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y Tree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31초

Content-Based Indexing and Retrieval in Large Image Databases

  • Cha, Guang-Ho;Chung, Chin-Wa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on Science
    • /
    • 제1권2호
    • /
    • pp.134-144
    • /
    • 199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ccess method, called the HG-tree, to support indexing and retrieval by image content in large image databases. Image content is represented by a point in a multidimensional feature space. The types of queries considered are the range query and the nearest-neighbor query, both in a multidimensional space. Our goals are twofold: increasing the storage utilization and decreasing the area covered by the directory regions of the index tree. The high storage utilization and the small directory area reduce the number of nodes that have to be touched during the query processing. The first goal is achieved by absorbing splitting if possible, and when splitting is necessary, converting two nodes to three. The second goal is achieved by maintaining the area occupied by the directory region minimally on the directory nodes. We note that there is a trade-off between the two design goals, but the HG-tree is so flexible that it can control the trade-off. We present the design of our access method and associated algorithms. In addition, we report the results of a series of tests, comparing the proposed access method with the buddy-tree, which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point access methods for a multidimensional space. The results show the superiority of our method.

  • PDF

Developing a Dynamic Materialized View Index for Efficiently Discovering Usable Views for Progressive Queries

  • Zhu, Chao;Zhu, Qiang;Zuzarte, Calisto;Ma, Wenbi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9권4호
    • /
    • pp.511-537
    • /
    • 2013
  • Numerous data intensive applications demand the efficient processing of a new type of query, which is called a progressive query (PQ). A PQ consists of a set of unpredictable but inter-related step-queries (SQ) that are specified by its user in a sequence of steps. A conventional DBMS was not designed to efficiently process such PQs. In our earlier work, we introduced a materialized view based approach for efficiently processing PQs, where the focus was on selecting promising views for materialization. The problem of how to efficiently find usable views from the materialized set in order to answer the SQs for a PQ remains open.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index technique, called the Dynamic Materialized View Index (DMVI), to rapidly discover usable views for answering a given SQ. The structure of the proposed index is a special ordered tree where the SQ domain tables are used as search keys and some bitmaps are kept at the leaf nodes for refined filtering. A two-level priority rule is adopted to order domain tables in the tree, which facilitates the efficient maintenance of the tree by taking into account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of materialized views for PQs. The bitmap encoding methods and the strategies/algorithms to construct, search, and maintain the DMVI are suggested. The extensiv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our index technique is quite promising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materialized view based query processing approach for PQs.

센서 네트워크에서 스트림 데이터 질의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다중 질의 색인 기법 (Multi-query Indexing Technique for Efficient Query Processing on Stream Data in Sensor Networks)

  • 이민수;김연정;윤혜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367-1383
    • /
    • 2007
  • 센서 네트워크는 스스로 감지하고 계산하고 무선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센서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이다. 센서 네트워크의 특징들로는 네트워크가 자체적으로 관리가 되어야 한다는 것과 배터리 전원이여서 전력의 효율성을 크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있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생성되는 많은 양의 연속적인 데이터에 대하여 여러 개의 질의들을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 전력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감시 목적의 미리 정의된 다중 질의들에 대해 색인을 두어 다중 질의 처리 성능을 높이고 메모리와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공간 색인 기법 중에서 이진 탐색트리에 기반한 데이터 구조로서 각 레벨별로 차원이 반복되어 각 차원을 분할시키는 k-d 트리와, 공간을 계층적 구조로 자르며 겹침 관계를 줄인 R-트리의 변형인 R+-트리를 기반으로 하여 이들의 응용 및 융합을 통해 다중 질의를 색인하는 새로운 트리인 SMILE 트리를 제안한다. 질의들에 대한 SMILE 트리를 구성하여 센서 네트워크에서 생성되는 스트림 데이터에 대하여 관련된 질의를 탐색하도록 하면 질의를 순차 탐색하는 것과 비교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평균 탐색시간을 약 50% 정도로 줄일 수 있다.

  • PDF

공간 네트워크 상의 이동객체를 위한 시그니처 기반의 궤적 색인구조 (Trajectory Index Structure based on Signatures for Moving Objects on a Spatial Network)

  • 김영진;김영창;장재우;심춘보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18
    • /
    • 2008
  • 공간 네트워크 상을 움직이는 많은 이동객체들의 궤적 분석을 통해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궤적을 효과적으로 검색 할 수 있는 궤적 기반 색인 구조가 필요하다. 하지만 도로와 같은 공간 네트워크상의 궤적 기반 색인 구조에 대한 연구는 FNR-트리나 MON-트리를 제외하고는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FNR-트리나 MON-트리는 에지를 지난 이동객체의 이동정보인 세그먼트만을 저장할 뿐 전체 궤적을 유지하지 못하며, 궤적 질의에 대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 네트워크상의 이동객체를 위한 시그니처 기반의 궤적 색인 구조인 SigMO-트리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이동객체를 공간과 시간 특성으로 분류하고, 전체 궤적을 유지함으로써 영역질의와 궤적질의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색인 구조를 설계한다. 아울러, 사용자 질의를 시공간영역 내 궤적 질의, 시간영역 내 유사궤적 질의로 분류하고, 이들을 처리 하기 위한 질의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각 질의처리 알고리즘은 효율적인 검색을 위하여 시그니처 파일 기법을 이용하여 궤적을 검색한다. 마지막으로 성능평가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궤적 기반 색인 구조가 기존의 색인구조인 FNR-트리, MON-트리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 PDF

A Simple and Fast Anti-collision Protocol for Large-scale RFID Tags Identification

  • Jia, Xiaolin;Feng, Yuhao;Gu, Yaj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4호
    • /
    • pp.1460-1478
    • /
    • 2020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nti-collision protocol for large-scale RFID tags identification, named Bi-response Collision Tree Protocol (BCT). In BCT, two group of tags answer the reader's same query in two response-cycles respectively an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bi-response pattern. BCT improves the RFID tag identification performance significantly by decreasing the query cycles and the bits transmitted by the reader and tags during the identification. Computation and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BCT improves the RFID tag identification performance effectively, e.g. the tag identification speed is improved more than 13.0%, 16.9%, and 22.9% compared to that of Collision Tree Protocol (CT), M-ary Collision Tree Protocol (MCT), and Dual Prefix Probe Scheme (DPPS) respectively when tags IDs are distributed uniformly.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질의 중계를 이용한 이동 객체의 위치 추적 방안 (Moving Object Tracking using Query Relay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상대;김천용;조현종;임용빈;김상하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598-603
    • /
    • 2014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객체의 위치 추적은 객체의 움직임 포착 및 동선 파악 등에 활용되는 중요한 어플리케이션이다. 따라서 객체의 정확한 동선을 파악하기 위해 추적의 정밀성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객체 추적을 위하여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질의를 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성 및 정밀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체 추적의 에너지 효율성 및 추적의 정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노드들이 사용자의 질의를 객체의 예상 경로에 중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객체 추적을 위하여 네트워크를 일정 크기로 클러스터링하고 각 클러스터 헤드를 트리로 구성한다. 객체를 감지한 클러스터 헤드는 트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객체의 정보를 전달하고, 객체의 예상 경로에 위치한 클러스터 헤드에게 사용자의 질의를 중계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반복적인 질의를 줄여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방안이 기존의 객체 추적 연구에 비해 높은 에너지 효율과 추적 정밀성을 가지는 것을 보인다.

R-tree 재구성 방법을 이용한 공간 뷰 실체화 기법 (Spatial View Materialization Technique by using R-Tree Reconstruction)

  • 정보흥;배해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8D권4호
    • /
    • pp.377-386
    • /
    • 2001
  • 공간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공간데이터베이스 접근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공간 뷰를 지원하며 비실체화 방법과 실체화 방법으로 관리한다. 비 실체화 방법은 동일질의에 대한 반복적인 수행으로 서버 병목 현상과 네트워크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실체화 방법은 공간 기본 테이블 변경에 대한 실체화 뷰 관리 방법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R-tree 재구성 방법을 이용한 공간 뷰 실체화 관리 기법(SVMT : Spatial View Materialization Technique)을 제안한다. 제안한 SVMT는 공간 뷰 객체 분포율 오차율 이용하여 공간 뷰를 실체화하는 기법으로, 공간 뷰 객체 분포율 오차가 오차 한계 범위내에 존재하면 공간 뷰를 실체화하고 광간 뷰 높이에 해당하는 노드를 공간 뷰에 대한 R-Tree의 루트로 사용하고, 오차 한계 범위를 벗어나면 공간 뷰를 실체화함과 동시에 R-Tree를 재구성하는 방법이다. 이 기법에서 공간 뷰에 대한 정보는 공간 뷰 정보 테이블(SVIT : Spatial View Materialization Technique)를 통하여 관리되며, 이 테이블의 레코드는 공간 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SVMT는 실체화된 공간 뷰에 대한 질의수행을 통해 공간질의 처리 수행 속도를 빠르게하며, 이를 통하여 반복적인 질의 변환을 통해 발생하는 부가적인 질의 수행 비용을 제거한다. 따라서, 제안하는 기법은 다중 사용자, 동시 작업 환경에서 공간 뷰에 대한 빠른 접근 속도와 빠른 질의 응답을 제공하여 서버의 병목현상과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 PDF

RDF 질의 처리 성능 향상을 위한 실체 뷰 선택 기법 (Materialized View Selection Scheme for enhancing RDF Query Performance)

  • 박재열;윤상원;최기태;임종태;이병엽;신재룡;복경수;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4-34
    • /
    • 2015
  • 시맨틱 웹의 발전과 함께 RDF 데이터에 대한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RDF 데이터는 트리플로 구성되어 있으며 질의 처리 시 높은 조인 비용이 요구된다. 실체 뷰는 질의 처리 비용을 감소시키는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실체 뷰는 질의 처리의 결과 또는 중간 결과를 저장 공간 내부에 물리적으로 저장하여 질의 처리 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이 아닌 실체 뷰의 접근으로 질의를 처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 결정 트리를 사용하여 실체 뷰를 선택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의사 결정 트리를 통해 질의 처리시간뿐만 아니라 실체 뷰의 크기 및 유지비용을 고려한다.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제한된 저장 공간에서의 실체 뷰는 증가하였고 동일 개수의 실체 뷰의 유지비용은 감소함을 보인다.

EPR : 지리 정보 시스템을 위한 향상된 병렬 R-tree 색인 기법 (EPR : Enhanced Parallel R-tree Indexing Method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춘근;김정원;김영주;정기동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2294-2304
    • /
    • 1999
  • 본 논문은 병렬 입출력과 효율적인 디스크 접근을 이용하여 입출력 성능을 높임으로써 지리 정보 시스템의 질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시에 접근할 가능성이 높은 인접한 공간 데이터를 디스크의 논리적 블록 단위로 패킹하여 하나 또는 연속적인 논리적 블록으로 클러스터링 하면 한번의 디스크 접근으로 많은 공간 데이터를 읽을 수 있어 질의 처리에 따른 디스크 접근 횟수와 디스크 접근 오버 헤드를 줄임으로써 입출력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Parallel R-tree 기법의 병렬 입출력 기법과 패킹 기반 클러스터링 기법을 결합하여 효율적인 입출력을 지원하는 EPR(Enhanced Parallel R-tree)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EPR 기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데이터를 Hilbert space filling curve를 이용하여 인접도에 따라 정렬하여 패킹함으로써 상향식으로 R-tree를 생성한다. 둘째, 정렬된 공간 데이터를 패킹하여 하나 또는 연속적인 논리적 블록에 저장하는 패킹 기반 클러스터링을 통해 공간 데이터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셋째, 색인 기법 및 공간 데이터 클러스터를 round-robin 스트라이핑 방식을 통해 다중 디스크에 분산 배치한다. EPR 기법과 기존 PR 기법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공간 질의 처리 속도가 30% 이상 향상되었으며, 특히 논리적 블록의 크기가 클수록, 공간 데이터의 크기가 작을수록 질의 처리 성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공모된 체인 절단 공격으로부터 QCRT를 이용한 이동 에이전트의 보호 기법 (A Security Scheme of Mobile Agent using QCRT from Colluded Truncation Attacks)

  • 정창렬;김광오;송진국;이성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82-38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프로로밍 에이전트의 데이터의 안전한 수행을 위해 악의적인 요인들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절단공격으로부터 안전한 실행을 보장한다. 또한 기존의 체인관계보다 확장성을 개선한 쿼리 트리체인 관계(QCRT:query chain relationship tree)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악의적인 요소를 효과적으로 검출 할 수 있다. 또한 체인 관계 구조를 에이전트의 여정에 따라 형성되는 구조로 체크함으로써 에이전트의 체인관계를 확장하였다. 단면적인 체인관계의 확장으로 기존의 취약한 요소들을 보완하여 이동 에이전트의 절단공격으로부터 실행 보장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