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ingguo Lane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6초

중국 명청시대부터 창저우시 청과항(靑果巷)공간의 변천 (The Spatial Changes of Qingguo Lane in Changzhou City Since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China)

  • 정함익;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3-26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장쑤성 창저우시에 위치한 청과항(靑果巷)의 역사문화경관을 살펴보고 명나라 때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경관 변화와 거주민 사이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옛 고지도, 문헌과 현장 사진 등에 대한 분석결과를 조합하여 명청시대부터 청과항 경관 변천과정에 당시 거주자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해석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과항의 발전이다. 1) 청과항의 명칭은 창저우부에서 처음 기록되었으며, 과일 판매 장소로 잘못 이해되었다. 실제로는 주거 공간이었고, 시문에서 식생 경관을 묘사한 표현에서 유래되었다. 청과항이라는 명칭은 1879년부터 사용되었고, '천'과 '백'은 풍부함을 나타내는 수사였다. 2) 비릉당씨와 동가를 비롯하여 청과항은 명나라 때부터 청나라까지 줄곧 상류계층의 거주지였다. 둘째, 행정구역의 변화와 도로변천이다. 1) 명나라부터 청대에 걸친 창저우의 행정구역과 도로 변화를 통해 청과항의 공간과 도로 경관 변화를 분석하였다. 명나라 때의 청과항은 중우상, 서우상, 동우상 세 행정 구역에 걸쳐 있었으며, 청대에는 서우상과 동우상에 속하게 되었다. 청과항의 공간 구성은 명나라 때부터 현대까지 종교, 주거, 상업 기능이 변화하며 발전하였다. 2) 청과항의 주요 도로와 골목길은 명청 시대의 창저우성 구조와 유사한 종횡 구도를 나타내었다. 청과항의 주요 도로는 천희교에서 신방교로 이어졌으며, 남북으로 연결된 9개의 골목이 청과항의 역사문화공간을 형성하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도로의 수가 증가하고, 주거 및 상업 공간으로 변화하여 현대 청과항의 모습을 형성하였다. 셋째, 청과항 상류계층의 문화경관 형성이다. 1) 청과항은 원나라 대학살 이후 도래한 평화 시대의 인구 이동과 인구 증가로 인해 발전하였다. 자연경관이 중시되어 문인들의 주요 거주지가 되었으며, 명청시대 청과항은 상업과 문화가 발달하여 창저우 상류계층의 새로운 주거지로 떠올랐다. 2) 명나라 말기부터 청과항은 상류계층의 정원 문화로 인해 사회문화적 명성을 얻었다. 상류계층은 상인과 문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시기, 이들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었다. 당씨와 동씨 가문이 청과항의 주요 상류계층을 형성하며, 청나라 중후기에는 상류계층과 비상류계층이 공존하게 되었다. 3) 청과항은 상류계층의 결집으로 인해 많은 문인과 상인들이 몰려들었고, 동시에 공간 내 정원이 조성되었다. 명청시대 문인들은 청과항의 독특한 문화경관을 형성하였으며, 현대 청과항은 역사문화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공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