가능한 약제가 매우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1980년대에 개발된 Quinolone 계통의 Ofloxacin(OFX)은 광범위 항생제로서 호흡기 절환을 비롯한 여러 감염성 질환에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폐결핵의 치료에도 일부 사용되고 있으며 그 효능 또한 입증된 바 있다. 이에 재치료 처방으로 PTA + CS + OFX와 주사제로서 Streptomycin(SM), Kanamycin(KM), Tuberactinomycin(TUM) 중 하나를 첨가한 4제 요법으로 치료받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1991년 3월부터 1994년 6월까지 국립 공주 결핵병원에 입원하였던 도말양성 환지중 초치료 또는 재치료에 실패한 환자 92명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객담도말 양성환자 92명중 67명(73%)에서 균음전되었다, 2) 균음전시기는 치료시작후 1개월 이내에 24명(36%)로 제일 많았고 4개월 이내에 85%의 균음전율을 보였다. 3) 흉부 엑스선 사전의 호전은 전체적으로 49% 이였고 균음전율은 흉부 엑스선상 경증, 중등증, 중증에서 각각 100%, 93%, 68% 이었다. 4) 균음전율은 1년미만, 1년에서 3년미만, 3년에서 5년미만, 5년이상의 질병기간에서 각각 87%, 76%, 65%, 그리고 55% 이었다. 5) PTA의 부작용은 위장장애가 대부분 이었으며 간기능장애, 경련이 각각 7%, 1% 나타났다. CS의 부작용은 신기능장애, 정신병, 경련이 각각 2%, 1%, 1% 이었고, KM에 의한 이명은 1%, OFX에 의한 설사는 4% 이었다. 결론: 환자의 병력이 짧을수록, 흉부 엑스선상 경증와 중등증 일수록 좋은 성적을 보여 주었다. 초치료 실패환자에서 흉부 엑스선상 중증으로 이행되기전에 재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균음전은 물론 흉부 엑스선성 호전도 보여줄 수 있다. 소수 2차 항결핵제가 부작용으로 중단된 경우도 있었지만, 2차 항결핵제의 부작용은 대부분 위장장애을 호소하기 때문에 환자의 협조하에 규칙적으로 복용토록 하여 완치 퇴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