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2E Model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3초

장래 탄천수질과 한강본류에 미치는 영향 예측 (Prediction of water quality in Tan stream of the Han river)

  • 신정식;정종흡;오경두;나규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9-56
    • /
    • 2001
  • The water quality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predict water quality in Tan stream of the Han river using water quality model, QUAL2E. In the end, the future variations in water quality of Tan stream were simulated and the prediction of the impacts of Tan stream on water quality in the Han river was carried out by applying the Tan stream simulation results into the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edicted results of future water quality of Tan stream suggest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BOD, T-N and T-P at Chungdam bridge would increase to 0.68~0.77 mg/$\ell$, 1.33~1.62 mg/$\ell$ and 0.05~0.06 mg/$\ell$, respectively in 2006 and 2011 and that with the implementation of advanced treatment in Sungnam and Tanchun sewage treatment plants, the concentration of T-N would be reduced more as the amount of treated sewage increase, while the concentration of T-P would stay 0.49 mg/$\ell$. The results obtained from simulation of the impacts of future Tan stream water quality improvement on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showed that with implementation of advanced treatment in both Sungnam and Tanchun sewage treatment plants, the concentration of T-N, T-P and chlorophyll-a at Hangang bridge and Heangju bridge would be reduced by 11.6%, 7.7% and 20.9%, respectively in 2..6 and by 13.6%, 9.4% and 22.2%, respectively in 2011, which indicates that the effect on the reduction of T-N and T-P would be relatively significant while the effect on the decrease of algae would be slight.

  • PDF

GIS기반의 하천수질관리시스템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IS-based Stream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 최연웅;성동권;전형섭;조기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289-299
    • /
    • 2002
  •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그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관련 기관이 요구하는 정보량은 증가하고 있으며, 수요 또한 급증하고 있다. 오염총량제 실시를 앞두고 환경 관련 정보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관리체계가 필요하게 되었고, 특히, 도형자료에 의하여 관련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분석할 수 있는 GIS의 개발과 적용이 세계각국을 비롯한 국내의 정부기관, 개인기업체, 관련학술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하천수질분야의 적용성이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행정구역별, 유역별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고, 수질 예측 모델로서 국내 많은 지역에서 적용된바 있는 QUAL2E 모델을 GIS에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모델을 구동시키며 그 결과를 시각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오염부하량 산정으로부터 모의 결과를 시각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합하였다. 특히 GIS에 수질모델을 연계시킴으로써 기존연구에서는 미진했던 수질예측이 가능한 하천수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그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남강 상류유역의 하수도시설 확충으로 인한 하류 수계의 수질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f quality improvement effects by construction of sewer systems in Nam River Basin)

  • 주진걸;이정호;김중훈;김응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771-778
    • /
    • 2008
  • 남강 상류에 하수도 시설의 보급률을 현행 20.8%에서 65.2%로 향상시켰을 경우 남강과 덕천강 그리고 진양호의 수질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QUAL2E 모형과 WASP 7 모형을 이용하여 목표연도인 2011년의 BOD, TN, TP의 농도를 모의하였다. 수질 예측시나리오는 3가지로 구분하였다. 1) 하수도 시설이 현재와 같을 경우, 2) 하수도 시설의 확충으로 BOD, TN, TP가 각각 사업 목표 저감량인 2350.5kg/d, 216.0kg/d, 44.0kg/d 저감되었을 경우의 수질을 모의하였다. 또한 3) 남강과 진양호가 1급수가 되기 위해 저감해야 할 오염물 배출량을 모의하였다. 수질 모의 결과 남강 상류에서 하수도 보급률을 향상시켰을 경우 하천의 수질은 평균적으로 BOD 7.69%, TN 2.10%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양호의 수질은 BOD 10.25%, TN 1.37%, TP 2.94%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수도 시설의 확충으로 남강과 진양호의 수질을 1급수로 유지할 수는 없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남강과 진양호를 1급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BOD의 배출량을 각각 27.2%, 37.05% 감소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GIS자료와 연계한 수질모의 결과의 자동보정 (Auto Calibration of Water Quality Modeling Using NGIS)

  • 한건연;이창희;김강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400-1403
    • /
    • 2004
  • The current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Increase of population along Nakdong River have produced a rapid Increase of wastewater discharge. This has resulted in problem of water quality control and management. Although many efforts have been carried out, water quality h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NGIS-based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the scientific water quality control and management in the Nakdong River. For general water quality analysis, QULA2E model was applied to the Nakdong River. A sensitivity analysis was made to determine significant parameters and an optimization was made to estimate optimal values. The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were performed by using observed water quality data for Nakdong River. A water qualify management system for Nakdong River was made by connecting the QUAL2E model to ArcView. It allows a Windows-based Graphic User Interface(GUI) to implement all operation with regard to water quality analysis. The modeling system in this study will be an efficient NGIS for planning of water quality management.

  • PDF

하천 수질 매개변수의 자동보정을 위한 QL2-XP 모형 개발 (QL2-XP Model for the Automatic Calibration in Water Quality Modeling)

  • 한건연;박경옥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74-477
    • /
    • 2005
  •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Increase in population have brought out a rapid increase of wastewater discharge. To deal with this matter, much estimate has been spend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a large scale sewage treatment plant. Although every effort has been carried out, river water quality has no significantly improved. Especially. the aggravation of the water quality in dry season is brought out a serious soci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an optimal water quality management technique considering the efficient control of the multiple pollutant load associated with the total pollutant load control. A GUI(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named 'QL2-XP' model is developed by object-oriencted language for the user convenience and practical usage. Suggested GUI system consist of hydraulic analysis. water quality analysis, optimized model calibration processes, and postprocessing the simulation results.

  • PDF

기후변화와 유역유출특성을 고려한 미래하천환경 평가 (Assessment of Future River Environ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Basin Runoff Characteristics)

  • 안정민;임태효;이인정;천세억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3호
    • /
    • pp.269-28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RCP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기후변화와 유역유출특성에 따른 환경영향을 평가하였다. SWAT모형을 이용한 미래 댐 유입량 평가, HEC-ResSim 모형을 이용한 댐 안전성 평가 및 하류 유황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 수질관측자료를 이용하여 Seasonal-Kendall Test를 통해 수질변화 추세에 대해 분석하였고, SWAT과 HEC-ResSim 모형으로 도출된 방류량 및 지류유출량을 Qual2E모형에 적용하여 미래 수질변화 추세에 대해 분석하였다. 다음과 같은 유역 통합환경검토 기법은 하천환경에 대한 과학적 물환경 관리 체계를 확보하고, 기후변화 등 새로운 환경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지침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SWAT 모형을 이용한 지석천 유역의 수질 및 유량 모의 (Water quality and runoff simulation in the Jiseok Stream Basin using SWAT Model)

  • 박성천;양동현;진영훈;김동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014-2017
    • /
    • 2009
  • 유출량과 수질자료는 하천을 관리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수문자료이다. 미계측 유역의 경우 유출량은 면적비유량법 및 강우-유출모형을 통해서 유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강우-유출 모형에는 HEC-1, HEC-HMS, SWMM등의 여러 가지 모형이 쓰이고 있으며, 수질자료는 Qual2K, Qual2E 등의 모델을 이용하여 자료를 산출하고 있다. 기존의 모델들은 토지이용과 토양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다. 토지이용과 토양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웠던 기존의 모형과는 달리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의 경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함으로써 정확한 토지이용과 토양특성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시 공간적 변화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유역을 소유역으로 세분화함으로써 수문학적 응답 단위(Hydrologic Response unit : HRU)로 계산이 가능하여 더욱 세밀한 모의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SWAT모형을 전남 나주시와 화순군에 걸쳐 흐르는 지석천 유역에 적용하여 유출량과 수질을 모의함으로써 실제유역과 유사한 물리적 모의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SWAT모형이 대상지역의 부하량과 유출량 모의에 높은 적용성을 나타냈다.

  • PDF

건설 예정인 댐에서 유역유출과 취수형태에 따른 탁수의 거동 예측 (Simulation of Turbid Water According to Watershed Runoff and Withdrawal Type in a Constructing Reservoir)

  • 박재충;최재훈;송영일;유경미;강보승;송상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3호
    • /
    • pp.247-257
    • /
    • 2010
  • Watershed runoff and turbid water dynamics were simulated in the Youngju Dam, being constructed. The runoff flow and suspended solids were simulated and then thermal stratification and turbid water current in the reservoir were predicted by HSPF and CE-QUAL-W2 model, respectively. Considering selective withdrawal, we hypothesized 3 withdrawal types from the dam, i.e. surface layer, middle layer and the lowest layer.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SS was 400mg/L in reservoir and it was decreased by the withdrawal. The inflowed turbid water fell to 30 NTU after 12 days regardless of the withdrawal types, but the surface layer withdrawal was a better type at turbid water discharge than the others. In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we concluded that runoff and reservoir water quality predicted by HSPF and CE-QUAL-W2 was desirable, and appropriate parameters were selected by continous monitoring after EIA.

유지유량 증분 방법론(IFIM)에 의한 한강수계 주요 지류에서의 어류서식 필요유량 산정 (Estimation of Instream Flow for Fish Habitat using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IFIM) for Major Tributaries in Han River Basin)

  • 이주헌;정상만;이명호;이용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B호
    • /
    • pp.153-16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의 주요 지천별 어류 서식환경을 고려한 필요유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어류서식처 환경평가방법의 한가지인 유지유량 증분 방법론(IFIM)을 적용하였으며 어류의 미시서식처 조건을 만족하는 적정 필요유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물리적 서식처모의 시스템(PHABSIM)를 이용하였고, 어류의 거시서식처 조건을 만족하는 적정 필요유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QUAL2E 모형에 의한 수질모의를 시도하였다. 물리적 서식처모의 시스템을 한강수계에 적용하기 위하여 구간별 대표 어종의 성장단계별 서식처 적합도기준(Habitat Suitability Criteria)을 현장조사에 의한 어류채집을 통하여 수심 및 유속에 대하여 각각 작성하였다. 유지유량 증분 방법론을 한강수계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산정결과에 대한 토의와 함께 적용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강수계의 하천유지유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천 수질관리 시스템에서 최적화를 위한 유전알고리즘의 개발 (Development of a Genetic Algorithm for the optimization in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 성기석;조재현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3-206
    • /
    • 2001
  • Finding the optimal solution in the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is very hard with the non-linearity of the water quality model. Many suggested methods for that using the linear programming, non-linear programming and dynamic programming, are failed to give an optimal solution of sufficient accuracy and satisfaction. We studied a method to find a solution optimizing the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aspect of the efficiency and the cost of the waste water treatment facilities satisfying the water Quality goals. In the suggested method, we use the QUAL2E water quality model and the genetic algorithm. A brief result of the project to optimize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Youngsan river is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