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rantine service

검색결과 644건 처리시간 0.024초

제주도에서 재배되는 망고, 용과, 아떼모야의 주요 해충과 피해 (Pest Lists and Their Damages on Mango, Dragon Fruit and Atemoya in Jeju, Korea)

  • 최경산;양진영;박영미;김소라;최활란;유동표;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5-51
    • /
    • 2013
  • 제주도에서 열대과수로 망고(mango; Mangefera indica), 용과(dragon fruit; Hylocereus undatus), 아떼모야(atemoya; Annona cherimola ${\times}$ A. squamosa) 등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이들 작물에 발생하는 해충 종류와 피해를 조사하였다. 망고 해충 중 총채벌레, 진딧물, 깍지벌레, 나방류 피해가 많았다.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와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는 망고 전 재배기간에 걸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었다. 오이총채벌레는 주로 잎을 가해하였지만 볼록총채벌레는 잎과 과실을 심하게 가해하였다. 나방류 해충은 주로 잎을 가해하였지만, 일부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es honmai.) 유충은 망고 과경지를 중심으로 과실표면에 서식하여 과실 피해를 유발하였다.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과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은 신초에 피해를 주었고,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kraunhiae) 등 깍지벌레는 망고줄기와 과실에 많이 발생하였다. 용과는 개미와 목화진딧물(A. gossypii)에 의한 과실 피해와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유충은 줄기를 심하게 가해하였다. 아떼모야는 주로 나방류 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과 차잎말이나방(Homona magnanima) 피해가 심하였다.

인삼줄기버섯파리(신칭) Phytosciara procera에 의한 피해 실태 보고 (A Report on the Damage Caused by Phytosciara procera, Ginseng Stem Fungus Gnat)

  • 신정섭;조대휘;조혜선;김황용;이흥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275-278
    • /
    • 2008
  • 최근 2005년 파주 6년생 포지를 시작으로 철원, 영월, 괴산 등지에서 정체불명의 해충이 인삼 줄기 속을 파고들어 피해를 주는 현상이 빈번하여, 해당 해충을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국내 미기록종인 Phytosciara procera(신칭: 인삼줄기버섯파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해충은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인삼 해충으로 기록되는 종이며, 검정날개버섯파리과 (Sciaridae) 곤충 중에서 인삼 해충이 확인된 것도 세계 최초이다. 인삼줄기버섯파리에 의한 피해로 추정되는 증상은 1993년 경기도 용인의 6년생 인삼 포지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당시 피해주율이 25%에 이르고 경작자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었지만, 명확한 동정 결과를 얻지 못하였고 피해 실태도 정확히 밝히지 못했었다. 인삼줄기버섯파리는 인삼의 화경, 줄기 부분에서 산란하며, 유충이 줄기 내부를 파고 섭식하여 고사시키는 해충인데, 인삼줄기버섯파리가 만든 상처는 세균의 2차 감염 통로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줄기 속무름병의 발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인삼줄기 버섯파리 성충이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두 차례로 7월 하순부터 8월 상순 사이와 8월 하순부터 9월 상순 사이로 조사되었다. 인삼의 화경제거시 열매를 잔존시켜 건전한 형태로 남겨두거나 피해줄기를 조기에 제거하는 등의 경종적 방제를 이용하면, 인삼줄기버섯파리에 의한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아직 이 해충에 대한 생리, 생태 연구가 미흡한 만큼 기초 조사와 방제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 중 잔류동물용의약품의 안전관리 (Management of Veterinary Drug Residues in Food)

  • 오재호;권찬혁;전종섭;최동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0-325
    • /
    • 2009
  • 동물용의약품은 가축의 질병예방 및 치료, 성장 촉진 등 생산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임에도 불구하고 무분별하게 과용 또는 남용되면 축 수산물에 잔류하게 되고 장기간 노출될 경우 인체에 유해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한 물질이다. 국내 동물용의약품의 관리는 국립수의과학 검역원에서 국내 사용되는 동물용의약품의 허가를 담당하고 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해당 동물용의약품의 잔류자료, 일일섭취허용량, 식품섭취량 및 국민평균체중 등을 이용하여 위해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알맞은 잔류허용기준을 고시하고 있다. 현재 국내의 동물용의약품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은 116 개가 고시되어 있으며, 2009년 말까지 총 142종에 대하여 기준이 설정될 예정이다. 또한 2010년 1월 1일부터 축 수산물 (유, 알 포함) 및 벌꿀에서 기준 미설정 항생제 및 합성항균제가 검출될 경우 0.03 mg/kg의 일률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축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가 강화하게 된다. 현재 동물용의 약품의 기준관리는 이미 선진국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잔류분석법도 또한 국제적 수준에 맞게 개선할 예정이다.

비글개에서 발정 휴지기중의 난포낭종 (Follicular Cysts of a Beagle Dog in Diestrous Stage)

  • 김홍석;강현구;김일화;이청산;이기창;이동엽;문진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3-37
    • /
    • 2007
  • 2년령의 암컷 비글개에서 교배 후 7일째에 혈액장액성 질 분비물과 외음부 종창의 주증을 보여 이를 진단하기 위해서 질 도말 검사,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였다. 초음파 검사 소견상 양측 난소에 10mm 이상의 낭종성 구조물이 다수 관찰되어 양측성 다포성 난소낭종으로 진단하였다. 또한 질 도말 검사에서는 각화 상피세포가 90% 이상이었으며, 수컷의 허용 반응을 확인한 결과 수컷의 허용은 물론 정상적인 교배가 이루어졌다. 이상의 소견을 종합해 본 결과 본 증례는 양측성 다포성 난포낭종으로 진단하였으며 GnRH $50{\mu}g$으로 치료를 실시하였다. 치료후 2주째에 낭종의 크기는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난포낭종으로 진단되기 전 최후 교배일로부터 68일째에 1두의 거대 태아를 분만하였다. 한편, 난포낭종 발생 시기와 임신이 이루어진 시기가 어느 시기인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혈장 progesterone 농도 및 estrogen 농도를 측정한 결과, 난포낭종의 진단시 혈장 estrogen 농도는 78.0 pg/ml 이었고 난포낭종의 진단 전 최후 교배시 progesterone 농도는 6.87ng/ml, 난포낭종의 진단 시 progesterone 농도는 66.93ng/ml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본 증례의 비글견에서 난포낭종이 발생한 시기는 발정 휴지기였으며, 난포낭종의 진단 전 최후 교배 시 임신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울산과 나주에서 채집한 배나무 검은별무늬병균의 ergosterol 생합성 저해제 5종에 대한 감수성 저하 (Reduced Sensitivities of the Pear Scab Fungus (Venturia nashicola) Collected in Ulsan and Naju to Five Ergosterol-biosynthesis-inhibiting Fungicides)

  • 권수민;여무일;최세훈;김건웅;전경진;엄재열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48-58
    • /
    • 2010
  •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배 재배 농가에서는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의 방제를 위해 저항성 발달위험이 높은 EEI를 빈번하게 사용해 왔다. 검은별무늬병이 상습적으로 발생하고 EBI를 오랫동안 사용해 온 울산과 나주에서 검은별무늬 병균을 채취 하여 difenoconazole, fluquinconazole, flusilazole, fenarimol 및 hexaconazole 의 5종 EEl에 대한 감수성을 검정했다. EBI를 함유하는 배지상에서 $EC_{50}$값이 base-line의 평균값 보다 크게 높아진 균주가 산발적으로 발견되었으므로 감수설 저하 또는 저항성 균주가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런데 포트에 재배한 배나무 묘목에 5종의 EBI를 권장사용농도로 포트에 살포하고 3시간 동안 풍건시킨 후, 울산과 나주에서 채취한 포자를 직접 인공 접종한 결과, 울산의 5필지 중 3필지와 나주의 4필지 모두에서 채취한 균은 hexaconazole을 처리한 나무에서 무처리보다 더 높은 이병엽율을 보였으므로 그를 포장에서 채취한 균주집단에는 이 약제에 대해 고도의 저헝성을 갖는 것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 울산의 두 과수원에서 채취한 균은 flusilazole에 대해서도 같은 반응을 보였으므로 역시 그 약제에 대해 저항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톡소포자충 양성 및 음성인 사람 혈청에 대한 네오포자충 (Neospora caninum) (Antibody reaction of human anti-Toxoplasma gondii positive and negative sera with Neospora caninum antigens)

  • Ho-Woo NAM;Seung-Won KANG;Won-Young CHO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4호
    • /
    • pp.269-275
    • /
    • 1998
  • 톡소포자충과 네오포자충 (Neospora caninum)의 충체 항원으로 톡소포자충 양성 혈청 및 톡소포자충증 환자의 혈청과 ELISA, western blot 및 면역형광법을 실시하였다. ELISA에서는 172명의 톡소포자충 양성 혈청에서 12명 (6.7%)이 두 항원에 모두 반응하였으며, 톡소포자충 음성인 110명의 혈청에서 1명이 네오포자충과 반응하였다. 교차반응을 보인 12 명의 혈청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을 때, 톡소포자충 항원과는 다양한 양상으로 반응하였으나, 30 kDa (SAG1)과 22 kDa (SAG2) 항원과 강하게 반응하였다. 네오포자충과의 반응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세 경우에서 43 kDa 단백질과 반응하였으며, 음성 혈청군의 1명도 43 kDa 단백질과 반응하였다. 면역형광법에서는 모든 양성 혈청이 톡소포자충의 세포막에 표지되었으나, 네오포자충과의 반응은 세포막, 세포 내 소기관, 혹은 둘 다를 표지하였다. 이로써, 톡소포자충과 네오포자충의 항원적 교차반응과 사람 혈청에서 네오포자충에 대한 항체의 존재를 확인하였으며, 네오포자충에 의한 인체감염 가능성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 N. caninum의 우리말 이름을 네오포자충으로 제안한다.

  • PDF

Miniature Schnauzer 견에서 혈중 Estradiol-$17{\beta}$와 Progesterone 농도 측정에 의한 배란시기 추정 (Estimating the Ovulation Time Based on Plasma Estradiol-$17{\beta}$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s in Miniature Schnauzer Dogs)

  • 김정배;김방실;문병권;윤창진;박철호;문진산;서국현;오기석;손창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9-84
    • /
    • 2008
  • For estimating the ovulation time in Miniature Schnauzer dogs during the estrous cycle, radioimmunoassay of plasma estradiol-$17{\beta}$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as conducted on blood samples in 21 pregnant and 13 non pregnant dogs. When Day 0 was that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exceeded 4.0 ng/ml, on Day 64, parturition day, progesterone declined below 1.0 ng/ml with $0.92\;{\pm}\;0.29\;ng/ml$ and when Day 0 was that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declined below 1.0 ng/ml, on Day -64, progesterone increased above 4.0 ng/ml with $4.56\;{\pm}\;0.87\;ng/ml$. Gestational length was $63.71\;{\pm}\;1.35$ (Mean${\pm}$S.D.) days from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exceeded 4.0 ng/ml and was $66.29\;{\pm}\;1.98$ days from first male acceptance. The plasma estradiol-$17{\beta}$ concentrations reached maximum value with $28.20\;{\pm}\;2.86\;pg/ml$ on Day .2, and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reached $5.90\;{\pm}\;0.36 ng/ml, 5.18\;{\pm}\;0.32 ng/ml on Day 0, and the maximum of 61.58\;{\pm}\;10.47 ng/ml on Day 19 and 56.05\;{\pm}\;8.86\;ng/ml$ on Day 16 in pregnant and non pregnant dogs, respectively. Afterward,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declined below 1.0 ng/ml on Day 64 with $0.92\;{\pm}\;0.29\;ng/ml$ in pregnant cycles and on Day 58 with $0.95\;{\pm}\;0.63\;ng/ml$ in non pregnant dogs. No difference were found pregnant and non pregnant dogs in plasma estradiol-$17{\beta}$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s (p<0.01). Based on first male acceptance (Day 0), the maximum of plasma estradiol-$17{\beta}$ concentrations ($29.31\;{\pm}\;3.61\;pg/ml$) occurred on Day -1 and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exceeded 4.0 ng/ml on Day 2 in pregnant ($5.37\;{\pm}\;0.76\;ng/ml$) and non pregnant ($4.25\;{\pm}\;0.80\;ng/ml$) do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Miniature Schnauzers, the ovulation occurred when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s exceeded 4.0 ng/ml, 3 days after plasma estradiol-$17{\beta}$ peak and 2 days after first male acceptance.

시료고체상분산처리와 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소의 근육, 간 및 천엽에서의 벤지미다졸계 구충제 잔류분석 (Matrix solid phase dispersion isolation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ive benzimidazole anthelmintics in bovine muscle, liver and omasum)

  • 김충희;김곤섭;박정희;하대식;류재두;손성기;허정호;정명호;김종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1-181
    • /
    • 2002
  • Simultaneous multiresidue analysi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determination for five benzimidazole anthelmintics(thiabendazole, oxibendazole, albendazole, mebendazole and fenbendazole) in bovine muscle, liver and omasum has been described. Blank or benzimidazole-fortified samples(0.5g) were blended with bulk $C_{18}$($40{\mu}m$, 18% load, endcapped, 2g). A column made from the resultant $C_{18}$/animal tissue matrix was first washed with hexane($8m{\ell}$), following which the benzimidazoles were eluted with acetonitrile($8m{\ell}$). Analytes of extracted sample were determined by liquid chromatography with UV detector at 290nm.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tandard curves for individual benzimidazole isolated from fortified samples, using internal standardization, were linear($0.991{\pm}0.007$ to $0.996{\pm}0.005$) with average relative percentage recoveries from $62.1{\pm}3.8(%)$ to $92.3{\pm}7.5(%)$ for the concentration range($0.2{\sim}6.4{\mu}g/g$), respectively. Recoveries rates of TBZ, MBZ in liver, OBZ, MBZ in muscle and TBZ, MBZ in omasium from fortified benzimidazole were 92.%, 87.3%, 74.5%, 82.7%, 75.2% and 83.5% at condition II, respectively. Condition II showed higher recoveries rates than condition I.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trix solid phase dispersion(MSPD) methodology is acceptable for the determination of 5 benzimidazole anthelmintics and may also suitable for other matrixes of food animal origin.

Effect of Low Ambient Temperature on the Concentration of Free Radicals Related to Ascites in Broiler Chickens

  • Han, Bo;Yoon, Soon-Seek;Han, Hong-Ryul;Qu, Wei-jie;Nigussie, Fikr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8호
    • /
    • pp.1182-1187
    • /
    • 2005
  • A flock of Arbor Acres chickens were reared in cages and provided with high energy pelleted feed. At 14 d of age, a total of 350 birds were separated into 3 groups randomly as follows: 100 birds were exposed to ambient temperature of 20$^{\circ}C$ as a control group, 150 birds were exposed to lower ambient temperature of 11$^{\circ}C$ to induce ascites (group I), and another group of 100 birds were exposed to lower ambient temperature of 11$^{\circ}C$ and fed diet containing 1% L-arginine for ascitic prophylactic treatment (group II). Blood and tissue samples (lung and liver) were collected from chickens at 3, 4, 5, 6 and 7 wk of age subsequently,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and activities of free radicals, mononaldehyde (MDA), superoxide dismutase (SOD), Nitric Oxide (NO) and Nitric oxide synthase (NO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valence of ascites in the control, group I and group II was 3%, 9.33% and 3% respectively (p<0.01). The concentration of free radicals in the lungs of 3 wks old preascitic broilers in group 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rresponding control group (p<0.05). The concentrations of free radicals in lung and liver in the 7 wk period, and that of NO and SOD in the plasma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1). However, the accumulated MDA contents in group I were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group II (p<0.05), respectively. In the same way, the activity of NOS in group II was higher than both group I and control group (p<0.01) during the 7 wk peri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D activities of group II and the control group (p>0.05), and also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S in group I and the control group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MDA in group II. 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ion of free radicals decreased and MDA concentration increased in group I during the 7 wk period. The reduction in concentration of MDA in group II, following arginine supplementation may be associated with the scavenging activity of NO.

정유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수삼 저장병 방제 (Environment Friendly Control of Gray Mold, a Ginseng Storage Disease Using Essential Oils)

  • 김중배;김남규;임진하;김선익;김현호;송정영;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36-241
    • /
    • 2009
  • 본 연구는 정유를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으로 Botrytis cinerea에 의한 수삼 저장병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정유의 일종인 methyl eugenol은 200 ppm 농도의 배지상에서 80% 이상의 높은 균사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상온에서 수삼에 직접 처리 시 무처리구에서 80% 이상의 발병률을 보일 때 methyl eugenol이나 thymol 모두 분무와 침지처리구에서 10~20% 이하로 낮게 발병하여 높은 병 방제효과를 보였다. 저온($4^{\circ}C$)에서의 처리결과도 실온과 비슷하게 포장크기와 상관없이 무처리구에 비해 발병률이 매우 낮게 나타나 역시 실용적인 효과가 뛰어났다. 2 kg 이상을 분석한 대포장 실험에서도 무처리구는 발병지수가 1.65를 보인 반면 methyl eugenol은 0.60으로 개체별 발병면적이 상대적으로 매우 좁게 나타났다. 그러나 두 물질(methyl eugenol+thymol)의 혼합처리에 의한 상승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Methyl eugenol은 잔류독성이 없고 수삼 저장병 발생 억제효과가 뚜렷해 수삼 저장 시 처리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제제로서 활용 가능하며 특히 신선한 상태로 섭취가 가능해야하는 수삼의 특성으로 볼 때 수삼 저장병 방제제로서의 활용가치는 더욱 클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