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y-Intensity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4초

Mieko Han의 한국어 음성학 연구 (Mieko Han and her Works on Korean Phonetics)

  • 고도흥
    • 음성과학
    • /
    • 제1권
    • /
    • pp.213-223
    • /
    • 1997
  • This paper deals with a general review of Mieko S. Han, who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studies of Korean phonetics during the 1960' s and early 1970' s. As both a single and joint author, Dr. Han published important papers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which have been cited among Korean phoneticians until today. Before Dr. M. Han' s work, professor of USC in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 Cultures, there were only a few phonetics-related publications in Korea, most of which are papers or books based on non-experimental traditional approach. It is known that there was coexistence between traditionalism and structuralism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It was, however, fortunate that we had two important phoneticians (M. Han and Chin-W Kim) abroad at that time. Mieko Han' s concern was to investigate experi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of Korean vowels and consonants using a Spectrograph, which was the single most important tool for analysing phonetic data at that time. Dr. Han conducted her experimental studies on Korean phonetics, mostly funded by the Office of Naval Research, in terms of duration, fundamental frequency, Voice Onset Time (VOT), intensity, and so on. This paper aims to re-appreciate Dr. Han's specific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Korean phonetics since sh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pioneer of early Korean phonetics. Further,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Dr. Han's works can be extremely useful for a graduate student, who seriously would like to specialize in Korean phonetics in the first step.

  • PDF

홍수 사상에 대한 소유역 강우-유출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Event Rainfall-Runoff Model in Small Watersheds)

  • 이상호;이길성
    • 물과 미래
    • /
    • 제27권3호
    • /
    • pp.145-158
    • /
    • 1994
  • 소유역 강우-유출모형으로서 유출함수법을 대폭 개선한 선형저수지 강우-유출 체계를 수립하였다. 매개변수의 수는 6개이고 수문학적 손실은 일정량의 초기손실과 일정비의 후기손실로 계산하며 추적식은 해석적으로 유도하였다. 변수추정은 Hooke and Jeees 방법에 의한 자동추정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서면과 문막 수위표의 '84∼'89년 홍수에 적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매개변수중 초기손실은 선행강우의 영향을 받으나 이를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실시간 예측시 주요 매개변수를 선택하는 방법도 보완되어야 한다.

함탄층(含炭層) 내의 chiastolite-shale의 개발(開發)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Research on the Exploitation and Utilitization of Chiastolite bearing shale in the Coal bearing strata)

  • 김옥준;김규한
    • 자원환경지질
    • /
    • 제8권3호
    • /
    • pp.135-146
    • /
    • 1975
  • The chiastolite bearing shale was known to occur in various coal fields in South Korea among which the Kangneung coal fields is the most outstanding in quality and quantity of chiastolite. The chiastolite occurs mostly in black shales of Sadong formation and little in shales of Hongjom and Kobangsan formations, and is most abundant in the footwall coaly shales of the Sadong coal seams. The chiastolite has been proved to be thermal contact product of the high aluminous shal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Kangneung granite. The distribution of chiastolite in the Kangneung coal field is irregular. The eastern part of the region contains more chiastolite than that of western part. It is believed that the difference of the grade is due to the intensity of metamorphism. The grade of chiastolite in the shale varies from few percent up to as high as 60 % in volume, and the minable reserve of the chiastolite is estimated about 4,700,000 tons. This reserves is rather concentrated in few localities such as in Jiam Mine, Jungrim Mine, Sir 1 Hang in the Whasung Mine, the second and third sections of Kangneung Mine and Umbuelri distric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hiastolite bearing coaly shale is $SiO_2$, 35.0%; $Al_2O_3$, 27.0%; $Fe_2O_3$, 0.29%.

  • PDF

미계측 유역 홍수예보를 위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기반의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의 활용 (Application of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based Intensity-Duration-Quantity Curve for Unagaged Basin Flood warning)

  • 김진겸;강부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45-645
    • /
    • 2015
  • 기존 홍수예보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절차는 관측되는 강우를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량을 계산하고 댐 저수량과 현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천의 수위와 유량을 판단한 뒤 홍수예보 및 경보를 발령한다. 이러한 방법은 모형의 구동에 걸리는 시간으로 인한 의사결정 시간의 단축, 모형의 성능에 의존하는 홍수예측 결과 등의 단점이 존재하며, 관련 전문가가 상주하며 홍수 유무를 판단하고 상황을 전파해야하는 인적 재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기반의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을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 홍수예보에 활용하는 기법을 평가하였다. 계측된 유역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포형 모형의 검보정을 실시하고 하천의 예경보 홍수량에 준하는 한계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이때. 다양한 지속시간의 강우를 적용하였으며 토양함수상태에 따른 IDQ 곡선을 산정하여 발생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에 대비할 수 있는 홍수예보 기법을 제시하였다. 주요 홍수예경보지점에 적절한 IDQ 곡선을 보유하게 된다면 비전문가도 신속한 홍수예경보 의사결정이 가능하여 각 지자체와 유관기관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Current Issues, Trends and Possibilities in Water Sector in Nepal

  • Shrestha, Hari Krishna
    • 물과 미래
    • /
    • 제52권8호
    • /
    • pp.56-66
    • /
    • 2019
  • Nepal is bestowed with abundant water. With more than 1500 mm average annual rainfall in the country, a vast quantity of underutilized groundwater in the Terai belt, and the water stored in snowcaps in the Himalayas, aquifers in the mountains and glacial lakes, Nepal is potentially in an advantageous position in terms of per capita availability. However, low emphasis in management aspect of water and high emphasis in infrastructural developments related to water resources management has resulted in conversion of water in Nepal from a resource to a burden. The global climate change, reduction in number of rainy days, increase in intensity of rainfall during wet monsoon season, encroachment of river banks for settlement, inadequate release of environmental flows from hydropower plants, and attempt to tame the mighty and high velocity rivers of Nepal have resulted in increasing number of water induced disasters (flood and landslide), rise in conflict between local residents and hydropower developers, higher number of devastating landslides, and in some extreme cases mass migration of residents resulting in climate refugees. There is a ray of hope; the awareness level of the people regarding sustainable use of water resources is increasing, the benefit sharing mechanism is gradually being implemented, the role of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s appreciated at a higher level and the level of preparedness against flood and landslides is at a higher degree compared to a couple of decades ago. With the use of renewable energy sources, the possibilities for sustainable and productive use of water are on the rise in Nepal.

The Impact of Manual Therapy on Pain Catastrophizing in Chronic Pain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Hyunjoong Kim;Seungwon Le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177-184
    • /
    • 2023
  • Objective: Manual therapy is a commonly utilized approach in managing chronic pain, but its specific impact on pain catastrophizing remains uncertain. The objective of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nual therapy on pain catastrophizing in individuals with chronic pain. Desig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A comprehensive search was conducted in electronic databases to identify relevant studies published from 2014 onwards. Studies that evaluated the impact of manual therapy on pain catastrophizing in individuals with chronic pain were incorporated. The risk of bias in the selected studies was evaluated using the Cochrane tool for risk of bias in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RevMan 5.4 software was utilized, employing a random-effects model as the analysis model. The effect measure used in the analysis was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Results: In total, 26 studies were collected, and following the screening process, three of them were incorporated into the final analysis. The included studies involved a total of 153 patients with chronic pain. The interventions comprised various manual therapy techniques targeting different areas of the body. Pain catastrophizing and pain intensity were the primary outcomes of interest. The meta-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pain catastrophizing scores following manual therapy intervention compared to control conditions (SMD = -0.91, 95% CI: -1.25 to -0.58). However, heterogeneity between the studies was observed. Conclusions: Despite the limited quantity and heterogeneity of studie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manual therapy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reducing pain catastrophizing in individuals with chronic pain.

연료분출을 수반하는 보염기 후류에 형성되는 확산화염의 보염특성 (Stabil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Diffusion Flame Formed in the Wake of Bluff Body with Fuel Injection)

  • 안진근
    • 에너지공학
    • /
    • 제10권3호
    • /
    • pp.223-232
    • /
    • 2001
  • 보염기 후류에 형성되는 화산회생의 보염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연료 분출각의 변화, 난류발생격자의 설치, 재순환영역 내에 보조 연료의 공급에 따른 화염의 안정범위, 재순환영역의 길이 및 온도, 재순환영역주변의 난류강도 분포를 측정, 고찰하였다. 재순환영역의 길이는 주 연료 분출량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지만, 연료 분출각 및 주류유속의 변화, 보조 연료의 공급 난류발생격자의 설치 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확산화염의 경우 일반적으고 재순환영역의 길이가 길수록 보염성이 불량하지만, 난류발생격자를 설치한 경우에는 재순환영역의 길이가 길수록 보염성이 양호하다. 재순환영역의 온도는 연료 분출각의 변화, 보조 연료의 공급, 난류발생격사의 설치 등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이론 혼합기 상태에서 최고값에 도달한다. 일반적으로 재순환영역의 온도가 낮을수록 보염성이 양호하지만. 난류발생격자를 설치한 경우에는 재순환영역의 온도가 낮을수록 보염성이 불량하다. 화염이 형성되는 보염기 후류 영역에 대한 난류강도는 격자의 직경이나 구속비가 큰 난류발생 격자를 설치한 경우에 크게 나타나며, 난류강도가 강 할수록 보염성이 불량하다. 연료 분출각의 변화, 난류발생격자의 설치, 재순환영역 내에 보조 연료의 공급 등의 방법으로 확산화염의 보염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 PDF

탈수(脫水) 및 건조기법(乾燥技法)을 이용한 정수장(淨水場) 슬러지 감량화(減量化) (Sludge Minimization by Using Dewater and Thermal Treatment in the Water Treatment Plant)

  • 전항배;김영한;김량
    • 유기물자원화
    • /
    • 제2권1호
    • /
    • pp.87-98
    • /
    • 1994
  • 슬러지 발생량은 정수처리공정에서 부터 슬러지 농축 및 탈수에 이르는 과정을 최적화하므로써 감량화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탈수 및 건조기법에 의하여 정수처리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어 슬러지 발생량을 줄이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탈수효율향상을 위한 polymer 투입량 및 교반조건등을 최적화하고, 온도에 따른 슬러지의 중량변화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탈수효율은 polymer의 종류보다 교반강도에 의한 영향이 크고, pH의 영향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 polymer 주입농도는 1.5mg-polymer/g-TSS이었고, pH가 약산성이나 약알카리성 조건에서 탈수효율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반강도는 낮을수록(10,000ses-1이하) 효율이 향상되었고, 속도구배(G)보다 GT값이 중요한 영향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수의 건조는 $100^{\circ}C$ 전후, 화학적 결함수는 $300^{\circ}C$ 근방에서 증발하며, 유기물질은 약 $300-600^{\circ}C$ 구간에서 산화되어 증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수원 수질에 따라 강열감량은 약 15-40%로 나타났으며, 화학적 결합수에 의한 감량이 약 10-20%, 유기물질에 의한 감량이 약 4-20%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탈착 유효량과 가용량의 연관성을 이용한 토양 인산과 아연의 상관 관계 측정 (Determination of Soil Phosphorus and Zinc Interactions using Desorption Quantity-Intensity Relationships)

  • 이진호;제임스 두리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59-65
    • /
    • 2004
  • 토양 중 인산과 아연의 상관관계는 이들 원소들이 농업환경에 밀접하게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 원소에 대한 유용성 측정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양 인산과 아연의 상관관계를 유효량(Q) 가용량(I)의 등온 탈착식을 이용하여 측정 평가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토양은 물리 화학적 특성이 다른 토양으로, 산성토양인 Egan, 산성 사질 토양인 Egeland, 염기성 토양인 Glenham, 중성 토양인 Maddock 이다. 토양 중에 여러농도의 인산과 아연을 $KH_2PO_4$ and $ZnSO_4$ 용액을 사용하여 처리하고 포장용수량 조건에서 안정화 시킨 후 사용하였다. 아연의 처리는 다른 토양과 비교할 때 점토, 유기물 및 치환성 철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Egan 토양에서 인산의 유용성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토양 중 아연 처리 후 토양 토양수계의 pH가 토양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산성 사질 토양인 Egeland 토양에서는 급격하게 낮아졌고, 염기성 Glenham 토양에서는 변화하지 않았으며, 점토와 미사의 함유량이 높은 산성 Egan 토양 또는 중성 Maddock 토양에서는 미세하게 감소하였다. 인산의 최고 유효량($Q_{max}$)과 최고 가용량($I_0$)은 아연의 처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모든 토양에서 증가하였으나, 이러한 증가는 대부분의 토양에서 인산의 완충력(|BPo|) 계수에 영향을 주지않았다. 다른 한편으로, 토양 중 인산 처리에 있어 아연의 유용성에 대한 영향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아연의 완충력($BC_{Zn}$)계수는 Egeland 토양, 즉 토양 pH, 점토량, 유기물 함량, 양이온치환용량, 및 치환성 철이 가장 낮게 함유된 토양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염기성 Glenham 토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C_{Zn}$ 계수는 202부터 4480까지 분포되었다. 인산 처리는 $BC_{Zn}$에 영향을 주었으며, $BC_{Zn}$계수는 주요 인자인 $H_2O$추출성 아연 함량(I)과 DTPA 추출성 아연 함량(Q) 중 I의 영향을 주로 받았고, Q와 I의 변화는 토양특성, 특히 토양 pH에 의존하였다.

탈착 등온식을 이용한 토양 중 인산 완충력 측정 (Measurement of Phosphorus Buffering Power in Various Soils using Desorption Isotherm)

  • 이진호;제임스 두리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20-227
    • /
    • 2004
  • 인산은 식물 영양 물질과 환경 오염원으로 대비되는 불질이의로, 인산의 탈착 반응에 대한 연구는 농업과 환경에 관련된 토양 중에서 인산의 작용기작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인산 탈착 유효량(Q)과 가용량(I)의 매개 변수($Q_{max}$$I_0$)와 관련된 인산 완충력을 측정하고, 그 매개 변수와 토양 특성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특징을 조사하였다. 토양은 인산 무처리 표본과 $KH_2PO_4$ 용액을 사용하여 $100mg\;P\;kg^{-1}$의 농토를 처리한 표본을 이용하였다. 인산 탈착 Q/I 곡선은 음이온교환수지비즈법을 사용하여 얻었고, 실험 방정식 ($Q=aI^{-1}+bIn(I+1)+c$)을 이용하여 탈착 곡선을 설명하였다. 유효 인산 함량이 높은 토양 (${\g}20mg\;kg^{-1}$ of Olsen P)에서는 인산 처리 유무와 관계 없이 인산 탈착 Q/I 곡선은 특징적인 오목형 곡선 형태를 보였으나, 유효 인산 함량이 낮은 토양 (${\lt}20mg\;kg^{-1}$ of Olsen P)에서는 인산의 추가 처리 없이는 오목형 인산 탈착 Q/I 곡선을 얻을 수 없었다. 인산 추가 처리 시, 고형의 불안정 결합형 인산량$Q_{max}$)과 용액 내 인산량($I_0$)은 증가하였으나, $Q_{max}$$I_0$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그로 인하여, 인산의 완충력($|BP_0|$)을 나타내는 인산 탈차 Q/I 곡선의 경사가 감소하였다. 유효 인산 함량이 높은 토양 중 인산 무처러 표본의 인산 완충력($|BP_0|$)은 $48\;61L\;kg^{-1}$ 인산 추가 처리 표본의 인산 완충력은 $18\;44L\;kg^{-1}$ 사이에서 나타났으며, 실험에 사용된 모든 토양에 인산을 추가 처리한 후 나타난 인산 완충력은 $14\;79L\;kg^{-1}$ 사이에서 나타났으며, 또한 $Q_{max}$ 계수는 $71.4\;173.1mg\;P\;kg^{-1}$, $I_0$ 계수는 $0.98\;3.72mg\;P\;L^{-1}$ 사이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인산 완충력을 지배하는 $Q_{max}$$I_0$, 계수는 토양 특성 중 하나의 특정 인자와 관련된 것으로는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이들 계수는 토양 pH, 점토함량, 유기물함량 빛 석회함유 여부와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다. 또한, 토양으로부터 인산의 방출 활성은 처리된 인산의 천연 불안정 인산의 탈착성에 현저히 의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