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 acutissima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19초

공주대학교 학술림(석장리동 일대)의 산림식생구조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Forests(Seokjangri-dong))

  • 김호진;송주현;이정은;윤이슬;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73-588
    • /
    • 2020
  • 본 연구는 공주대학교 학술림(석장리동 일대)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경영과 이용 및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산림식생구조를 파악하였다. 2019년 8월에 식물사회학적으로 식생조사를 하였으며, 60개소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상관식생유형분류와 중요치를 분석하고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상관식생유형분류 결과, 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평균상대중요치는 상수리나무군락에서 상수리나무 31.4%, 벚나무류 9.6%, 굴참나무 9.0%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나무군락은 소나무 24.9%, 상수리나무 12.4%, 졸참나무 11.5% 순으로 나타났다. 굴참나무군락은 굴참나무 25.3%, 벚나무류 9.8%, 상수리나무 8.5% 순으로 나타났으며, 리기다소나무군락은 리기다소나무 28.4%, 상수리나무 10.0%, 소나무 9.3% 순으로 나타났고, 졸참나무군락은 졸참나무 27.0%, 갈참나무 11.8%, 때죽나무 11.5% 순으로 나타났다.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층 우점종에 의해 현존식생도를 작성한 결과, 자연식생이 87.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현존식생은 87개의 패치로 구분되었고, 패치당 평균면적은 1.46ha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생육반응에 관한 연구 (Effects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Growth Response of Quercus acutissima and Q. variabilis)

  • 정중규;김해란;유영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48-656
    • /
    • 2010
  • 지구온난화는 자연생태계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식물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분류학 적으로 가깝고, 우리나라 산림 저지대에서 우점종이다. 본 연구는 두 종의 어린 묘목이 $CO_2$농도와 기온이 증가하면 생육반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CO_2$농도는 700~800ppm으로, 기온은 대조구보다 약 $3^{\circ}C$높게 처리하여 생장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상수리나무는 지구온난화처리구에서 뚜렷하게 차이나는 형질이 줄기 길이와 식물체 무게이고, 굴참나무는 줄기 직경과 줄기 무게이었다(p<0.05). 또한 평균 변화율로 보았을 때 굴참나무보다 상수리나무에서 많은 종류의 형질이 크게 변화하였다. 이는 지구온난화조건이 되면 한반도 중부지방에서 굴참나무보다 상수리나무의 생육반응이 더 민감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주성분분석은 두 종이 $CO_2$농도와 기온이 증가하면 종과 상관없이 유사한 경향성으로 배열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반응을 결정짓는 형질은 잎 수, 잎 넓이, 잎 폭, 지상부 길이, 잎 길이, 지상부 무게, 줄기 무게, 잎 무게, 지하부 무게와 식물체 무게 등 대부분의 측정된 것들과 관련이 있었다.

참나무류의 성장(成長) 및 물질생산(物質生産)에 관한 연구(硏究)(I) - 경기도(京畿道) 광주지방(廣州地方)의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천연임분(天然林分)을 대상으로 - (Growth,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Quercus Species (I) - With Reference to Natural Stands of Quercus variabilis, Q. acutissima, Q. dentata, and Q. mongolica in Kwangju, Kyonggi-Do -)

  • 박인협;이돈구;이경준;문광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76-83
    • /
    • 1996
  • 참나무류 주요 수종의 성장(成長) 및 물질생산(物質生産)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京畿道) 광주지방(廣州地方)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중부연습림에 위치하고 있는 평균 수령(樹齡) 32-38년생(年生)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등 4개 수종 천연임분(天然林分)을 대상으로 임분별 $10m{\times}10m$ 조사구 10개씩을 설치 한 후 매목조사(每木調査)를 실시하고 임분별 10주씩 총 40주의 표본목(標本木)을 선정 벌목하여 조사하였다. 평균 흉고직경(胸高直徑)과 수고(樹高)는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임분의 순으로 컸다. 임목밀도(林木密度)는 굴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임분의 순으로 높았다. 현존량(現存量)은 상수리나무 임분 122.73t/ha, 굴참나무 임분 87.03t/ha, 신갈나무 임분 72.14t/ha, 떡갈나무 임분 38.56t/ha의 순으로 많았다. 순생산량(純生産量)은 신갈나무 임분 7.49t/ha/yr., 굴참나무 임분 6.47t/ha/yr., 상수리나무 임분 6.06t/ha/yr., 떡갈나무 임분 3.52t/ha/yr.의 순으로 많았다. 순동화율(純同化率)은 상수리나무 임분 3.275, 굴참나무 임분 2.898, 신갈나무 임분 2.888, 떡갈나무 임분 1.840의 순으로 높았다. 4개 임분의 순동화율(純同化率) 순위와 순생산량(純生産量)순위가 다른 것은 잎의 현존량(現存量)이 다르기 때문이었으며 순생산량(純生産量) 순위와 현존량(現存量) 순위가 다른 것은 지속적 축적기관인 줄기, 비교적 단기간의 축적기관인 가지, 비축적기관인 잎의 순생산량(純生産量) 구성비(構成比)가 다르기 때문이었다.

  • PDF

제주도 자생 참나무과 식물의 대기 중 CO2 흡수 능력의 비교분석 (Analysis of CO2 Fixation Capacity in Leaves of Ten Species in the Family Fagaceae)

  • 오순자;신창훈;김철수;강희석;강경민;양윤희;고석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9-96
    • /
    • 2012
  • The rate of photosynthesis (A) of leaves from 10 plant species (6 evergreen and 4 deciduous) of the family Fagaceae was measured using a portable photosynthesis analyzer, to examine which species take up $CO_2$ most efficiently. Of the evergreen species, the photosynthetic rate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was highest, and remained above 82.1~106.4 ${\mu}mol\;kg^{-1}s^{-1}$ from July to November. Of the deciduous species, the photosynthetic rate of Quercus acutissim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hree species, and remained high at 83.5~116.6 ${\mu}mol\;kg^{-1}s^{-1}$ from September to November. The photosynthetic rate of the 10 speci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omatal conductance (gs) and transpiration rate (E).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hotosynthetic rate and intercellular $CO_2$ concentration ($C_i$), althoug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just in three species (Q. gilva, Q. acutissima and Q. glauc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_2$ fixation capacity of C. cuspidata var. sieboldii, an evergreen species, and Q. acutissima, a deciduous specie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pecies examined, and that photosynthesis is regulated by both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Therefore, C. cuspidata var. sieboldii and Q. acutissima may be valuable for the evaluation of carbon uptake in urban green spaces as well as in afforested areas.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임분의 임목 바이오매스와 토양 탄소 저장량 (Carbon Stocks in Tree Biomass and Soils of Quercus acutissima, Q. mongolica, Q. serrata, and Q. variabilis stands)

  • 이상태;정상훈;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3호
    • /
    • pp.365-373
    • /
    • 2022
  • 본 연구는 낙엽활엽수종인 참나무류 중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4개 수종을 대상으로 임목 바이오매스 및 토양 탄소 저장량을 비교하였다. 2016년부터 2021년 사이 전국 경제림 단지에 분포하는 상수리나무 110개소, 신갈나무 177개소, 졸참나무 96개소, 굴참나무 148개소 등 총 531개소를 대상으로 임분 현황을 조사하고 토양 A층과 B층의 탄소 농도를 분석하였다. 임목 바이오매스의 탄소 저장량은 평균 임령 57년생인 신갈나무 임분이 144.9 Mg C ha-1, 43년생인 굴참나무 임분 123.7 Mg C ha-1, 43년생인 졸참나무 임분 120.1 Mg C ha-1, 36년생인 상수리나무 임분 113.2 Mg C ha-1 순이었다. 토양 탄소 농도는 신갈나무 임분의 A층이 43.1 mg C g-1로 졸참나무 임분 31.0 mg C g-1, 굴참나무 임분 25.3 mg C g-1, 상수리나무 임분 24.4 mg C g-1에 비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토양 탄소 저장량은 신갈나무 임분이 116.8 Mg C ha-1로 타 참나무류 임분에 비해 가장 높고, 상수리나무 임분은 49.3 Mg C ha-1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총 탄소 저장량은 신갈나무 임분 262 Mg C ha-1, 졸참나무 임분 218 Mg C ha-1, 굴참나무 임분 211 Mg C ha-1, 상수리나무 임분 163 Mg C ha-1 순이었으며 해발고, 임령, 평균 흉고직경, 평균 수고, 흉고단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탄소 저장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된 4개 수종의 총 탄소 저장량은 흉고단면적과 해발고 같은 설명 변수를 이용한 다중 회귀모델에 의해 유의적인(P<0.05) 추정이 가능하였다.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 숲에서 細根의 空間分布 (Spatial Distribution of Fine Roots in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acutissima Stands)

  • Kwak, Young-Se;Kim, Joo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13-119
    • /
    • 1994
  •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and seasonal changes of fine roots as well as inorganic nitrogen content in soil were determined in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acutissima stands in Mt. Taemosan, Seoul.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fine rooth phytomass showed a power-functional decrease as descending soil depth. Fine root phytomass was 170 g $DM/m^2$(46%) and 225 g $DM/m^2$(47%) in top soil of 5 cm depth, and 370 g $DM/m^2$ and 480 g $DM/m^2$ from soil surface to 50 cm depth in Q. mongolica and Q. acutissima stands, respectively. Fine roots in relation to the distance from the nearest tree were evenly distributed horizontally in both stands. Fine roots phytomass in top soil of 5 cm depth reached a peak in June, and thereafter decreased gradually in both stands. Patterns of seasonal changes in fine root phytomass were closely related to inorganic nitrogen and moisture content.

  • PDF

기후변화 환경에서의 낙엽성 참나무 6종의 발아와 초기 생장 (Impact of Germination and Initial Growth of Deciduous Six Oak Species under Climate Change Environment Condition)

  • 정헌모;김해란;유영한
    • 생태와환경
    • /
    • 제54권4호
    • /
    • pp.334-345
    • /
    • 2021
  • 우리나라 산림 생태계의 주요 우점종인 낙엽성 참나무 6종의 지구온난화에 의한 초기 생장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야외 (대조구)와 대조구보다 온도 (3.0℃ 상승)와 CO2 농도 (2배 상승)를 증가시킨 기후변화처리구에 종자를 파종하고 2주 간격으로 발아 및 초기 생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6종 참나무 유식물들의 지상부와 지하부 출현시기는 대조구보다 기후변화처리구에서 모든 종이 더 빨랐다. 잎 출현시기는 기후변화처리구에서 굴참나무, 신갈나무 그리고 졸참나무가 빨랐다. 지하부 길이는 기후변화 처리구에서 굴참나무, 신갈나무 그리고 떡갈나무가 길었고 상수리나무는 구배 간 차이가 없었으며 갈참나무와 졸참나무는 짧았다. 지상부 길이는 기후변화처리구에서 졸참나무가 길었고,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그리고 떡갈나무는 차이가 없었으며 갈참나무는 짧았다. 이상의 결과는 지구온난화 환경에서 지상부와 잎의 출현시기가 빠르고 지하부 생장이 좋은 신갈나무의 초기 생장이 가장 유리함을 나타내었다. 반면, 기후변화처리환경에서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장이 가장 낮은 갈참나무는 다른 참나무에 비하여 생육이 불리하였다. 또한 상수리나무는 지구온난화 환경에 따른 초기 생장의 차이가 적어 가장 영향이 적은 나무로 판단된다.

국산참나무 아속(亞屬) 주요 수종의 해부학적 성질과 휨강도와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Bending Strength in Major Species of Korean Lepidobalanus)

  • 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9-17
    • /
    • 1999
  • 목재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다양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산 참나무 아속 주요수종인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를 대상으로 해부학적 특성과 휨강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참나무 아속의 합리적인 이용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었다. 해부학적 특성가운데 휨강도에 가장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굴참나무는 $1mm^2$ 당 만재 관공의 수, 갈참나무와 신갈나무는 microfibril 경사각, 졸참나무는 목섬유의 길이, 상수리나무는 단열 방사조직 높이였다.

  • PDF

졸참나무림의 식생구조와 생태적지 (Vegetat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Niche of Quercus serrata Forests)

  • 이미정;이선;김효정;지윤의;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0-58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and site of Quercus serrata forest for ecological forest management and ecological nich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chemical properties of Q. serrata forest soil were 0.24% of total nitrogen, 8.27 of organic matter, 74ppm of available phosphorous, 1.64(me/100g) of Ca, 0.22(me/100g) of Mg, 0.74(me/100g) of K and 9.3(me/100g) of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The dominant species in Quercus serrata forest were Quercus serrata, Quercus acutissima, 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 Styrax obassia, Fraxinus rhynchophylla and Styrax japonica. DBH analysis showed that Quercus serrata seems to remain as a dominant species for the present because they had random distribution based on few of big individuality, many of small and middle individuality. But the Q. serrata community is competing with Q. mongolica and F. rhynchophylla, whose density of small individuality has increas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TWINSPAN, Q. serrata forest was classified three groups, such as Q. serrata-Acer mono, Q. serrata, Q. serrata-Q. acutissima communities.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Q. serrata major communities and environment factors are as follows; Q. serrata-A. mono community was found relatively in high elevated and eastern and northern area that has relatively high percentage organic matter. Also Q. serrata community was found in high elevated and eastern and northern area that has high percentage organic matter. Q. serrata-Q. acutissima community was found in low elevated and southern and western area that has low percentage organic matter.

DCCA 와 Polar Ordination 에 依한 無等山의 森林 群落 分析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nd polar ordination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ies of mudungsan.)

  • Kim, Chang-Hwan;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2호
    • /
    • pp.117-125
    • /
    • 1992
  • TWINSPAN(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DCCA(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nd polar ordination method wee used so as to analyze the the relation between forest vegetation and hibitat of mudungsan(1, 187m) located in kwangju area. Vegetationsurvey consulted 1:25, 000 topographical map, set up 41 quadrats and analyzed from April, 1990 to August, 1991. Forest vegetation of mudungsan was classifild to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quercus dentat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by TWINSPANmethod, and this almost coincide with the result of plar ordination. according to DCCA analysis, P. densiflora community was formed in xeric and low altitude region which soil nutrient was poor, compared with other communities.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community wee distributed in the region that low altitude and organic matter content was comparatively low, but q. acutissima community was formed in a damp region while q. variabilis community in a xeric region. q. mongolica and f. mandshurica formed the communities in a high altitude region, especially f. mandshurica cmmunity was distributed in a high humidity region. According to polar ordination analysi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to 7 communities by means of environmental gradient such as humidity, organic matter, ph, temperature, c.e.c and P2O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