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4초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and laser fluorescence: a comparative study

  • Yoon, Hyung-In;Yoo, Min-Jeong;Park, Eun-Ji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6호
    • /
    • pp.432-43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 vitro validity o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QLF-D) and laser fluorescence (DIAGNOdent) for assessing proximal caries in extracted premolars, using digital radiography as reference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2 extracted premolars with similar lengths and shapes were used. A single operator conducted all the examinations using three different detection methods (bitewing radiography, QLF-D, and DIAGNOdent). The bitewing x-ray scale, QLF-D fluorescence loss (${\Delta}F$), and DIAGNOdent peak readings were compa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Each method showed an excellent reliabil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itewing radiography and QLF-D, DIAGNOdent were -0.644 and 0.448, respectively, while the value between QLF-D and DIAGNOdent was -0.382. The kappa statistics for bitewing radiography and QLF-D had a higher diagnosis consensus than those for bitewing radiography and DIAGNOdent. The QLF-D was moderately to highly accurate (AUC = 0.753 - 0.908), while DIAGNOdent was moderately to less accurate (AUC = 0.622 - 0.784). All detection method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n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bitewing radiography and QLF-D. CONCLUSION. QLF-D was found to be a valid and reliable alternative diagnostic method to digital bitewing radiography for in vitro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유치 및 영구치에서 QLF를 이용한 항우식 제품의 재광화 효과 비교 (Evaluation of Remineralization Effects on Enamel Demineralization by Anti-cariogenic Agents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QLF-D) in vitro)

  • 이꽃님;김미애;황인경;박지현;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91-40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QLF-D)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치와 영구치에 형성된 탈회된 법랑질에 서로 다른 세 종류의 항우식 제품 적용 후 각각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각 48개의 건전한 유치 및 영구치를 대상으로 대조군(1군), 불소 함유 치약(2군), functionalized tricalcium phosphate(fTCP) + 불소 함유 치약(3군),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CPP-ACP) 함유 치아 크림(4군)으로 무작위 분류하였다. 유치 및 영구치에 법랑질 탈회를 유발한 후, 14일 동안 1일 2회 항우식 제품을 처리하였으며,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QLF)를 이용하여 재광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 종류의 항우식 제품 모두 유치와 영구치에서 대조군인 1군에 비해 우식 병소의 무기질 소실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치약 제품 간 비교에서는 3군과 4군에서 2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재광화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하여 fTCP와 불소 함유 치약 및 CPP-ACP 함유치아 크림이 유치와 영구치 모두에서 우수한 재광화 효과를 보인다는 것과, QLF-D가 초기 우식 병소와 항우식 제제의 재광화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함에 있어 유용한 장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임상가들은 유치와 영구치에서의 탈회 및 재광화 평가 시 QLF-D 시스템의 임상적 적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ce in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Images according to the Maturation Level of Dental Plaque

  • Jung, Eun-Ha;Oh, Hye-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9-226
    • /
    • 2021
  • Background: Proper detection and management of dental plaque are essential for individual oral health. We aimed to evaluate the maturation level of dental plaque using a two-tone disclosing agent and to compare it with the fluorescence of dental plaque on the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image to obtain prim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dental plaque scoring system. Methods: Twenty-eight subjects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after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screened. The images of the anterior teeth were obtained using the QLF device. Subsequently, dental plaque was stained with a two-tone disclosing solution and a photograph was obtained with a digital single-lens reflex (DSLR) camera. The staining scores were assigned as follows: 0 for no staining, 1 for pink staining, and 2 for blue staining. The marked points on the DSLR images were selected for RGB color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plaque maturation and the red/green (R/G) ratio was evaluated using Spearman's rank correlation. Additionally, different red fluorescence values according to dental plaque accumulation were assess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by Scheffe's post-hoc test to identif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sults: A comparison of the intensity of red fluorescence according to the maturation of the two-tone stained dental plaque confirmed that R/G ratio was higher in the QLF images with dental plaque maturation (p<0.001).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tained dental plaque and the red fluorescence intensity in the QLF image confirmed an excellent positive correlation (p<0.001). Conclusion: A new plaque scoring system can b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 addition, these study results may also help in dental plaque management in the clinical setting.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 Digital을 이용한 수종의 구강양치액의 치면세균막 감소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Dental Plaque Reduction according to Various Mouthwashes Using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Digital)

  • 이새롬;김재홍;허성윤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34-439
    • /
    • 2013
  • 본 연구는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강양치액(Listerine, Hexamedin)을 선정하여 치면세균막의 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20명의 실험참가자를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동일한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교차연구모형으로 구성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치면세균막 측정은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QLF-D를 이용하여 치면세균막 제거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이종의 구강양치액 모두 치면세균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Listerine의 ${\Delta}R30$값과 ${\Delta}R70$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Hexamedin는 경우에서는 SPS와 ${\Delta}R30$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측정결과를 종합한 결과 Hexamedin이 Listerine보다 치면세균막 제거 효과는 더 큰 폭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구강양치액은 효과적인 치면세균막 조절 제재로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QLF-D를 이용하여 치면세균막의 제거효과를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이 시도되었다. 추후에 임상적용 시 유용한 치면세균막의 평가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을 이용한 와동 내벽의 초기 이차우식병소 탐지 능력 평가 (Evaluation of Detection Ability of a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Digital Device for Initial Secondary Caries Lesion)

  • 김영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6-122
    • /
    • 2017
  • 본 연구는 QLF-D를 이용하여 와동 내벽에 형성된 초기 이차우식증을 탐지가 가능한지 평가해보고, 표면에서 관찰한 우식병소와 실제 와동 내벽에 발생한 병소 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편의 표면에서 관찰되는 이차우식병소가 점점 진행되었다. 수복물 변연의 우식병소 부분이 수복물에 가려지거나 형광에 의해 우식부분을 육안으로 판단하기에 어려운 부분들이 보였으며, 수복물이 있는 경우의 ${\Delta}F$값은 $-14.20{\pm}3.24$, 와동만 있는 경우의 ${\Delta}F$값은 $-11.56{\pm}3.94$ 로 수복물이 있는 경우의 ${\Delta}F$값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또한 수복한 표면에서 측정한 병소의 ${\Delta}F$값은 $-14.20{\pm}3.24$, 횡단면에서 측정한 병소의 ${\Delta}F$값은 $-18.64{\pm}3.75$로 횡단면보다 표면에서 측정한 병소의 ${\Delta}F$값이 약 1.31배 가량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으며, correlation은 0.026으로 낮게 나타났다(p<0.001). 하지만 수복하지 않은 표면과 횡단면의 ${\Delta}F$값 간의 correlation값은 0.613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QLF-D를 이용하여 표면에서도 이차우식병소의 탐지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수복물에 의한 간섭이 있을 수 있고, 병소의 특성상 실제 병소의 심도보다 적게 측정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를 통한 탐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과 Cariview의 우식예측 연구에 대한 활용도 평가 (Applicability Evaluation o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and Cariview in Cries Prediction Study)

  • 이수영;임순연;배현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03-409
    • /
    • 2013
  • 본 연구는 초기우식 진단장비인 QLF-D와 새로운 치아우식활성 검사법인 Cariview를 우식예측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만 3세 아동 57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사를 실시한 후 우식경험도를 분석하고 이들 간의 상관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우식경험도 조사 결과, 우식경험유치지수는 평균 1.84였으며, QLF-D를 이용한 분석 결과는 치면 세균막 부착에 대한 점수가 1.47이었고, 연구대상자 당 평균 1개 정도의 초기우식병소($0.96{\pm}1.2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ariview 검사에서 산생성능은 평균 27.52로 나타났고, 연구대상자 중 68%가 저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 우식경험유치지수와 초기우식병소 개수의 상관계수가 0.617, 치면세균막 부착정도(SPS)와는 상관계수가 0.500으로 비교적 강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p<0.01), 우식경험유치지수와 Cariview 결과(0.286)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5). 그러나 우식유치지수, 우식경험충전유치지수에서는 Cariview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QLF-D를 이용하여 분석한 치면세균막 점수와 초기우식병소는 우식예측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는 과거 우식경험에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므로, 초기우식병소 탐지와 치면세균막 부착 정도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QLF-D는 우식예측 연구에 유용한 장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을 이용한 치면세균막 검사법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Clinical Applicability of a New Plaque Scoring System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 황혜림;조영식;김백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0-15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임상에서 염색제를 사용한 치면세균막검사와 periodental probe를 사용한 치은지수 평가방법대신 새로운 디지털 형광 장비인 QLF-D를 이용한 검사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염색제를 이용하여 치면세균막지수를 산출하여 연구 대상자를 위험군별로 구분하여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QLF-D score와 전체 및 전치부 치면세균막지수, 치은지수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정상치은과 치은염에 따른 QLF-D score를 비교하였고, 각 QLF-D score에 따른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지수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연구대상자의 염색제를 이용한 평균 치면세균막지수는 $42.28{\pm}17.90$이었고, 6개의 선택치아의 치은지수는 $1.05{\pm}20.38$로 나타났으며, QLF-D score는 $1.26{\pm}1.50$이었다. 상하악전치부 QLF-D score와 치면세균막염색을 이용하여 평가한 전치부 치면세균막지수의 상관 분석 결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r=0.638, p<0.001). 또한 상하악 전치부 QLF-D score와 periodontal probe를 이용한 치은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두 가지 평가 지표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62, p<0.001).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지수에 따른 QLF-D score의 차이를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과, 치면세균막지수(p<0.0001)와 치은지수(p=0.007) 모두 저위험군에 비해 고위험군 집단에서 QLF-D score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QLF-D score에 따른 치면세균막지수 및 치은지수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QLF-D score가 증가할수록 두 가지 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001).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QLF-D로 치면세균막을 평가함으로써 치은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QLF-D를 활용한다면, 비교적 간편하게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고 구강 상태를 점수화하여 제시함으로써 술자의 진단 절차가 간편해지고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성장배지 혈액 유무가 구강미생물의 적색 형광 발현에 미치는 영향 (Red fluorescence of oral bacteria is affected by blood in the growth medium)

  • 정승화;양용훈;이민아;김세연;김지수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1권4호
    • /
    • pp.290-295
    • /
    • 2017
  • Objectives: Dental plaque emits red fluorescence under a visible blue light near the ultra-violet end of the light spectrum. The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each microorganism have been reported in several stud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in red fluorescence of oral microorganisms that is affected by blood in the culture media. Methods: The gram-positive Actinomyces naeslundii (AN, KCTC 5525) and Lactobacillus casei (LC, KCTC 3109) and gram negative Prevotella intermedia (PI, KCTC 3692) that are known to emit red fluorescence were used in this study. Each bacterium was activated in broth and cultivated in different agar media at $37^{\circ}C$ for 7 days. Tryptic soy agar with hemin and vitamin $K_3$ (TSA), TSA with sheep blood (TSAB), basal medium mucin (BMM) medium, and BMM with sheep blood (BMMB) were used in this study. Fluorescence due to bacterial growth was observed under 405-nm wavelength blue light using the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QLF-D) device. The red, green, and blue fluorescence values of colonies were obtained using image-analysis software and the red to green ratio (R/G value) and red to total RGB ratio (R/RGB value) were calculated for quantitative comparison. Results: The QLF-D images of the AN, LC, and PI colonies showed red fluorescence in all media, but the fluorescence of all bacteria was reduced in TSA and BMM media, compared with in TSAB and BMMB media. Both the R/G and the R/RGB values of all bacteria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growth media without blood (P<0.001). Conclusions: Based on this in vitro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red fluorescence of oral bacteria can be affected by growth components, especially blood. Blood-containing medium could be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red fluorescence of oral bacteria. It can be further hypothesized that bleeding in the oral cavity can increase the red fluorescence of dental plaque.

Factors affecting dental biofilm maturity assessed with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in Korean older adults

  • Shin, Na-Ri;Choi, Jun-Seon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1-362
    • /
    • 2019
  •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maturity of dental biofilm, which was assessed with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QLF-D), in a sample of Korean older adult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67 participants, aged 65 years and older.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tests to measure their manual dexterity and handgrip strength, which are parameters that indicate hand function abilities. To evaluate dental biofilm maturity, 804 surfaces of six index teeth were imaged using QLF-D and then quantified as ${\Delta}R$ values. All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5, 2017 to April 30, 2018.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aturity of dental biofilm (${\Delta}R$). Results: The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factor most strongly related to dental biofilm maturity(${\Delta}R$) was manual dexterity (${\beta}=-0.326$), followed by handgrip strength (${\beta}=-0.303$) and use of interdental cleaning devices (${\beta}=-0.283$) (p<0.05). Conclusions: Manual dexterity, handgrip strength, and use of interdental cleaning devices are factors that can predict dental biofilm maturity in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Therefore, the hand function of a patient should be evaluated first, before assessing the oral hygiene status of the patient or providing him/her with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 dental hygienist should provide differentiated oral hygiene care depending on the patient's hand function ability. Finally, dental hygienists should help older adult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such as interdental brushes and keep motivating them to use the devices more frequ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