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rtz Sand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4초

포화(飽和)모래의 전단강도특성(剪斷强度特性)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研究) -대구지역(大邱地域) 낙동강(洛東江) 모래에 대해- (Experimental Study on the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Saturated Sand)

  • 김영수;서인식;김병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417-1431
    • /
    • 1994
  • 본 연구에서 삼축압축시험기를 이용하여 낙동강유역 모래에 대한 상대밀도, 전단변형어속도, 구속압력의 변화에 의한 전단강도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Lade 모델과 수정 Lade 모델의 결과는 실험에 의하여 비교하였다. 전단변형제어속도, 상대밀도 그리고 구속압력변화에 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낙동강유역의 모래에 대해 Coulomb의 식을 이용할 수 있는 응력의 한계는 변형제어속도가 0.08%/min일 때 120~200 kpa이고 0.5%/min일 때 120~150 kpa의 범위로 고찰되었다. 이들 한계범위들은 석회질 모래나 양입도의 석영질 모래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 2) 변형제어속도와 상대밀도 모두가 Lade 모델과 수정 Lade 모델에 필요한 매개변수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하중조건과 지반조건을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한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변형제어속도와 상대밀도의 변화에 따른 구성모델식에 의한 파괴시 주응력비는 전반적으로 변형제어속도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으나, 상대밀도와 구속압력이 구성 모델식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낙동강유역의 모래에 대한 응력-변형거동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 Lade 모델과 수정 Lade 모델에서 결정된 파괴시 주응력비와 파괴포락선의 내부마찰각을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구속응력 범위내에서는 Lade 모델이 수정 Lade 모델보다 평균적으로 실측치에 더 근접함을 보여 주었다.

  • PDF

두만강 하류 사구의 분포와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hanges of Sand Dune at the Lower Reach of Duman River, North Korea)

  • 이민부;김남신;이광률;한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31-345
    • /
    • 2006
  •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 지역에 대규모로 발달한 사구 지형의 분포 및 지표 환경, 퇴적물의 특성, 기원 및 형성과정을 밝히고, 두만강 하류 일대의 하천 및 해안 환경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andsat, Spot 영상을 이용하여 지표피복을 분석하고, 2회의 현지 야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입도분석 및 현미경 관찰을 통해 사구 퇴적물 시료를 분석하였다. 위성영상에서 파악된 사질퇴적지형 요소들은 삼각주, 사취, 이동사구, 정착사구, 사주, 사주피복 수변식생으로 구분되었다. 사구 퇴적물에 대한 입도 분석 결과, 조사 지역 중 가장 상류 쪽에 해당하는 DM3과 DM4에서 하성보다는 해성 모래와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현재 사구를 이루는 모래의 입도 특성이 두만강 하류 지역의 현재 자연환경을 반영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현미경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풍화에 가장 강한 석영의 비율이 $65{\sim}83%$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30{\sim}40%$를 차지하는 광물 입자의 표면은 화학적 풍화를 받아 황색의 물질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으며, 물리 화학적 풍화에 의한 바늘 및 그물 모양의 거친 표면 형태와 에칭 피트가 나타난다.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 해빈사의 광물학적 특성 (Mineralogy of Beach Sand in Jaeun Island, Shinangun, Chonranamdo)

  • 채수천;정지성;장영남;배인국;신희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9-302
    • /
    • 2007
  •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도의 둔장해수욕장 해변으로부터 채취한 해빈사로부터 중광물 회수공정을 실시하여, 중광물의 특징 및 회수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채취 시료는 깊이별로 상부, 중부 및 하부시료로 구분한 뒤 각각에 대하여 spiral separation을 실시하여 얻은 중광물군을 초기물질로 3차에 걸친 중광물 선별작업을 실시하였다. 본 역에서 배태되어 있는 중광물로 티탄철석, 저어콘, 금홍석, 아나타제, 모나자이트 및 제노타임 등이 관찰되었다. 3차에 걸친 Table separation을 실시한 결과, 맥석광물인 석영, 정장석, 알바이트 및 백운모가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부가적으로 비중선별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수선을 통한 중광물의 선별을 실시한 결과, 각 중광물의 다양한 원마도 및 색깔을 보임으로써, 배태된 중광물들이 다양한 성인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국내 화강암류를 이용한 일부 인공쇄석사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광물.물리화학적 특성 (Minera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ludge Produced During Artificial Sand Processing)

  • 유장한;김용욱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3-311
    • /
    • 2007
  • 국내 모래수요에서 인공쇄석사의 점유율은 30% 이상이며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 인공쇄석사는 주로 화강암 및 편마암류를 원암으로 이용하며, 공정 중에 생기는 슬러지(63마이크론 이하입자)는 침전제를 이용하여 분리되며, 중량대비 15% 내외가 포함된다. 슬러지 구성광물은 석영, 장석, 운모류와 함께 고령토, 녹니석, 질석, 스멕타이트 및 방해석도 간혹 포함된다. 쥬라기 화강암류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대체적으로 백악기 화강암류에 비해서 더 많은 고령토 및 스멕타이트를 포함한다. 반면, 선캠브리아기 시료는 고령토 및 스멕타이트가 확인되지 않는다. 화학조성에 있어서도 화강암류와 슬러지의 사이에 명확한 차이를 나타낸다. 주요 10성분 중에서 $SiO_2,\;Na_2O$$K_2O$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들은 슬러지에서 훨씬 높은 함량을 나타낸다. 슬러지에서 $SiO_2$의 감소는 점토입도에서의 석영함량감소에 기인하며, $Na_2O 감소는 알바이트에 비해서 Ca사장석이 풍화에 약하기 때문이며, $K_2O$는 대체적으로 변화가 미약하다. 슬러지에 대한 입도분석에 의하면, 토양조직 분류상 사질양토에 해당한다. 투수율 측정에 의하면 투수계수가 높으며, 그 원인은 실트 및 점토입자가 다소 풍부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폐기되는 슬러지는 불투수성이 높아 산업폐기물 중의 환경오염물로 분류되며, 쇄석사의 회수율을 저하시키므로 원암선택시 풍화를 덜 받은 화강암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THREE-BODY ABRASIVE WEAR IN A BALL-CRATERING TEST WITH LARGE ABRASIVE PARTICLES

  • Stachowiak, G.B.;Stachowiak, G.W.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second asi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ibology
    • /
    • pp.199-200
    • /
    • 2002
  • Three-body abrasive wear resistance of mild steel, low alloy steel (Bisalloy) and 27%Cr white cast iron was investigated using a ball-cratering test. Glass beads, silica sand, quartz and alumina abrasive particles with sizes larger than $100{\mu}m$ were used to make slurries. It was found that the wear rates of all three materials tested increased with time when angular abrasive particles were used and were rather constant when round particles were used. This increase in wear rates was mainly due to the gradual increase in ball surface roughness with testing time. Abrasive particles with higher angularity caused higher ball surface roughness. Mild steel and Bisalloy were more affected by this ball surface roughness changes than the hard white cast iron. Generally, three-body rolling wear dominated. The contribution of two-body grooving wear increased when the ball roughness was significant. More grooves were found when round particles were used or the size of the particles was decreased.

  • PDF

Silt질 모래의 고변형률 진동특성(기본성질) (Dynamic Properties of Silty Sands at High Amplitude (Basic Properties))

  • 송정락;김수일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4권3호
    • /
    • pp.27-34
    • /
    • 1988
  • 고변형률을 받는 모래는 비선형 거동을 나타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석영질 모래의 공극비와 미세입자 (석영분말)함량을 변화시키면서 모래의 고변형률 진통특성을 공진주 실험을 이용하여 조사 하였다. 그 결과 석영분말을 취음에 따라 전단탄성계수와 감쇠비는 석영분말의 함량을 증가시킬수록 전단변형률에 대한 변화가 점점 더 완만하였고 공극비의 변화에 대해서는 그 변화가 두드러지지 못 하였다. 또한 Rainberg-Osgood방적식을 써서 흙의 진동특성과 전단변형률파의 관계를 고찰하였는 바 전 단탄성계수와 감쇠비 모두의 경우 R은 2.0정도이나 C는 시료상태 및 구속압력에 따라 200에서 3200까지의 큰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광산폐기물과 폴리머를 이용한 Liner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a Liner Manufactured by Mine Wastes and Polymer)

  • 진호일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2호
    • /
    • pp.139-146
    • /
    • 2000
  • Development of an effective liner by utilization of the tailings frm the Imcheon mine and polymer has been tried. The tailings piled in the Imcheon mine, whose true specific gravity is about 2.86, are composed mainly of quartz, alkali-feldspar, muscovite and pyrite, and mostly (93.7% in volume) coarser than sand grain size (50${\mu}{\textrm}{m}$). Strength, leaching and permeability tests have been performed on the test specimens of polymer concrete manufactured with various mixing proportions of tailings, unsaturated polyester resins(UPR), calcium carbonates, stone powder sludges and granite soils. Polymer concrete specimens with stone powder sludges or granite soils as fillers and aggregates indicate 2.5 to 3 fold higher flexural and compressive strengths and lower permeabilities than those with calcium carbonates, which shows their usability as a waterproof liner. Also, the polymer concrete liner with stone powder sludge fillers is more advisable in aspects of utilization of waste sludges than that with other fillers.

  • PDF

화력발전소에서 생성된 크링커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clinker formed in thermal power plants)

  • 박현주;남창현;윤여찬;이태원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4-40
    • /
    • 2003
  • Analyses for concentration, surface phenomena, and crystal structure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causes of clinker formation in three type of pulverized coal fired boilers. Some clinkers had partially molten surface and more CaO and $Fe_2O_3$ as compared with fly ash, and the major crystalline phases identified in the clinker were mullite and quartz. Clinkers were formed in high temperature zone of the boiler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mullite by XRD. Free $SiO_2$ in sand combined with K, Na and Ca in limestone served as a fluxing agent to form clinkers in a circulating bed boiler.

  • PDF

동제련 슬래그를 골재로 사용한 반응성 분말 콘크리트(RPC)의 강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 Properties of Reactive Powder Concrete Using copper slag aggregate)

  • 박민수;이승훈;김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78-279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an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reactive powder concrete using copper slag. So, various RPC containing copper slag were made by replacement ratio of copper slag and different the curing condition and their mechan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slump flow using copper slag tends to increase with replacement ratio. And also, 30% of copper slag with quartz sand was found to have a compressive strength superior to that of plain.

  • PDF

석회암동굴과 위종유동에서 발견된 Pisolite 변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isolite of Limstone Caverns in Korea)

  • 서무송
    • 동굴
    • /
    • 제90호
    • /
    • pp.9-15
    • /
    • 2009
  • 본 연구는 Limestone cavern산 pisolite와 제주도의 용암동굴(용암수도)을 모체로 한 2차원의 위 종유동에서 생성된 pisolite와 이들의 변종인 Axiolite및 Tabular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Limestone cavern에 있어서는 지속적인 중탄산칼슘 용액의 점적이 이루어지나 Lava tunnel은 shelly sand의 카르사이트 질이 빗물에 용탈되어 현무암의 절리 면을 따라 용암동굴내로 들어간다. 따라서 계절 변화에 따른 점적의 빈도차도 speleothem 생성에 큰 차이가 있을 뿐 만 아니라 pisolite와 그들의 변종인 봉상체 즉axiolite와 판상 체인 tabular의 생성에도 깊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