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oS-provisioning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3초

Hose 기반 VPN에서의 서비스품질 제공을 위한 자원예약 프로토콜과 패킷 스케줄링 기법 (A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and Packet Scheduling for Qos Provisioning in Hose-based VPNs)

  • 변해선;우현제;김경민;이미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3호
    • /
    • pp.247-256
    • /
    • 2006
  • 호스(Hose) 모델 기반 VPN(Virtual Private Network) QoS(Quality of Service)를 지원하기 위한 자원준비(Provisioning) 메커니즘들 가운데, VPN 차원 상태 정보(VPN-specific state) 자원준비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높은 다중화(Multiplexing) 이점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VPN 차원 상태 정보 자원준비를 위한 적합한 자원예약 프로토콜이 없기 때문에 VPN 차원 상태 정보 자원준비를 위한 동적 자동 자원예약이 어렵다. 또한, VPN 차원 상태 정보 자원준비에 의해 예약된 자원은 LAN에 접속되어 있는 호스트들이 LAN 대역폭을 공유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일한 VPN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공유하기 때문에 동일한 VPN에 속하는 사용자 간에 불공정한 자원 사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VPN 차원 상태 정보 자원준비에 따라 동적 자동 자원 예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예약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혼잡 발생 시에 동일한 VPN에 속하는 사용자 간에 예약된 자원을 공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래픽 서비스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Scalable Quasi-Dynamic-Provisioning-Based Admission Control Mechanism in Differentiated Service Networks

  • Rhee, Woo-Seop;Lee, Jun-Hwa;Yu, Jae-Hoon;Kim, Sang-Ha
    • ETRI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27-37
    • /
    • 2004
  • The architecture in a differentiated services (DiffServ) network is based on a simple model that applies a per-class service in the core node of the network. However, because the network behavior is simple, the network structure and provisioning is complicated. If a service provider wants dynamic provisioning or a better bandwidth guarantee, the differentiated services network must use a signaling protocol with QoS parameters or an admission control method. Unfortunately, these methods increase the complexity. To overcome the problems with complexity, we investigated scalable dynamic provisioning for admission control in DiffServ networks. We propose a new scalable $qDPM^2$ mechanism based on a centralized bandwidth broker and distributed measurement-based admission control and movable boundary bandwidth management to support heterogeneous QoS requirements in DiffServ networks.

  • PDF

Hose 모델 VPN 서비스를 위한 NSIS 기반 자원 예약 프로토콜 (An NSIS based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for Hose model VPN Service)

  • 변해선;이미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7호
    • /
    • pp.559-57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NSIS(Next Step in Signaling)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VPN(Virtual Private Network)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모델인 Hose 모델 자원 준비(Resource Provisioning) 메커니즘에 따라 자원을 예약하고 관리하는 Hose-NSIS-QoSM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Hose-NSIS-QoSM을 위한 NSIS 메시지 객체(Objects), QoS NSLP(NSIS Signaling Layer Protocol)/NTLP(NSIS Transport Layer Protocol)/RMF(Resource Management Function) 상태 테이블, NSIS 노드에서의 메시지 처리 과정을 정의하였다. 또한, MPLS 네트워크에서의 VPN의 Hose 기반 QoS 서비스 모델을 지원하기 위해 확장된 RSVP-TE(Resource Reservation Protocol-Traffic Engineering)를 이용하는 시그널링 방안인 Hose-RSVP-TE-QoSM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안인 Hose-NSIS-QoSM를 비교하였다.

운영체제 수준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한 우선순위 기반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 (Priority-Based Network Protocol Processing for OS-Level QoS Provisioning)

  • 김동수;변재희;유민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773-177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운영체제 측면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해 우선순위 기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우선순위에 따라 네트워크 패킷을 분류하고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이를 위해 패킷분류기(Packet Classifier)와 프로토콜엔진(Protocol Engine)을 포함하는 QPF(QoS Provisioning Framework)를 설계하고 리눅스 커널 내부에 구현하였다. 과거의 인터럽트 기반의 방식에서는 네트워크 패킷이 선착순(first-in first-out)으로 처리되어 응용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QoS를 보장하기 어려우며, 또한 항상 네트워크 패킷의 처리가 응용 프로그램보다 우선적으로 처리되어 수신교착상태(Receive Livelock)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QPF는 네트워크 패킷을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함은 물론 네트워크 처리에 사용되는 CPU 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위와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 PDF

IEEE 802.16e 네트워크 환경에서 ARIMA 트래픽 예측을 사용한 대역폭 프로비저닝 (Bandwidth Provisioning Using ARIMA-Based Traffic Forecasting in IEEE 802.16e Networks)

  • 김현우;이준희;최용훈;정영욱;이혁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92-10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6e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이 받은 트래픽을 예측하여 백본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프로비저닝 방법을 제안한다. 트래픽은 4개의 클래스로 정의하고 각 클래스 별 트래픽을 박스-젠킨스의 시계열 분석법을 사용하여 예측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비저닝을 진행하고 링크의 최대 대역폭을 초과하는 트래픽에 대해서 각 클래스의 우선순위를 최적으로 만족시키는 프로비저닝 방법을 제시하고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였다. 또한 클래스 별 대역폭을 고정적으로 프로비저닝한 경우와 비교하여 패킷의 손실 및 QoS 보장률의 성능이 향상됨을 증명하였다.

  • PDF

DiffServ 망에서 QoS 보장을 위한 동적 프로비저닝 메카니즘 연구 (A Study on Dynamic Provisioning Mechanism for QoS guarantee in DiffServ Networks)

  • 이우섭;이준화;양미정;이일우;유제훈;김상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2B호
    • /
    • pp.105-116
    • /
    • 2003
  • IP 망에서 차별 서비스 구조는 코아 노드에서 클래스별 서비스 기반의 단순한 모델을 적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 처리로 인하여, 망 구조나 프로비저닝은 더욱 복잡하게 되고 서비스 제공자가 동적 프로비저닝이나 효율적인 대역 보장 방법을 제공하려면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나 연결 수락 제어 방법이 제공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망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게 됨으로 차별 서비스 망에서 복잡하지 않고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적 프로비저닝 기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별 서비스 망에서 다양한 서비스 품질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연결 수락 제어 메커니즘으로 대역폭 브로커와 측정 기반 수락 제어 및 가변 영역 대역 관리 방법을 사용하는 DPM2 (Dynamic Provisioning over MBAC and Movable Boundary)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성능 분석을 하였다.

강제 시스템간 핸드오버 시 QoS 보장 방안 (QoS Provisioning for Forced Inter-System Handover)

  • 이문호;이종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89-98
    • /
    • 2010
  • 다양한 유/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IP 백본 망에 연결되어 있는 이종망 구조에서 MT의 이동으로 인한 핸드오버뿐만 아니라 수행중인 서비스의 협약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의 저하가 일정시간 동안 계속될 때, 이종망 내부의 접속 망 유형에 관계없이 매끄럽게 핸드오버를 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연속성과 QoS를 보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실/비시간적 특성인 지연, 손실률, 지터를 서비스별로 구분하여 적용하고, ISHO 할 셀의 현재 상태(가용대역, 호 도착율, 데이터 전송률) 등을 적용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QoS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핸드오버 실패율과 패킷 손실율을 척도로 분석한다.

QoS-Guaranteed Realtime Multimedia Service Provisioning o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BcN) with IEEE 802.11e Wireless LAN and Fast/Gigabit Ethernet

  • Kim, Young-Tak;Jung, Young-Chul;Kim, Seong-Woo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9권4호
    • /
    • pp.511-523
    • /
    • 2007
  • I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BcN), heterogeneous broadband wired & wireless subnetworks and various terminal equipments will be interconnected. In order to provide end-to-end realtime multimedia services on such heterogeneous networking environment, as a result, two major problems should be resolved: i) Multimedia session establishment & negotiation that adjusts the differences in the capability of multimedia data processing at the end terminal nodes, ii) quality of service(QoS)-guaranteed connection establishment or resource reservation with connection admission control(CAC) in each heterogeneous subnetworks along the path. The session layer signaling(e.g., SIP/SDP) should be extended for QoS negotiation, and must be tightly cooperating with network layer signaling or resource reservation with CAC fun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ssion and connection management architecture for the QoS-guaranteed realtime multimedia service provisioning on BcN, with Q-SIP/SDP,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with traffic engineering extension, and CAC functions. The detailed interaction scenario and related algorithms for QoS-guaranteed realtime multimedia session, resource reservation and connection establishment are explained and analyzed. From the experimental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scheme on a small scale BcN testbed, we verified that the proposed architecture is applicable for the realtime multimedia service provisioning. We analyze the network performance and QoS parameters in detail.

광 버스트 교환망에서 우회 라우팅을 이용한 QoS 보장 방법 (QoS Gurantieeing Scheme based on Deflection Routing in the Optical Burst Switching Networks)

  • 김종원;김정엽;최영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4호
    • /
    • pp.447-454
    • /
    • 2003
  • 광 버스트 교환(OBS : Optical Burst Switching)은 광 지연선(FDL: Fiber Delay Line) 사용의 감소와 차세대 전광 네트워크에서의 광 스위칭 패러다임을 실현하기 위해 제안되고 있다. OBS는 버스트를 시분할 다중화함으로써 파장 라우팅보다 대역폭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확장성을 제공한다. 최근, 광 버스트 교환망에서 어떻게 QoS(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할 것인가가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혼잡 발생시 우회 라우팅(deflection routing) 경로로 우선순위 0, 1, 2의 버스트를 우회시켜 QoS를 제공하는 우회 라우팅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큰 장점은 QoS를 간단히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고, 이는 QoS 보장 알고리즘으로부터 제공된다. 또한, 제안한 QoS 제공방식은 각 코어 라우터에서 광 지연선의 사용을 최소로 하면서 트래픽을 공평하게 분배함으로써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구현하게 한다. 제안 QoS 제공 방식의 우선순위 0, 1, 2 버스트의 QoS 보장과 효율적인 네트워크 사용에 대하여 OPNET을 사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로써, 높은 우선 순위 버스트의 종단간 지연은 향상되었으며, 또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이용이 확인되었다.

Performance Analysis of Web Service Architecture for Inter-AS DiffServ-over-MPLS Traffic Engineering

  • Sundaram Shanmugham;Chae Youngsu;Kim Young-Tak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4권3호
    • /
    • pp.9-16
    • /
    • 2005
  •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the WebService architecture for QoS guaranteed connection provisioning in inter-AS domain networks has been measured and analyzed for service publish/inquiry, collection of NMSs ASBR details, source routing by ingress NMS in constraint based routing and connection establishment. From the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inter-AS domain networks can be established within the usual time limits of 3 seconds by the Web Service architecture. Since no standard solutions have been implemented in Interdomain QoS provisioning, this performance analysis assures Web Service architecture as a promising solution and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the early stages of MPLS network employ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