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on mRNA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5초

지방간 유도 세포모델에서 황금(黃芩), 목향(木香), 시호(柴胡) 복합 추출물의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효과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Aucklandiae Radix and Bupleuri Radix (SAB) extract in FL83B cells)

  • 도현주;김경호;오태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23-31
    • /
    • 202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hyperlipidemia effect of Scutellariae Radix, Aucklandiae Radix and Bupleuri Radix(SAB). Methods : FL83B cells were mouse liver hepatocytes, and we used this cell line. FL83B cells were treated with 0.5 mM oleic acid(OA) for 24 h, SAB extract was treated. After OA treatment, intracellular triglyceride (TG) and free fatty acid contents were measured with AdiopoRed™ assay and Free Fatty Acid Quantitation assay kit, respectively. Further, we evaluated several lipogenesis and metabolic markers such as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transcription factor-1c (SREBP-1c), acetyl-CoA carboxylase (ACC), fatty acid synthase (FAS), 3-hydroxy3-methyl-glutaryl CoA reductase (HMGCR), hormone-sensitive lipase (HSL),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CPT-1),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alpha (PPARα), and cluster of differentiation (CD36) using RT-PCR and Western-blot analysis. Results : OA markedly increased intracellular TG and free fatty acid, which plays a key role in reducing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FL83B cells. These increases were alleviated by SAB extract.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Fatty acid(FA) oxidation factors (CPT-1, PPARα), lipolysis factor(HSL), FA transporter(CD36), cholesterol synthesis factors (HMGCoA) and Lipodenesis (SREBP-1c, FAS, and ACC-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treatment of SAB extract in the OA-induced fatty liver cell model. Conclusions : In summary, the treat of SAB extract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influx of fatty acids into hepatocytes, promoted the oxidation of fatty acids, and regulated fat synthesis-related factors, thereby regulating the accumulation of TG and free fatty acids.

결핵균 H37Rv에 감염된 마우스의 폐에서 면역 반응에 대항하는 Mtb 유전자의 발현 변화 (Change of Gene Expression Patter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v Against Host Immune Response in Infected Mouse Lung)

  • 이효지;조정현;강수진;정유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4-139
    • /
    • 2010
  • 전 세계 인구의 1/3을 감염시키고 있는 결핵균은 21세기에도 인류를 위협하는 병원균이다. 결핵균에 대항하는 Th1 면역 반응은 결핵균의 세포 내 성장을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결핵균 감염을 자연 치유하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C57BL/6 마우스에 병원성 결핵균인 H37Rv를 감염시켰을 때 숙주의 면역 반응에 대항하여 결핵균이 자신의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하기 위하여, 결핵균 유전자 중 16S rRNA, acr, fbpA, aceA, ahpC 등의 발현을 real-time RT-PCR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16S rRNA의 copy number는 감염 후 30일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CFU 측정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결핵균 유전자 중 주된 항원으로 작용하는 유전자인 fbpA의 copy number를 CFU로 나눈 값으로 표현한 발현 양상은 감염 후 10일까지 증가하다가 감소되었다. Heat shock protein인 ${\alpha}$-crystallin을 coding하는 acr은 감염 후 지속적으로 높아졌으나, 산화적 스트레스 환경에서 발현되는 효소들인 ahpC와 aceA의 발현은 감염 후 20일 동안 높아졌다가 30일에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결핵균이 숙주의 면역 반응이 개시되면 결핵균의 주된 항원 중 하나인 Ag85A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fbpA의 발현 수준을 낮춰 숙주의 Th1 먼역 반응이 낮아지도록 유도한다는 증거로 볼 수 있으며, 면역 반응이 활발해 짐에 따라 큰포식세포 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균을 보호하기 위하여 ahpC와 aceA의 발현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핵균이 유전자 발현을 숙주의 면역 반응에 대항하여 스스로 변화시켜 적대적인 숙주 세포 내에서 살아 남을 수 있는 생존 전략을 구사한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