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Category

검색결과 541건 처리시간 0.03초

MetaData와 Category를 이용한 효과적인 교육용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ECSS) 구현 (Implementation of an Effective Educational Community Service System by using Metadata and Category)

  • 윤선정;김미진;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332-134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많은 사용자층을 가지고 있는 개인형 커뮤니티를 이용하여 양질의 정보를 중복 없이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효과적인 검객 기능을 제공하는 교육용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MetaData와 Category를 통해 검색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 것으로 개인형 커뮤니티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을 개선한 자기 주도적인 교육용 커뮤니티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검증하는 도구로 블로그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생성되는 교육용 블로그 체인 서비스인 EduLOG(Educational blog)를 구현하였다. 특별히 세계적인 MetaData의 기반인 더블린코어의 MetaData요소를 근거로 이 서비스에 맞는 MetaData를 추출하였고 교육용 커뮤니티 사이트와 공적인 교육관련 기관들이 제시한 교육 Category를 근거로 새로운 Category를 만들어 이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이 서비스가 원하는 성능을 제공하는지 웹사이트 평가인증표를 기준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전문가를 통해 평가하였다. 이 평가 결과에 의하면 검색의 정확성, 낮은 재현율, 정보 등록 및 접근의 용이성, Category별 정보의 집중관리 부분 등에서 평균 평점 3.5(/5.0) 이상의 좋은 점수를 얻어 그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향후 효율적인 정보저장소와 검색소의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확신한다.

  • PDF

웹기반 법률정보서비스 품질 평가요인 및 지속의도에 관한 연구 (Quality Evaluation Factors and Continuance Intention for Web-based Legal Information Services)

  • 박지홍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7-76
    • /
    • 2017
  • 본 연구는 웹 기반 법률정보서비스의 품질을 결정짓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이들이 이용자 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정도 및 그 영향도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SERVQUAL의 주요 요인을 토대로 신뢰성, 확신성, 디자인, 공감성, 반응성의 5개 차원을 개념화시켜 이를 기준으로 기대수준과 만족수준을 측정하고, 양자의 차이 검증을 포함한 기술통계 분석, 품질 결정요인 도출 및 분석, 회귀분석에 의한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추출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해당 법률정보서비스 품질수준은 공감성, 반응성, 디자인 범주에서 우수하지만, 신뢰성, 확신성 범주에서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신뢰성 범주에서는 검색결과 및 검색 관련어 선정의 적합성 문제가 존재하였으며 정보 최신성 문제와 더불어 정보원의 권위 및 출처와 관련된 문제가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신뢰성은 공감성과 반응성과 각각 상대적으로 더 밀접한 관계가 존재하여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감성, 반응성과 같은 콘텐츠의 품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법률정보서비스에서 향후 지속적인 이용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확신성을 최우선적으로 보완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판단된다.

영유아용 분말 조제분유의 미생물 품질분석과 위해세균 모니터링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otential Pathogen Monitoring for Powdered Infant Formulas from the Local Market)

  • 황지연;이지연;박종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55-561
    • /
    • 2008
  • 국내에서 생산, 유통되고 있는 영유아용 분말 조제분유 99제품을 수집하여 일반세균, 대장균군, FAO/WHO Category A, B, C 위해세균 분류에 따른 오염현황을 분석하였다. 일반세균수는 총 99개의 제품 중 92개의 제품에서 검출(93%)되었으며 $1.83{\pm}0.68\;Log\;CFU/g$의 분포를 보였다. 최고 $4.5\;Log\;CFU/g$가 검출된 한 제품을 제외하고는 조제분유의 총균수의 기준규격에 적합하였다. 대장균군은 조제분유 대장균군의 기준규격이 음성인 것에 비해 99개의 제품 중 12개의 제품에서 검출(12%)되었으며 $1.26{\pm}1.03\;\log\;MPN/g$의 분포를 보였다. 대장균은 한 제품에서 0.48 log MPN/g으로 검출되었다. Category A 세균인 Salmonella와 En. sakazakii의 오염도 분석 결과 총 99개의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Category B group인 세균 중에서 장내세균은 99개의 제품 중 25개의 제품에서 검출(25%)되었고 오염수준은 $0.83{\pm}1.37\;\log\;MPN/g$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Category B group 세균들로는 Escherichia vulneris, Es. hermannii, Pantoea spp., Citrobacter koseri, Klebsiella pneumoniae, Enterobacter cloaceae 등이었다. Category C세균의 오염은 Bacillus cereus가 조제분유 99개의 제품 중에서 29개의 제품이 검출(29%)되어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보였지만 오염수준은 $0.69{\pm}0.32\;\log\;MPN/g$으로서 B. cereus의 국내 기준규격에 모두 적합하였다. 그 외의 Category C 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국내 유통 조제분유의 주요 위해세균의 대한 미생물 오염정도가 낮아 미생물 기준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Category B의 장내세균은 높은 검출율을 보였고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균들이 확인되어 잠재적인 위험이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비살균식품인 조제분유의 특성상 잠재적인 위해세균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그에 대한 안전성 확보에 능동적 자세가 필요하다.

유통 상품의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에 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by Data Standardization for Distributed Goods)

  • 송장섭;류성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01-109
    • /
    • 2013
  • 데이터 품질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기업 데이터의 품질 관리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설계를 유통 상품 사례로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 하였다. 데이터 표준화 설계 방안으로 데이터 표준화 체계와 데이터 사전을 설계 하였다. 데이터 표준화 체계 설계를 위하여 데이터를 분류, 속성, 식별하였으며, 데이터 사전 설계를 위하여 데이터 사전 설계 프로세스와 단어 용어 도메인 코드사전을 구축하고, 데이터 표준화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데이터 표준화 방안의 효율성을 정량적, 정성적 방법으로 검증한 결과데이터표준화로 인한 데이터 품질은 24% 및 데이터 사전의 속성 설계인 일관성에 대한 데이터의 구조적 품질은 7% 향상되고, 유효함을 입증하였다.

영한 기계번역에서 구문 분석 정확성 향상을 위한 구문 범주 예측 (Syntactic Category Prediction for Improving Parsing Accuracy in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 김성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3호
    • /
    • pp.345-352
    • /
    • 2006
  • 실용적인 영한 기계번역 시스템은 긴 문장을 빠르고 정확하게 번역할 수 있어야 한다. 보다 빠른 번역을 위해 문장 분할을 이용한 부분 파싱 방법이 제안되어 속도 향상에 기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결정 트리를 이용한 구문 범주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문장 분할을 적용한 영어 분석에서 각각의 분할된 부분은 개별적으로 분석되며 각 분석 결과들이 결합되어 문장의 구조가 생성된다. 여기서 각 분할의 구문 범주를 미리 예측하여 부분 파싱 후에 보다 정확한 분석 결과를 선정하고 예측된 구문 범주에 근거하여 올바르게 다른 문장의 분할결과와 결합함으로써 문장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Wall Street Journal의 파싱된 말뭉치에서 구문 범주 예측에 필요한 특성을 추출하고 결정 트리를 이용하여 구문 범주 예측을 위한 결정 트리를 생성하였다. 실험에서는 사람이 구축한 규칙을 이용한 방법, trigram 확률을 이용한 방법, 신경망을 이용한 방법 등에 의한 구문 범주 예측 성능을 측정, 비교하였으며 제안된 구문 범주 예측이 번역의 품질 향상에 기여한 정도를 제시하였다.

그림책 페리텍스트 분석을 위한 구성 요소 (Components for Picturebook Peritext Analysis)

  • 남아름;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181-188
    • /
    • 2023
  •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 가치와 페리텍스트의 서사적 중요성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그림책 분석 시 사용되는 페리텍스트 구성 요소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 페리텍스트를 분석한 11편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페리텍스트 구성 요소를 고찰한 후, 네 가지('기본적 정보', '물리적 요소', '위치적 요소', '콘텐츠 요소')로 범주화하여 분석틀을 제안했다. 첫 번째 범주는 '기본적 정보'로 '제목', '작가명', '출판 정보', '수상 정보', '헌사/감사의 말', '추천사' 등이 포함되며, 두 번째 범주는 '물리적 요소'로 '판형', '제본', '재질' 등이 포함된다. 세 번째 범주는 '위치적 요소'로 '표지(앞표지, 뒤표지, 책등)', '면지', '표제지', '간기면', '덧싸개 및 띠지' 등이 포함되며, 네 번째 범주는 '콘텐츠 요소'로 '글', '그림',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페이지 형태'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양한 그림책의 페리텍스트 분석 및 활용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건축 디자인품질향상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 for Architectural Design Quality Inhancement -Based on the Public Building-)

  • 이지은;류수훈;고인룡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5-2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sign quality indicator for improvement of public architecture in Korea.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which sees limited at 'domestic public buildings'. The study contents scope is to develop design quality indicator to use design phase and evaluation of 'public buildings'. For this design quality indicator, we have analysed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associated with architecture design. And, design indicator for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public buildings were extracted. Through this work design quality indicator specific and objective was drawn. The results of this study 8 category were drawn 'Public', 'Harmony', 'Impact', 'Access', 'Landscape', 'Use', 'Sustainable', 'Technology'. Also, 29 Design quality Indicator were suggested. Finally, this study was developed by utilizing Design Quality Indicator can be utilized in the design phase, the evaluation process should be developed.

NO REFERENCE QUALITY ASSESSMENT OVER PACKET VIDEO NETWORK

  • Sung, Duk-Gu;Hong, Seung-Seok;Kim, Yo-Han;Kim, Yong-Gyoo;Park, Tae-Sung;Shin, Ji-Tae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250-253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NR (No Reference) Quality assessment method for IPTV or mobile IPTV. Because No Reference quality assessment method does not access the original signal so it is suitable for the real-time streaming service. Our proposed method use decoding parameters, such as quantization parameter, motion vector, and packet loss as a major network parameter.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carried out subjective test of video quality with the ITU-T P.910 ACR (Absolute Category Rating) method and obtained the mean opinion score (MOS) value for QVGA 180 video sequence coded by H.264/AVC encode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proposed quality metric has a high correlation (84%) to subjective quality.

  • PDF

Assessment of Groundwater Quality for Irrigation and Agro-based Industrial Usage in Selected Aquifers of Bangladesh

  • Rahman, Md. Mokhlesur;Hoque, Syed Munerul;Jesmin, Sabina;Rahman, Md. Siddiqur;Kim, Jang-Eok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8-105
    • /
    • 2005
  • Groundwater sampled from 24 tube wells of three districts namely Sherpur, Gaibandha and Naogaon in Bangladesh was appraised for their water quality for irrigation and agro-based industrial usage. All waters under test were slightly alkaline to alkaline (pH = 7.2 to 8.4) in nature and were not problematic for crop production. As total dissolved solid (TDS), all groundwater samples were classified as fresh water (TDS<1,000 mg/L) in quality.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sodium adsorption ratio (SAR) values reflected that waters under test were under medium salinity (C2), high salinity (C3) and also low alkalinity (S1) hazard classes expressed as C2S1 and C3S1. As regards to EC and soluble sodium percentage (SSP), groundwater samples were graded as good and permissible in category based on soil properties and crop growth. All water samples were free from residual sodium carbonate (RSC) and belonged to suitable in category. Water samples were under soft moderately hard, hard and very hard classes. Manganese, bicarbonate and nitrate ions were considered as major pollutants in some water samples and might pose threat in soil ecosystem for long-term irrigation. For most of the agro-based industrial usage, Fe and Cl were considered as troublesome ions. On the basis of TDS and hardness, groundwater samples were not suitable for specific industry. Some water samples were found suitable for specific industry but none of these waters were suitable for all industries.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major ions was established.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ionic constituents like Ca, Mg, K, Na, $HCO_3$ and Cl differed significantly. Dominant synergistic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EC-TDS, SAR-SSP, EC-Hardness, TDS-Hardness and RSC-Hardness.

온라인 쇼핑에서 소지자가 지각하는 제품 정보 중요성의 비중 (The Perceived Importance Weight of Product Information Cues in E-Shopping)

  • 이규혜;박지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70-480
    • /
    • 2006
  • 본 연구의 주요주제는 온라인으로 제시되는 정보의 품질이다. 특히 제품의 태나 맞음새 등의 제품 품질이 불완전하게 평가될 수밖에 없는 의류제품의 온라인 쇼핑의 경우 제시되는 제품의 정보가 구매결정에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온라인 제품정보에 대한선행연구가 주로 정보의 수량에 치우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의 가중치로 제품정보의 품질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의류제품의 범주나 소비자들의 관여 정도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13가지의 정보가 선정되었고 복종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청바지와 티셔츠를 판매하는 상황을 가정 한 웹페이지가 설계되었다. 125명의 미국대학생들이 실험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복종에 관계없이 중요한 기준들은 가중치 순서대로 사이즈, 가격, 스타일, 색상, 치수, 재고유무, 제품품질로 나타났다. 섬유조성, 직조방법, 개인화 등의 정보는 복종에 따라 중요도의 가중치가 다른 정보였다. 소비자의 의복관여는 복종에 따라 제품정보의 가중치에 다른 영향을 주었는데 티셔츠의 경우 고관여소비자는 재고유무정보에 보디-민감하며 재고유무와 사이즈 정보에는 덜 민감하였다. 청바지의 경우 고관여소비자는 섬유조성과 색상정보에 민감한 반면 직조방법이나 가격에는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