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QLF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845초

다구찌(田口)의 품질손실함수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Quality Loss Function(QLF) of Taguchi)

  • 이상복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9-130
    • /
    • 1997
  • In this paper, we analyze quality loss function(QLF) of Taguchi. Taguchi method of QLF gives more advanced measure process capability than classic capacity(i.e. Cp). We first discuss of QLF and Cp and give one good example of QLF. Because of simplicity of QLF, it is not good fit to a, pp.y in the real field. We suggest interval quantity-loss cost function and total loss cost(TLC) which modify QLF. Also we give one example which can be obtained in the real field.

  • PDF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and laser fluorescence: a comparative study

  • Yoon, Hyung-In;Yoo, Min-Jeong;Park, Eun-Ji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6호
    • /
    • pp.432-43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 vitro validity o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QLF-D) and laser fluorescence (DIAGNOdent) for assessing proximal caries in extracted premolars, using digital radiography as reference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2 extracted premolars with similar lengths and shapes were used. A single operator conducted all the examinations using three different detection methods (bitewing radiography, QLF-D, and DIAGNOdent). The bitewing x-ray scale, QLF-D fluorescence loss (${\Delta}F$), and DIAGNOdent peak readings were compa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Each method showed an excellent reliabil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itewing radiography and QLF-D, DIAGNOdent were -0.644 and 0.448, respectively, while the value between QLF-D and DIAGNOdent was -0.382. The kappa statistics for bitewing radiography and QLF-D had a higher diagnosis consensus than those for bitewing radiography and DIAGNOdent. The QLF-D was moderately to highly accurate (AUC = 0.753 - 0.908), while DIAGNOdent was moderately to less accurate (AUC = 0.622 - 0.784). All detection method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n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bitewing radiography and QLF-D. CONCLUSION. QLF-D was found to be a valid and reliable alternative diagnostic method to digital bitewing radiography for in vitro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을 이용한 치면세균막 검사법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Clinical Applicability of a New Plaque Scoring System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 황혜림;조영식;김백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0-15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임상에서 염색제를 사용한 치면세균막검사와 periodental probe를 사용한 치은지수 평가방법대신 새로운 디지털 형광 장비인 QLF-D를 이용한 검사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염색제를 이용하여 치면세균막지수를 산출하여 연구 대상자를 위험군별로 구분하여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QLF-D score와 전체 및 전치부 치면세균막지수, 치은지수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정상치은과 치은염에 따른 QLF-D score를 비교하였고, 각 QLF-D score에 따른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지수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연구대상자의 염색제를 이용한 평균 치면세균막지수는 $42.28{\pm}17.90$이었고, 6개의 선택치아의 치은지수는 $1.05{\pm}20.38$로 나타났으며, QLF-D score는 $1.26{\pm}1.50$이었다. 상하악전치부 QLF-D score와 치면세균막염색을 이용하여 평가한 전치부 치면세균막지수의 상관 분석 결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r=0.638, p<0.001). 또한 상하악 전치부 QLF-D score와 periodontal probe를 이용한 치은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두 가지 평가 지표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62, p<0.001).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지수에 따른 QLF-D score의 차이를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과, 치면세균막지수(p<0.0001)와 치은지수(p=0.007) 모두 저위험군에 비해 고위험군 집단에서 QLF-D score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QLF-D score에 따른 치면세균막지수 및 치은지수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QLF-D score가 증가할수록 두 가지 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001).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QLF-D로 치면세균막을 평가함으로써 치은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 QLF-D를 활용한다면, 비교적 간편하게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고 구강 상태를 점수화하여 제시함으로써 술자의 진단 절차가 간편해지고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정량 광유도 형광법(QLF)과 광활성제를 이용한 초기 치아우식증의 진단 (Diagnosis of Early Dental Caries with Dye-Enhanc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 김미희;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8-22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건전 법랑질과 우식 병소의 형광 차이를 증진시켜 QLF의 영상학적인 진단강도를 높이고, QLF로 촬영한 이미지 상에서 착색과 우식병소를 감별하기 위해 형광 염색제인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접목하여 사람 치아의 법랑질 표면에 유발된 초기 우식병소를 평가하는데 있다. 치아우식증이나 균열이 없는 최근 발거된 소구치 및 제3대구치를 대상으로 하여 치아의 평활면을 $6mm{\times}3mm{\times}3mm$ 크기로 절단한 후 아크릴 주형에 매몰하였고, 시편 표면적의 1/2에 nail varnish를 도포하여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시편은 무작위로 15개씩 총 6개 탈회그룹(6, 12, 24, 48, 72, 96시간)으로 나누었다. 시편을 각 시간에 맞게 탈회시키고 생리 식염수로 세척한 후 QLF-D를 이용하여 탈회 정도(${\Delta}F$)를 측정하고 0.075%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적용한 후 세척하고 ${\Delta}F$ 값을 측정하여 그 값을 비교하였다. 시편의 중앙 부위를 삭제하고 연마하여 주사전자현미경 상으로 영상을 저장한 후 병소 깊이를 측정하였다. QLF를 이용하여 관찰한 우식병소는 건전 법랑질보다 어둡게,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도포한 후 QLF로 관찰한 우식병소는 건전 법랑질보다 밝게 관찰되었으며 탈회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형광염료는 더 많이 침투하였다.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적용한 후 측정한 ${\Delta}F$ 값은 염색 전과 비교하여 모두 증가하였다(p < 0.05). QLF 수치와 병소 깊이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선형 방정식을 추출하였다. 따라서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접목시킨 QLF 측정은 임상적으로 초기우식을 감지하고 분류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QLF로 촬영한 이미지에서 우식병소와 착색을 감별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의 이해와 치위생 과정에서의 활용방안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A Potential Tool for Dental Hygiene Process)

  • 김희은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5-124
    • /
    • 2013
  • Recently, there have been improvements in diagnostic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early caries lesions. The reason is that dental professionals are seeking methods to reliably detect incipient dental caries and to remineralize them. This review examines the literature on principles, theoretical background, and history of the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system (Inspektor Research Systems BV, The Netherlands). Furthermore, this paper discusses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QLF system to clinical practice for educational purpose, enabling dental hygiene students to perform oral health assessment using the QLF system. In additio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QLF system can motivate patients by provid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about caries and bacterial activity. The evidences o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LF system for detection of longitudinal changes in de/remineralization and caries were examined. The QLF system is capable of monitoring and quantifying mineral changes in early caries lesions. Therefore, it can be used to assess the impacts of caries preventive measures on the remineralization and reversal of the caries process. And the QLF system is a very promising equipment to assess educational effectiveness for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ir learning process. In conclusion, the QLF system is the most effective technology for more sensitive staging of caries and treatment without surgical intervention.

초기 우식 병소에서 광원에 따른 형광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FLUORESCENCE EFFECT OF VARIOUS LIGHT SOURCES IN EARLY ENAMEL CARIES)

  • 전정훈;이난영;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11-61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우식 병소에서 광원에 따른 형광효과를 비교하는 것으로 정량 분석형 laser/light 형광법(Quantitative laser/light-induced fluorescence, QLF)을 이용하여 아르곤 레이저광, 할로겐광, 발광다이오드광(LED), 플라즈마광의 형광효과를 비교하였다. 발거된 60개의 치아를 선정한 후, 인공우식용액에 노출되지 않을 부분에 nail varnish를 도포하였고 치아는 24, 48, 72시간 동안 인공우식용액에 보관되었다. 건조 후 QLF영상으로 초기 우식 부위의 광밀도 차이에 의한 탈회정도가 기록되었다. 또한 조영제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염료를 이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또 다른 결과를 얻었다. 1. 각 군의 평균 광밀도를 볼 때, 플라즈마광이 세 군 모두에서 다른 광원들 보다 높았다(p<0.05). 2. 세 군 사이에서 평균 광밀도를 비교해 볼 때, 플라즈마광과 할로겐광이 차이를 보였다(p<0.05). 3. 조영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평균 광밀도를 비교해 볼 때, 플라즈마광이 세 군 모두에서 다른 광원들보다 높았고 (p<0.05), 발광다이오드광(LED)와 아르곤 레이저광을 제외한 모든 광원이 차이를 보였다(p<0.05). 4.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사용한 경우 평균 광밀도를 비교해 볼 때, 사용한 경우에 모든 광원의 평균 광밀도 차이가 컸다.

  • PDF

펜-타입 QLF 장비의 임상적 유구치 인접면 우식 탐지 성능 (Detecting of Proximal Caries in Primary Molars using Pen-type QLF Device)

  • 조혜진;김현태;송지수;신터전;김정욱;장기택;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05-41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펜-타입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QLF) 장비의 임상적 유구치 인접면 우식 탐지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형광 소실, 적색 자기형광 그리고 인접면 우식을 위해 간편화된 QLF 평가 기준(QS-proximal)이 사용되었으며 교익 방사선 영상과 비교, 평가되었다. 총 344개의 유구치 인접면이 분석되었으며 인접면 우식 병소는 시진과 방사선학적 검사 그리고 QLF 검진을 통하여 평가되었다. QLF 영상들을 이용하여 분석된 QLF 매개변수들과 QS-proximal을 방사선학적 평가와 비교하여 장비의 법랑질과 상아질 우식 탐지 능력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그리고 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urve(AUROC)가 계산되었다. 두 QLF 매개변수 모두 준수한 상아질 우식 탐지 능력을 보였으며 AUROC은 △F = 0.794, △R = 0.750였다. QS-proximal(0.757 - 0.769)은 시진(0.653)보다 더 높은 AUROC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펜-타입 QLF 장비는 방사선학적 평가와 비교하여 임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성능을 보였다.

세대별 QLF 기기의 평활면 비와동형 법랑질 우식 병소 탐지에 관한 진단정확도 비교 (Comparison of fluorescence loss measurements among various generations of QLF devices)

  • 박석우;이형석;김상겸;이은송;;김백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1호
    • /
    • pp.8-16
    • /
    • 2018
  • Purpose: The aim of in vitro study was to compare the diagnostic accuracy to detect non-cavitated enamel caries on smooth surface by using four kinds of the QLF devic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2 human permanent premolars and molars were used. Fluorescence images were captured by the QLF devices (Inspektor Pro, QLF-D, Qraycam, and Qraypen). Fluorescence loss of the QLF was calculated. The severity of lesions was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3 scores using polarized light microscopy: normal (S), enamel demineralization to outer half of enamel (D1), and inner half of the enamel up to the dentin-enamel junction (D2). The Kruskal-Wallis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fluorescence loss among the QLF devices.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histological scores and fluorescence loss of the devices was calculated.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urve (AUROC) were calculated to compare their diagnostic accuracies. Resul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histological scores and the fluorescence loss of the devices showed 0.77 to 0.81 (P < 0.001). All histological scores, the fluorescence loss among the device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devices,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UC values of the fluorescence loss showed 0.84 to 0.94, 0.76 to 0.90, and 0.90 to 0.92, respectively. Conclusions: All QLF devices had no difference with excellent diagnostic accuracies to detect non-cavitated enamel caries on smooth surface.

  • PDF

Pure Density Evolution of the Ultraviolet Quasar Luminosity Function at 2 < z < 6

  • Kim, Yongjung;Im, Myungshin
    • 천문학회보
    • /
    • 제46권1호
    • /
    • pp.53.2-53.2
    • /
    • 2021
  • Quasar luminosity function (QLF) shows the active galactic nucleus (AGN) demography 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he growth and the evolution of black holes, galaxies, and dark matter halos along the cosmic time. The recent wide and deep surveys have improved the census of high-redshift quasars,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reliable ultraviolet (UV) QLFs at 2 < z < 6 down to M1450 = -23 mag. By parameterizing these up-to-date observed UV QLFs that are the most extensive in both luminosity and survey area coverage at a given redshift, we show that the UV QLF has a universal shape, and their evolution can be approximated by a pure density evolution (PDE). In order to explain the observed QLF, we construct a model QLF employing the halo mass function, a number of empirical scaling relations, and the Eddington ratio distribution. We also include the outshining of AGN over its host galaxy, which made it possible to reproduce a moderately flat shape of the faint end of the observed QLF (slope of ~ -1.1). This model successfully explains the observed PDE behavior of UV QLF at z > 2, meaning that the QLF evolution at high redshift can be understood under the framework of halo mass function evolution. The importance of the outshining effect in our model also implies that there could be a hidden population of faint AGNs (M1450 > -24 mag), which are buried under their host galaxy light.

  • PDF

치아 우식증의 조기 진단을 위한 QLF-D 개발 (DEVELOPING OF QLF-D FOR EARLY DETECTION OF DENTAL CARIES)

  • 박형주;김종수;유승훈;신지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17-326
    • /
    • 2011
  • 저자는 DSLR(digital single-lens reflex) 카메라를 이용한 QLF-D 시스템을 고안하여, 사람의 유구치에 자연 발생된 법랑질 초기 우식증을 관찰하고, 유구치 법랑질 시편을 대상으로 2일부터 14일까지 인공 탈회시킨 후 탈회 기간에 따른 상관관계를 편광 현미경 소견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탈회 기간에 따른 편광 현미경 상의 병소 깊이와 QLF-D 영상의 광밀도 값 비율 간의 피어슨 상관 계수는 0.969였다(p<0.01). 2. 편광현미경에서 측정된 병소 깊이의 탈회 기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y=8.67x-1.16의 회귀 방정식이 산출되었다(p<0.05). 3. QLF-D 영상에서 측정된 광도값 비율의 탈회 기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y=3.53x+6.42의 회귀 방정식이 산출되었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