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ve ultrasound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5초

초음파가 세균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ltrasound on Bacterial Growth)

  • 최현주;박래준;황태연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3호
    • /
    • pp.311-317
    • /
    • 2000
  • The puroose of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bacterial growth in vitro according to intensities and exposure time. to basic data far ultrasound and clinical research. The Staphylococcus aureus which are commonly isolated from open wound were incubated in an incubator for 24 hours following expoure 1MHz continuous ultrasound(CUS). Then quantitative bacterial counts were obta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The groups CUS was appied changed in bacterial growth according to intensities and time respectively. 2. The groups CUS was appied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f bacterial growth. 3. The number of S. aureus significantly reduced to fellowing expoure $3.0w/cm^2$ CUS during 20min.

  • PDF

ATAD2 is Highly Expressed in Ovarian Carcinomas and Indicates Poor Prognosis

  • Wan, Wei-Na;Zhang, Yi-Xia;Wang, Xue-Mei;Liu, Yan-Jun;Zhang, Yu-Qin;Que, Yan-Hong;Zhao, Wen-J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777-278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ression of ATAD2 in ovarian tumor tissue as well as its relationship with degree of malignancy. Tumor tissue from 110 cases of ovarian cancer was col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Declaration of Helsinki for evaluation of ATAD2 expression iimmunohistochemistry, quantitative PCR (qPCR) and Western blot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TAD2 expression and and the prognosis of ovarian cancer was evaluated by Cox regression model. In addition, HO-8910 and OVCAR-3 cells were transfected with two siRNAs targeting ATAD2.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with MTT assay, and cell migration by transwell migration assay. ATAD2 was shown to be highly expressed in 65.5% (72/110) of ovarian cancer cases, both at transcriptional and protein levels. Moreover, highly ex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gree of malignancy. Knock-down of ATAD2 in HO-8910 and OVCAR-3 cells was found to reduce cell migration. In addition, follow-up visits of the patients demonstrated that the 5-year survival rate was lower in patients with high expression of ATAD2. Our study suggested that ovarian tumor tissue may have highly expressed ATAD2, which is associated with tumor stage, omentum-metastasis, ascites and CA-125. Increased ATAD2 may play important roles in tumor proliferation and migration. ATAD2 could serve in particular as a prognostic marker and a therapeutic target for ovarian cancer.

유방 초음파 영상의 컴퓨터 보조 진단을 위한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of breast ultrasound imaging)

  • 엄상희;남재현;예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7-310
    • /
    • 2021
  • 지난 몇년간 유방 초음파영상을 이용한 신호 및 영상처리 기술과 자동 영상 최적화 기술, 유방 종괴 자동 검출 및 분류 기술 등, 컴퓨터 보조 진단(computer-aided diagnosis, CAD)을 활용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 컴퓨터진단기술이 개발될수록 암의 조기 발견이 정확하고 빠르게 진행되어 건강 보험과 환자의 검사 빙용을 줄일 수 있고 조직 검사에 대한 불안감을 없앨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GLCM(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을 사용하여 초음파 영상에서 종양의 정량적 분석을 진행하여 컴퓨터보조 진단에 활용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 PDF

Ultrasound Targeted Microbubble Destruction for Novel Dual Targeting of HSP72 and HSC70 in Prostate Cancer

  • Wang, Hang-Hui;Song, Yi-Xin;Bai, Min;Jin, Li-Fang;Gu, Ji-Ying;Su, Yi-Jin;Liu, Long;Jia, Chao;Du, Lian-F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3호
    • /
    • pp.1285-1290
    • /
    • 2014
  • The aim was to determine whether ultrasound targeted microbubble destruction (UTMD) promotes dual targeting of HSP72 and HSC70 for therapy of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CRPC), to improve the specific and efficient delivery of siRNA, to induce tumor cell specific apoptosis, and to find new therapeutic targets specific of CRPC.VCaP cells were transfected with siRNA oligonucleotides. HSP70, HSP90 and cleaved caspase-3 expression were determined by 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ting. Apoptosis and transfection efficiency were assessed by flow cytometry. Cell viability assays were used to evaluate safety. We found HSP72, HSC70 and HSP90 expression to be absent or weak in normal prostate epithelial cells (RWPE-1), but uniformly strong in prostate cancerous cells (VCaP). UTMD combined with dual targeting of HSP72 and HSC70 siRNA improve the efficiency of transfection, cell uptake of siRNA, downregulation of HSP70 and HSP90 expression in VCaP cells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 and induction of extensive tumor-specific apoptosis. Cell counting kit-8 assays showed decreased cellular viability in the HSP72/HSC70-siRNA silenc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UTMD with dual targeting HSP70 therapy for PCa may be most efficacious, providng a novel, reliable, non-invasive, safe targeted approach to improve the specific and efficient delivery of siRNA, and achieve maximal effects.

The Study on the Appropriate Workforce Estimation of Clinical Technologists for Job Creation in the Field of Ultrasonic Inspection

  • Bae, Hyung-Joon;Kim, Dae-Sik;Lee, Og kyoung;Kim, Chul-Seung;Choi, Sun Young;An, Young-Hoi;Kim, Eun-Young;Kang, Kun-Woo;Jang, Jin-Y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1-389
    • /
    • 2019
  • The physiological function test is the only patient contact area in the field of clinical laboratory. We need to recruit and encourage the experts due to requiring the expertise and long time for examination.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rule for estimating optimal workforce in the field of physiological function te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sis of the studies for mid- to long-long term job creation in the field of ultrasound by evaluating the number of appropriate tests and appropriate workforce. We calculat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orkload for the number of appropriate tests and appropriate workforce using online questionnaire.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8.0 (SPSS Inc., Chicago, IL, USA). A total of 216 respondents were 48 (22.2%) male and 168 (77.8%) female. A total of 157 laboratories were 62 (39.5%) for echocardiography, 91 (58.0%) for the transcranial Doppler (TCD) and 4 (5.7%) for the carotid ultrasound. The mean number of appropriate tests was 10 ± 2 in the echocardiography, 9 ± 2 in TCD and 11 ± 2 in the carotid ultrasound. In addition, the number of laboratories required to recruit employees for appropriate workforce was 19 in echocardiography, 18 in TCD, and 0 in carotid ultrasound. The number of hospital required to recruit workforce were 7 primary hospitals, 22 secondary hospitals, 7 third hospitals.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as the first study at present time when the data on the workforce status and work environment of the ultrasonic laboratories is insufficient. Based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orkloads, the number of appropriate tests and appropriate workforce can support mid- to long-long term job creation in the field of ultrasound.

생체 외 조건의 소 대퇴골 해면질골에서 음향특성과 골밀도 사이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Acoustic Propertie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Bovine Femoral Trabecular Bone In Vitro)

  • 황교승;서동완;이강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44-25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골절 위험도가 높은 대퇴골에서 음속 및 광대역 초음파 감쇠와 같은 음향특성과 골밀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0.5 및 1.0 MHz의 중심주파수를 갖는 두 쌍의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함께 투과법을 이용하여 생체 외 조건에서 15개의 소 대퇴골 해면질골 샘플의 음속 및 광대역 초음파 감쇠를 측정하였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 단층촬영법을 이용하여 해면질골 샘플의 단위체적당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골밀도는 0.5 및 1.0 MHz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음속 및 광대역 초음파 감쇠와 모두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골밀도와 0.5 MHz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광대역 초음파 감쇠 사이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생체 외 조건의 대퇴골에서 측정된 음향특성이 대퇴골의 골밀도를 예측하기에 충분한 지표라는 것을 의미한다.

적응 대역필터를 이용한 의료 초음파 감쇠 예측 (Estimation of Medical Ultrasound Attenuation using Adaptive Bandpass Filters)

  • 허서원;이준환;김형석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7권5호
    • /
    • pp.43-51
    • /
    • 2010
  • 의료 초음파 신호의 인체내 감쇠지수는 검사대상 조직의 병리학적 특성을 반영할 뿐 아니라 다른 여러 의료 초음파 지수들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 선행하여 측정해야 하는 중요한 정량적 정보 중 하나이다. 그러나 초음파 감쇠지수의 주파수 선택적 감쇠특성을 이용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정량적 감쇠지수 예측 방법은 계산량이 많아 실시간 적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상대적으로 계산량이 적은 시간 영역의 감쇠지수 예측 방법은 전송 펄스의 회절효과를 잘 보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표준 반향신호를 이용하여 전송 펄스의 회절효과를 보상하는 시간 영역의 예측 알고리듬인 VSA(Video Signal Analysis) 방법은 광대역 펄스를 이용하는 경우, 원거리에서 반향된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여 예측 정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응 대역필터를 이용한 초음파 감쇠지수 예측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반향 경로를 따라 누적된 신호 감쇠를 고려하여 적응 대역필터의 중심 주파수를 이동시킴으로써, 기존의 고정 대역필터를 사용하는 방법보다 예측 정확도와 정밀도를 높인다. 인체 조직의 초음파 반향특성을 모방한 컴퓨터 모의실험과 실제 TM(tissue-mimicking) phantom을 이용한 실험에서, 광대역 전송 펄스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반향 깊이에 따른 상대적 echogenicity의 왜곡이 크게 감소하여 평균적으로 예측 감쇠지수의 정확도가 5.1% 향상되었고, 예측 편차도 기존의 방법에 비해 46.9% 감소되었다.

뜸 자극용 초음파 치료기기의 음향렌즈 설계를 위한 초음파 집속 특성 연구 (Study of Focusing Characteristics of Ultrasound for Designing Acoustic Lens in Ultrasonic Moxibustion Device)

  • 배재현;송성진;김학준;김기복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4-140
    • /
    • 2015
  • 전통적인 뜸 요법은 시술자의 주관적이고 정성적인 치료로 인해 환자의 피부에 강한 열 자극이 가해져 심한 통증을 주거나 화상을 입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객관성과 정량화가 가능한 초음파를 활용한 뜸 자극 치료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초음파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초음파 치료기기의 음향렌즈에 따른 초음파 집속 특성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집속 특성에 영향을 주는 음향렌즈의 형태(오목렌즈, 계단형 렌즈)에 따른 집속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렌즈의 음압 분포, 음압의 크기, 초점의 위치를 계산하였으며, 설계한 렌즈를 제작하여 음압 측정 실험을 통해 음향렌즈의 집속 성능을 검증하였다.

GLCM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미만성 갑상샘 질환 초음파 영상 분류 (Ultrasound Image Classification of Diffuse Thyroid Disease using GLCM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 엄상희;남재현;예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956-962
    • /
    • 2022
  • 미만성 갑상샘 질환은 그 진단 기준이 모호하고 숙련자의 주관적인 진단에 따라 오류가 많이 발생한다. 초음파 영상에 영상처리기술을 적용하고 정량적 데이터를 추출하여 컴퓨터 보조 진단 시스템에 적용하게 되면 보다 정확하고 정략적인 진단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갑상샘 질환 환자를 정상, 경도, 중등도로 분류된 초음파 영상에 GLCM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19개의 파라미터를 추출하였다. 이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인공신경망을 적용하여 미만성 갑상샘 초음파 영상을 분류하여 최종 96.9%의 분류율을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갑상샘 질환의 진단에 있어 육안 판독에 따른 오류를 감소시키고, 미만성 갑상샘 질환 진단의 2차적인 수단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고속 초음파 영상의 효과적인 데이터율 저감을 위한 적응 양자화 (Adaptive quantization for effective data-rate reduction in ultrafast ultrasound imaging)

  • 장도영;윤희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22-428
    • /
    • 2023
  • 초고속 초음파 영상은 탄성 영상, 초고속 도플러, 초해상도 영상과 같은 다양한 초음파 기반의 기능성 영상기술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획득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 실시간 영상 재구성이나 3차원 또는 모바일 초음파 영상 응용으로의 확장이 제한된다. 본 논문은 적응 양자화 기법을 통해 초고속 초음파 영상으로 획득되는 대용량 Radio frequency(RF)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인체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는 높은 동적 범위를 가져 대부분의 현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고정 양자화 기법은 10 bits ~ 14 bits 이상의 높은 양자화 단계를 가진다. 양자화 단계 저감에 대한 화질 저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영상 깊이에 따라 구간을 설정하고, 각 영역별 RF 데이터를 정규화하고 양자화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정량적인 검증을 위해, Field II 컴퓨터 모사 실험을 활용하여, 고정 양자화 방법과 제안하는 방법의 대조도 대 잡음 비, 공간 해상도 및 원본 대비 유사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연구용 초음파 장비를 활용한 인체 모사 실험 및 인체 실험을 통해 최종 3-bit로 재구성한 영상에서도 제안하는 방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