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ST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2초

Rhizoctonia 및 Pythium 모잘록병에 대한 Serenade 제제의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Serenade Formulation against Rhizoctonia and Pythium Damping-off Diseases)

  • 조은주;강범관;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0권3호
    • /
    • pp.201-205
    • /
    • 2014
  • Rhizoctonia solani와 Pythium ultimum에 의한 모잘록병은 대부분의 작물에서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여 종자와 유묘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Serenade 제제(1.34%, SC)의 Rhizoctonia 및 Pythium 모잘록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병원균 접종 토양에 파종된 고추와 오이에 Serenade 제형 9배, 19배 및 39배 희석액을 관주 처리하였다. Serenade 제제를 9배 및 19배 희석액으로 처리하였을 때, 고추의 Rhizoctonia 모잘록병에 대한 Serenade 제제의 방제효과는 각각 58%와 29%이었다. 그리고 오이에서도 고추의 Rhizoctonia 모잘록병과 유사한 각각 54%와 28%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오이 Pythium 모잘록병에 대한 Serenade 제형의 방제효과는 Rhizoctonia 모잘록병에 비하여 아주 낮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고, Serenade 9배 희석액으로 처리한 고추의 Pythium 모잘록병에 대해서만 무처리구와 유의성 있는 발병도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erenade 제형은 Rhizoctonia 및 Pythium 모잘록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Japan Health Physics Society Guideline on Dose Monitoring for the Lens of the Eye

  • Yokoyama, Sumi;Tsujimura, Norio;Hashimoto, Makoto;Yoshitomi, Hiroshi;Kato, Masahiro;Kurosawa, Tadahiro;Tatsuzaki, Hideo;Sekiguchi, Hiroshi;Koguchi, Yasuhiro;Ono, Koji;Akiyoshi, Masahumi;Kunugita, Naoki;Natsuhori, Masahiro;Natsume, Yoshinori;Nabatame, Kuniaki;Kawashima, Tsunenori;Takagi, Shunji;Ohno, Kazuko;Iwai, Satosh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7권1호
    • /
    • pp.1-7
    • /
    • 2022
  • Background: In Japan, new regulations that revise the dose limit for the lens of the eye (hereafter the lens), operational quantities, and measurement positions for the lens dose were enforced in April 2021. Based on the international safety standards, national guidelines, the results of the Radiation Safety Research Promotion Fund of the Nuclear Regulation Authority, and other studies, the Working Group of Radiation Protection Standardization Committee, the Japan Health Physics Society (JHPS) developed a guideline for radiation dose monitoring for the lens. Materials and Methods: The Working Group of the JHPS discussed the criteria of non-uniform exposure and the management criteria set not to exceed the dose limit for the lens. Results and Discussion: In July 2020, the JHPS guideline was published. The guideline consists of three parts: main text, explanations, and 26 examples. In the questions, the corresponding answers were prepared, and specific examples were provided to enable similar cases to be addressed. Conclus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guideline on radiation dose monitoring of the lens, radiation managers and workers will be able to smoothly comply with revised regulations and optimize radiation protection.

날콩가루를 첨가한 증편 피자판 개발에 관한 연구 (Effect of raw soy flour addtion to Jeung-Pyun pizza on fermentation time and viscosity of batters and texture and general desirability of Jeung-Pyun pizza)

  • 윤선;이춘자;박혜원;명춘옥;최은정;이지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7-271
    • /
    • 2000
  • 본 연구는 증편 제조기법을 이용하여 피자 crust 제조를 시도한 논문으로서 이를 위한 표준 recipe의 제시와 발효시간, 점도의 변화 및 완성된 증편피자의 질감특성과 수응도를 기계적 검사와 관능검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증편 제조시 사용하는 탁주와 콩물을 이스트와 날콩가루로 대체하였으며 날콩가루 첨가 수준을 달리하여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증편 제조기법을 이용하여 증편 crust를 제조한 결과 질감과 형태가 피자 crust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한 표준 recipe를 제시하였다. 증편 제조시 날콩가루를 첨가한 결과 부피가 증가하는 속도가 빨라져서 1차, 2차 발효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었다. 특히 5% 날콩가루 첨가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발효시간이 유의적으로 짧아졌다. 1차, 2차 발효 후의 증편 반죽의 점도는 날콩가루 첨가에 따라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완성된 증편 crust의 질감을 기계적으로 측정한 결과 날콩가루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경도, 검성, 씹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씹힘성은 날콩가루 5%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와 같이 제조 직후에는 날콩가루 첨가가 완성된 증편 crust의 질감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저장시에는 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능검사 결과 증편 피자의 질감 특성은 기계적 검사결과와 유사하게 경도, 응집성, 부착성, 촉촉한 정도가 날콩가루 첨가에 의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 첨가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질감 특성이 낮게 나왔다. 3% 날콩가루 첨가군의 질감 특성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외관, 부드러운 정도, 전체적인 수응도에서는 오히려 좋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 증편 제조기법을 이용하여 피자 crust 성형이 가능하며 날콩가루를 3% 정도 첨가하였을 때 발효시간이 단축되고 질감과 수응도는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시 노화지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증편 제조기법을 현대인이 선호하는 편의식인 피자와 접목시킴으로서 한국형 건강 편의식 개발을 위한 증편 피자 개발을 시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