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mongolica COMMUNITY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37초

한국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림의 분포와 군집구조 분석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ssociation Structure on the Sawtooth Oak (Quercus acutissima) Forest in Korea)

  • 김인택;송민섭;정승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6-361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상수리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통하여 상수리나무림의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간의 상관관계, 잠재자연식생, 입지에 따른 상수리나무의 분포 양상 등을 분석하여 한국 상수리나무림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1. 한국 상수리나무림의 군집구분은 1군단, 3군집, 3아군집, 3전형아군집으로 유형화되었다. I. 상수리나무군단(Quercion acutissimae) A. 상수리나무-졸참나무군집(Quercetum serrato-acutissimae ass. nov.) A-1. 갈참나무아군집(Quercetum serrato-acutissimae quercetosum subass. nov.) A-2. 전형아군집(Quercetum serrato-acutissimae typicum subass. nov.) B. 상수리나무-신갈나무군집(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asso. nov.) B-1. 갈참나무아군집(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quercetosum subass. nov.) B-2. 전형아군집(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typicum subass. nov.) C. 상수리나무-서어나무군집(Carpino-Quercetum acutissimae asso. nov.) C-1. 갈참나무아군집(Carpino-Quercetum quercetosum subass. nov.) C-2. 전형아군집(Carpino-Quercetum typicum subass. nov.) 2. DECORANA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 상수리나무-졸참나무군집은 저지대 산지, 상수리나무-신갈나무군집은 상대적으로 해발이 높은 지역의 산지대, 상수리나무-서어나무군집은 주로 계곡부에 형성되어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각 군집들이 서로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그다지 명료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수리나무림의 대부분이 저지대 및 농경지 주변의 교란요인이 심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3. 상수리나무림의 잠재자연식생을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Quercetum serrato-acutissimae asso. nov.$\rightarrow$Quercus serrata-Quercus aliena Community$\rightarrow$Quercus serrata Community 2) 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ass. nov.$\rightarrow$Quercus mongolica-Quercus aliena Community$\rightarrow$Quercus mongolica Community 3) Carpino-Quercetum acutissimae asso. nov.$\rightarrow$Carpinus laxiflora-Quercus aliena Community$\rightarrow$Carpinus laxiflora Community

대전 장태산, 해태산, 안평산과 구봉산 지역의 산림식생 (Forest Vegetation of the Jangtaesan, Haetaesan, Ahnpyoungsan and Gubongsan area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Korea)

  • 김효정;이미정;권오원;신동훈;이규석;서병기;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47-56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forest vegetation of the Jangtaesan, Haetaesan, Ahnpyoungsan and Gubongsan in Daejeon. Employing the releve method of Braun-Blanquet, 76 plots were sampled. The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verage coverage rate was 85% in tree layer, 44% in subtree layer, 37% in shrub layer, 25% in herb layer, respectively. The importance values were 58.76 in Pinus densiftora, 44.86 in Quercus monegolica, 44.06 in Quercus variabilis, 33.00 in Quercus serrata, 18.73 in Rhus trichocarpa, 18.07 in Prunus sargentii. DBH range of most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was between 5cm and 20cm. Therefore,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variabilis will be dominant species in the study area for several more decades.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on the north and east slope in a high-altitude and relative good nutrition condition. Querucus variabilis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on the south slope in a middle-altitude and medium nutrition condition.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in a low-altitude and poor nutrition condition.

소백산지역 달밭재-비로봉 능선부의 삼림군집구조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he Dalbatjae-Birobong Ridge in Sobaeksan Area)

  • 박인협;최영철;문광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7-153
    • /
    • 1993
  • 소백산지역 달밭재-비로봉 능선부(해발 770-1,410m)의 삼림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발고에 따라 20m$\times$25m 조사구 20개를 설치한 후 흉고직경 1cm 이상의 교목층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능선부 전체의 군집형은 소나무우점군집과 신갈나무우점군집이었으며, 수종별 중요치에 의하여 cluster 분석한 결과 소나무군집, 소나무-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활엽수군집 등의 4개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소나무군집의 우점종인 소나무, 소나무-신갈나무군집의 우점종과 준우점종인 소나무와 신갈나무, 신갈나무군집의 우점종인 신갈나무의 교목하층 중요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남으로써 상당기간 현 상태의 삼림군집이 지속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신갈나무군집의 경우 교목상층에서 비교적 중요치가 높은 소나무가 교목하층에서는 출현하지 않음으로써 신갈나무의 우점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추정되었다. 교목층 전체의 종다양도는 신갈나무-활엽수군집 0.7136, 소나무-신갈나무군집 0.6850, 소나무군집 0.6791, 신갈나무군집 0.5296의 순으로 높았다. 조사구별 중요치에 의하여 주요 수종간 종간상관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는 쇠물푸레나무와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신갈나무, 자작나무, 피나무 등과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보였다. 신갈나무는 쇠물푸레나무와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춘천지역(강원.춘천)의 식물상과 식생 (Flora and Vegetation of Chuncheon Area (Chuncheon-si, Gangwon-do))

  • 한준수;이혜정;이우철;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12-424
    • /
    • 2009
  • 춘천 지역에 대한 관속식물의 분포와 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6년 3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총 94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관속식물은 총 118과 496속 894종 2아종 132변종 38품종 등 총 1,066분류군이었다. 조사된 1,066분류군 중에는 한국특산식물 42분류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33분류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5분류군이 포함되어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191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은 71분류군으로 귀화율은 6.66%, 도시화지지수는 24.83으로 산출되었다. 식생은 신갈나무 군집, 소나무-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고로쇠나무 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신갈나무-물박달나무 군집 등 5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림이 춘천지역을 대표하는 식생으로 나타났다.

금산 서대산의 임분 특성 및 군락 분류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Community in Seodaesan, Geumsan)

  • 지윤의;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38-46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forest vegetation in Seodaesan of Geumsan, Chungnam Province. Employing the releve method of Braun-Blanquet and quadrat method, 36 plots were sampled in forest of Seodaesan. The sub-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laxiflora sub-community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s were 77.07 in Quercus mongolica, 40.79 in Pinus densiflora, 17.03 Fraxinus rhynchophylla, 14.06 in Fraxinus sieboldiana, 13.99 in Quercus serrata, 12.93 Acer pseudosiebotdianum. Coverage rate was 84.6% in tree layer, 52.8% in subtree layer, 29.1% in shrub layer, 27.9% in herb layer, respectively. Most of the DBH of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was between 5cm and 20cm. Therefore,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might be dominant species in the study area for several decades.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laxiflora sub-communities were distributed mainly in a high-altitude and northern and north-western area. Pinus densiflora sub-community was distributed mainly in a low-altitude and western area.

깃대봉-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Ridge from Gittaebong to Cheongoksan)

  • 추갑철;김갑태;김정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4-360
    • /
    • 2002
  • 깃대봉에서 청옥산에 이르는 능선부의 산림생육현황과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34개의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지는 3개의 군집(신갈나무 우점군집, 신갈나무-피나무 우점군집, 신갈나무-물푸레나무 우점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갈나무와 소나무; 돌배나무와 백당나무, 회나무; 쇠물푸레나무와 철쭉 소나무; 노린재나무와 물개암나무, 개옻나무, 싸리, 철쭉과 진달래; 병꽃나무와 회나무, 개옻나무, 싸리; 개옻나무와 싸리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신갈나무와 피나무 당단풍 등의 수종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0.5981~0.8150으로 나타났다.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산 송추-도봉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Songchu to Dobong i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 엄태원;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6-112
    • /
    • 2008
  • 북한산국립공원 능선부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송추$\sim$도봉구간 능선부에 방형구$(400m^2)$ 22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2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의 2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도봉산 송추도봉지구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해발고가 낮은 일부지역에서 소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졸참나무와 당단풍, 소나무와 당단풍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구 상수리나무와 졸참나무, 신갈나무와 진달래, 리기다소나무와 철쭉꽃, 팥배나무와 진달래, 리기다소나무와 소나무, 소나무와 아까시나무, 당단풍과 쪽동백나무, 함박꽃나무와 노린재나무는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0.997\sim1.160$ 범위로 다른 국립공원들의 식생구조와 비슷하였다.

속리산국립공원 속리산지역의 현존식생 (The Actual Vegetation in Mt. Sokri)

  • 김준선;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5
    • /
    • 1990
  • 속리산국립공원의 일부인 속리산지역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종조성 및 식생상관에 의하여 삼림군집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속리산의 식생은 소나무림, 낙엽활엽수림, 조림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확인된 삼림군집은 다음과 같다. 1. 소나무군집 1) 소나무-진달래 하위군집 2) 소나무-철쭉 하위군집 3) 소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4) 소나무-조릿대 하위군집 2. 소나무-졸참나무군집 3. 소나무-굴참나무군집 4. 졸참나무군집 5.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6. 서어나무군집 7. 신갈나무군집 1) 전형하위군집 2) 신갈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3) 신갈나무-철쭉 하위군집 8. 물푸레나무군집 9. 노린재나무군집 10. 굴참나무군집

  • PDF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aech'ongbong-Hangyeryong Area in Soraksan National Park)

  • 김갑태;백길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97-406
    • /
    • 1998
  • 설악산국립공원의 대청봉-한계령 지구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군집구조를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45개의 방형구(20m*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네 개의 군집, 신갈나무-당단풍 군집, 분비나무-피나무-신갈나무 군집, 분비나무-주목 군집, 분비나무-신갈나무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분비나무와 사스래나무; 분비나무와 눈잣나무; 분비나무와 털진달래; 사스래나무와 눈잣나무; 사스래나무와 털진달래; 눈잣나무와 털진달래; 신갈나무와 철쭉꽃; 신갈나무와 병꽃나무; 나래회나무와 개회나무; 나래회나무와 산가막살나무; 부게꽃나무와 참회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사스래나무와 당단풍; 신갈나무와 미역줄나무; 철쭉꽃과 미역줄나무; 까치박달과 당단풍 등의 수종들간에는 비교적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저사지의 종다양도는 2.1352~2.8016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 PDF

한남금북·금북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n the Ridge of the Hannamgeumbuk-Jeongmaek and Geumbuk-Jeongmaek)

  • 강현미;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18-638
    • /
    • 2018
  •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 마루금 일대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환경조건과 인위적 영향을 고려해 한남금북정맥 2곳, 금북정맥 5곳의 중점조사지를 선정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한남금북정맥은 굴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낙엽성 참나무혼효군락, 잣나무군락, 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잣나무군락 등 8개 군락으로 나눠졌다. 금북정맥의 경우는 굴참나무군락, 낙엽활엽수혼효군락, 신갈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상수리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리기다소나무군락, 소나무-곰솔-낙엽성 참나무혼효군락, 잣나무군락 등 9개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에는 남한의 정맥과 백두대간 마루금 인근에서 폭넓게 분포하는 신갈나무와 소나무를 우점종으로 하는 조사구의 비율이 높았다. 일부 조사구에서 조림된 밤나무와 잣나무가 출현해 과거 인간의 간섭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볼 때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 대부분의 지역에 인간의 간섭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중점조사지역 중 금북정맥에 해당하는 가야산지역은 해양성기후와 대륙성기후가 교차되는 지역으로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곰솔이 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