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Quercus genu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1초

Mycorrhization of Quercus acutissima with Tuber borchii and Tuber melanosporum

  • Jung-Min Lee;Ahn-Heum Eom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75-280
    • /
    • 2022
  • Truffles are ectomycorrhizal fungi that belong to the genus Tuber. They exhibit symbiotic relationships, particularly with oak (Quercus spp.) and hazel (Corylus spp.) trees. We performed an inoculation using a spore suspension to synthesize mycorrhizae between European truffles, Tuber borchii and Tuber melanosporum, and an indigenous oak species, Quercus acutissima. This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mycorrhizae within 2 months after inoculation. Despite having the same host plant, differences in features were observed between Tuber species, including color and mantle typ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Q. acutissima is a suitable host plant for truffle cultivation in Korea and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ycorrhization of T. borchii and T. melanosporum.

참나무속의 인공 및 자연 종간잡종 가계의 종자결실 및 활력과 화분의 임성 (Seed Setting and Viability and Fertility of Pollens in Families of Artificial and Natural Interspecific Hybrids in Lepidobalanus of Genus Quercus)

  • 이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290-294
    • /
    • 2007
  • 참나무속(Q. serrata, Q. dentata, Q. mongolica var. crispula, Q. aliena)의 인공교배에 의 한 종간잡종의 묘목을 조취(鳥取)대학농학부 구내의 묘포장에 식재하였다. 또한 조취(鳥取)대학 산산(蒜山)연습림에서 자연교잡종(Q. fabri와 $Q.{\times}mccormickii$) 가계의 묘목을 선발하여 조취(鳥取)대학 산산(蒜山)연습림에 식재하였다. 인공종간잡종 $F_1$은 4년생, 자연교잡종 $F_1$은 3년생 때에 개화하였다. 2001년도에 이 중에서 개화한 개체로부터 화분과 종자를 채취하여 화분의 크기와 임성, 종자의 활력을 조사하였다. 인공종간잡종 화분의 발아율은 1개체를 제외하고 84% 이상이었고, 화분관의 신장도 양호하였다. 인공종간잡종의 건전한 종자의 발아율은 90% 이상으로 양친과 비슷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자연잡종 가계의 종자도 건전한 종자의 발아율은 각 가계의 평균이 64% 이상이었고, Q. fabri, $Q.{\times}mccormickii$의 자식종자도 높은 번식 능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나무속(Quercus L.) 식물 잎의 큐티클 미세형태의 분류학적 의미 (Cuticle micromorphology of leaves of Quercus L. (Fagaceae) and its taxonomic implications)

  • 조성호;김기중;박종욱;선병윤;정명기;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05-431
    • /
    • 2008
  • 참나무속의 22종과 외군의 큐티클 미세형질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22종은 참나무속의 모든 절에서 각각 2-3종을 선정하였고, 외군은 Trigonobalanus 속과 Alnus 속에서 선정하였다. 10개의 큐티클 내부형질과 8개의 큐티클 외부형질을 관찰, 기재하였다. 돌기물의 유무, 배축면 수층벽의 형태, 부세포의 배열 형태 및 수층벽의 형태, 왁스층의 발달 정도가 속내 분류에 유용한 형질로 나타났다. 18개의 형질을 이용한 분지분석에서는 66 step의 tree length를 가지는 72개의 최대절약계통수를 얻었다. 분지분석결과 Cyclobalanopsis 아속과 Quercus 아속은 각각 75% bootstrap value와 57% bootstrap value로 지지되었다. 큐티클 미세형질에 기초한 참나무속의 분류에서는 Camus가 제안한 아속간의 분류체계를 지지하였다. 그러나 Erythrobalanus 절과 Cerris 절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였고, Lepidobalanus 절이 다분지를 형성하여 절간 유연관계는 알 수 없었다. 그러므로 참나무속의 절간 분류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온도변화에 기인한 토양세균 우점종의 변화에 관한 연구 II (Dominant-strains Variation of Soil Microbes by Temperate Change II)

  • 박갑주;이병철;김수영;박찬선;조명환
    • 환경생물
    • /
    • 제29권3호
    • /
    • pp.195-201
    • /
    • 2011
  • Today, the weather is changing continually, due to the progress of global warming. As the weather changes, the habitats of different organisms will change as well. It cannot be predicted whether or not the weather will change with each passing day. In particular, the biological distribution of the areas climate change affects constitutes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the natural state of indigenous plants; additionally, plants are constantly exposed to rhizobacteria, which are bound to be sensitive to these changes. Interest has gr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ts and rhizopheric microorganisms. As a result of this interest we elected to research and experiment further. We researched the dominant changes that occur between plants and rhizospheric organisms due to global warming. First, we used temperature as a variable. We employed four different temperatures and four different sites: room temperature ($27^{\circ}C$), $+2^{\circ}C$, $+4^{\circ}C$, and $+6^{\circ}C$. The four different sites we used were populated by the following strains: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Quercus acutissima. We counted colonies of these plants and divided them. Then, using 16S rRNA analysis we identified the microorganisms. In conclusion, we identified the following genera, which were as follows: 24 strains of Bacillus, 6 Paenibacillus strains, 1 Pseudomonas strains. Among these genera, the dominant strains in Pinus densiflora was discovered in the same genus. Additionally, those of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acutissima changed in both genus and strains which changed into the Bacillus genus from the Paenibacillus genus at $33^{\circ}C$.

우리나라 소나무림의 식생형과 종다양성 패턴 (Vegetation Types and Diversity Patterns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South Korea)

  • 조현제;이창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118-123
    • /
    • 2011
  •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잔존하고 있는 소나무림 315개소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조사와 TWINSPAN 집락분석 및 DCA ordination 분석을 통하여 식생유형을 구분하고, 식생유형별 식물상 및 종조성 특성 그리고 종다양성 패턴 등을 분석하였다. 식생형은 크게 신갈나무형과 졸참나무형 등 2개의 상위단위와 8개 그룹의 하위단위로 유형화되었다. 식물상 조성에 있어서 종 및 속 수준에서의 풍부도는 국화과(21속, 45종)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백합과(18속, 34종), 장미과(17속, 34종), 콩과(15속, 25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종풍부도, 다양성 및 균등도 등의 다양성 패턴은 식생형 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해발고도에 따라 종풍부도는 일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종균등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ree Species Preferred as Fecal Sites by the Siberian Flying Squirrel Pteromys volans

  • Han, Chang Wook;Kim, Dong Cheol;Ahn, Kyung Hwan;Lim, Sang Jin;Park, Hee Bok;Cho, Beom Jun;Park, Yung Ch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80-183
    • /
    • 2018
  • Fecal sites of the Siberian flying squirrel Pteromys volans were found in the 16 tree species, and 11 species (46.4%) of them were used as fecal sites in winter and only 3 tree species (5.6%) were used for their fecal dropping in summer. In winter and spring, 11 and 10 tree species were used as fecal sites,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various species of trees are used in those seasons for food sources or resting sites of the flying squirrels. Of total 16 species, the flying squirrels' fecal sites were most frequently found in Quercus mongolica (46.4%) and then followed by Prunus sargentii (25.6%). In winter, Prunus sargentii was preferred more than Quercus mongolica, although trees of Prunus sargentii are less distributed compared with those of various trees of the genus Quercus. In summer and autumn, high productivity of trees makes the flying squirrels use only one or two species they prefer. In winter and spring, however, they should extend their food source to various tree species because of low productivity and less food sources.

야외학습을 위한 화순 너릿재 옛길의 식물상과 생활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Field Trips on the Vegetation Types and Plant Growth Habits at the Old Road Naori's Hill Hwasun)

  • 이미경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60-179
    • /
    • 2008
  • Field classes are necessary to grow the ability of and an attitude toward exploring nature and to shape the basic concept of natural science. I tried to develop a site for field classes and the old road Naori's hill is an ideal place with convenient traffic and established youth camps. As a resul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five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The vegetation uni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n all survey areas 100 family 336 genus 587 species of palants was found. Furthermore, it provides lots of plants throughout the seasons. Not only the flora but also flowering phenology, variety of floral color and growth habits can be used as teaching items. Incorporation of diverse knowledge of plants at the old road Naori's hill into biology teaching will give students academic stimuli and teachers an opportunity of retraining. With a combination of use of visual instruments, the purpose of conceptual and exploring biology is more easily achieved.

  • PDF

제주도 내 난과(Orchidaceae) 보춘화속(Cymbidium)식물의 분포 및 자생지의 식생 구조 (Distribu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Genus Cymbidium (Orchidaceae) in Jeju Island)

  • 현화자;김해란;최형순;김찬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0
    • /
    • 2014
  • 본 연구는 난과 희귀식물인 보춘화속의 제주도 분포범위와 자생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보춘화속은 전 세계적으로 아시아 및 호주 북부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란, 소란, 대흥란, 죽백란, 녹화죽백란, 보춘화 등 총 6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6종은 모두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다. 제주도 내 보춘화속은 해발 16-547m 사이에 분포하였는데, 이 중 대흥란은 해발 16-547m 사이에 분포하여 가장 넓은 해발 분포 범위를 나타냈다. 반면에 죽백란, 녹화죽백란, 소란 등은 한라산 남사면의 돈내코 계곡 및 효돈천계곡 등 좁은 해발 분포 범위를 나타냈다. 이들 종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종으로서 기후온난화가 진행될 경우 제주도내에서의 해발 분포 범위 확대와 한반도 내륙으로의 자생지 확산이 예측된다. 한편, 제주도내에서 보춘화속자생지의 식생구조를 분석한 결과, 구실잣밤나무 군락과 구실잣밤나무-곰솔 군락, 곰솔-상수리나무 군락, 곰솔군락, 종가시나무-푸조나무 군락 등 5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군락내에서 자라는 보춘화속 중 한란과 소란 및 죽백란 등 3종은 구실잣밤나무 군락에서만 출현하였으며, 녹화죽백란은 구실잣밤나무-곰솔 군락에서 출현하였고, 대흥란은 곰솔-상수리나무 군락과 곰락 군락 및 종가시나무-푸조나무 군락 등 3개 군락에 분포하였다. 반면 보춘화는 구실잣밤나무-곰솔 군락, 곰솔-상수리나무 군락에서 출현하였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보춘화속은 불법 채취에 의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한란, 죽백란, 녹화죽백란, 소란등은 식생학적으로 분포 범위가 매우 협소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종에 대한 보전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춘천지역(강원.춘천)의 식물상과 식생 (Flora and Vegetation of Chuncheon Area (Chuncheon-si, Gangwon-do))

  • 한준수;이혜정;이우철;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12-424
    • /
    • 2009
  • 춘천 지역에 대한 관속식물의 분포와 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6년 3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총 94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관속식물은 총 118과 496속 894종 2아종 132변종 38품종 등 총 1,066분류군이었다. 조사된 1,066분류군 중에는 한국특산식물 42분류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33분류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5분류군이 포함되어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191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은 71분류군으로 귀화율은 6.66%, 도시화지지수는 24.83으로 산출되었다. 식생은 신갈나무 군집, 소나무-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고로쇠나무 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신갈나무-물박달나무 군집 등 5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림이 춘천지역을 대표하는 식생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