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oligneous acid liquo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목초액 및 보존제가 발효소시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yroligneous Liquor and preservatives on the Quality of Fermented Sausages)

  • 최원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5-80
    • /
    • 1998
  • pH in sausages with 0.5% and 2% pyroligneous liquor was lowered rapidly respectively. Sausage with 2% pyroligneous liquor showed the lowest Aw. Antioxidant activity of 0.02% and 0.5% pyroligneous liquor was negligible but rancidity was inhibited in the sausages with 2% pyroligneous liquor and 0.02% BHA/BHT(1:1) Sensory tests showed that sausages treated with pyrolignesous liquor had lower score.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as not affected by pyroligneous liquor. But enterobacteria was not detected after 10 days fermentation of the sausages wit 0.02% BHA/ BHT 8 days in the 0.5% pyroligneous liquor and 6 days in the 2% pyroligneous liquor.

  • PDF

목초액이 기내 배양한 풍란(Neofinetia faicata)의 내생물질 함량 및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yroligneous Liquor on the Content and Activity of Endogenous Substances of Neofinetia falcata Cultured in vitro)

  • 지선옥;조동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73-677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effect of pyroligneous liquor on endogenous substances that were GA (gibberelic acid)-like substances, starch, and protein of Neofinetia falcata cultured in vitro. When seedlings of Neofinetia falcata were treated with several concentrations (0, 0.5, 1.0, 2.0, 3.0 ml/L) of pyroligneous liquor, the growth of seedlings was enhanced in 1.0ml/L pyroligneous liquor added media. The activity of GA-like substances was lower in the leaf, but higher in the and root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content of starch in 1.0ml/L pyroligneous liquor was lower in the leaf, but higher in the root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the content of protein in 1.0ml/L pyroligneous liquor was also lower in the leaf, but higher in the root than that of the control.

Inhibitory Activity of Oak Pyroligneous Liquor against Coleosporium Plectranthi, an Obligate Parasite Responsible for the Rust Disease on Perilla Leaf

  • Kumar, Varun;Chauhan, Anil Kumar;Baek, Kwang-Hyun;Kang, Sun-Chul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3-458
    • /
    • 2011
  • BACKGROUND: Coleosporium plectranthi, an obligate parasite,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rust disease of Perilla frutescens, a plant in Korea, commonly known as Perilla. All rusts are obligate parasites, meaning that they require a living host to complete their life cycle. They generally do not kill the host plant but can severely reduce growth and yield. Food and feed spoilage fungi cause great economic losses worldwide. It is estimated that between 5 and 10% of the world food production is wasted due to fungal deterioration. Rust disease of Perilla is highly frequent and is widely spread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 novel media for the urediniospore germination in vitro and anti-rust activity as well as GC-MS analysis of oak pyroligneous liquor. METHOD AND RESULTS: Urediniospores were collected from the infected leaf of Perilla. Spore suspension was made and the suspension was inoculated in the 2% water agar media with proper humidity, then they were incubated at $26^{\circ}C$ for 56 hrs. The GC-MS analysis of the oak pyroligneous liquor was also done to check the chemical composition. GC-MS analysis of the wood vinegar was found 15 compounds, among them o-mthoxyphenol (25.93%), 2,6-dimethoxyphenol (16.06%), 4-methylenecyclohexanone (10.69%), 2,3-dihydroxytoluene (7.84%), levoglucosane (6.14%) and propanoic acid (5.32%) were the major components. Different concentration of the oak pyroligneous liquor was used, and spore inhibition was recorded on the basis of spore counting. The best results were noted at the concentration of 50% solution where 31.8% spores were inhibited.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oak pyroligneous liquor and the activity recorded we can use it as an anti-rust agent.

목초액 처리가 돈분 퇴비화 과정중 악취저감에 미치는 영향 (Reduction of the Odors during Pig Manure Composting Using of Pyroligneous Acid Liquor)

  • 이종은;장기운;이종진;황준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2권2호
    • /
    • pp.233-241
    • /
    • 2005
  • 본 연구는 친환경농자재로 선정된 유기성폐자 원인 목초액을 농 축산분야의 적용과 활용성 평가를 위해 돈분퇴비화 과정 중 발생되는 악취에 대한 저감효과를 조사하여 그 이용가치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암모니아 가스의 분석결과 목초액을 처리한 PA-100과 PA-300 처리구에서 초기 암모니아가스 발생량이 관행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목초액 처리구에서는 약 18일 이후부터는 측정되지 않았다. 반면, 관행구에서는 보다 오랫동안 나타났으며 약 25일후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달관적인 조사를 통하여 PA-100과 PA-300 처리구에서는 발생하는 암모니아가스 냄새의 정도가 현저히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목초액내에 함유된 초산성분에 의한 암모니아의 중화반응과 탄화된 목재의 특유의 향으로부터 가려지는 가리움효과(eclipsed effect)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휘발성 유기산의 발생량을 GC를 통해 분석한 결과 PA-100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휘발성 유기산 중에서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 및 butyric acid 등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특히, propionic acid와 butyric acid는 PA-100 > PA-300 > 관행구 순으로 퇴비화 과정중 감소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acetic acid는 관행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목초액의 주성분인의 하나인 초산(acetic acid)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일반 김과 기능성 김의 식품성분과 관능평가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f Food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on Porphyra yezoensis and Functional Porphyra yezoensis)

  • 서희영;정복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314-1319
    • /
    • 2007
  • 본 연구는 일반 김과 기능성 김의 성분과 관능평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전남 신안군에 위치하고 있는 김 제조업체에서 제품을 제공받아 일반 김, 목초액 김, 함초 김, 퉁퉁마디 참숯돌김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중금속 함량, 구성아미노산 분석 및 김을 굽기 전과 구운 후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과 조 섬유 함량을 제외하고는 일반 김에 비해 기능성 김에서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에서 칼슘, 칼륨, 구리, 나트륨 함량은 함초 김, 철분 함량은 퉁퉁마디 참숯돌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마그네슘과 아연을 제외하고는 기능성 김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 함량의 경우 크롬, 카드뮴, 납은 일반 김에서 높았고, 그 외 성분은 퉁퉁마디 참숯돌김에서 약간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구성아미노산에서 일반 김과 기능성 김에서 대부분 glutamic acid, glyc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일반 김에 비하여 기능성 김에서 약 3배 정도 많이 나타난 아미노산은 alanine, phenylalanine이었으며, 일반 김과 목초액 김에 비하여 함초 김과 퉁퉁마디 참숯돌김은 serine과 lys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평가결과에서는 김을 굽기 전에는 일반 김과 기능성 김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김을 구운 후에는 일반 김에 비하여 대부분의 기능성 김의 관능평가 결과가 유의적으로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목초액 김에 비하여 함초 김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목초액 처리가 돈분퇴비의 부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yroligneous Acid Liquor on the Maturity of Pig Manure Compost)

  • 이종은;홍주화;장기운;황준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1-107
    • /
    • 2005
  • 본 연구는 친환경농자재로 선정된 목초액이 돈분 퇴비화 과정중 이화학성과 부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그 이용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퇴비더미의 온도는 목초액 PAL-100 처리구에서 약 8일내에 가장 빠르게 $65-70^{\circ}C$ 정도에 도달하였으며, 약30일 이후에는 변화가 안정화되어 약 $28^{\circ}C$를 유지하였다. 반면, 관행구는 초기의 약 $60^{\circ}C$에서 반복적인 뒤집기와 수분조절에 따른 온도의 증감을 보인 후 약 50일 전후에는 안정화 되었다. pH는 발효초기에 PAL-100 처리구에서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나 약 10일내로 서서히 증가한 후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7.6을 유지하였고, PAL-300 처리에서는 최종 pH가 7.7이었으며 관행구에서는 약 8.0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모든 처리구에서 총탄소는 감소하였으며, 부피의 감소에 따른 용적밀도를 기준으로 계산된 총질소는 증가하였다. C/N율의 감소는 PAL-100, PAL-300 및 관행구 순서로 컸으며, 최종 퇴비의 C/N율은 PAL-100, PAL-300 및 관행구 각각 24.3, 29.6, 37.0이었다. 또한 퇴비의 부숙도와 안전성 평가는 원형여지크로마토그래피와 식물독성실험으로 조사하였는데, 목초액을 처리한 PAL-100과 PAL-300 처리구가 관행구의 여지보다 테두리에 용액의 전개현상으로 본 부숙의 안정화가 빨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최종퇴비의 GI는 PAL-100 처리구가 관행구보다 약 20%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퇴비의 부숙도가 더욱 안정화 되어 식물의 생육에 저해를 주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목초액을 약 100-300배로 희석하여 퇴비더미를 교반할 때 약 3회 정도 살포해 주면 퇴비 내 미생물의 증식을 도모하여 퇴비의 부숙 촉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유기산, 기능성물질 혼합에 의한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병원성 증진효과 (Enhanced Effectiveness of Spodoptera litura Nucleopolyhedrovirus with Organic Acids and Functional Matters)

  • 김선곤;박종대;김도익;박진영;최형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5-60
    • /
    • 2004
  •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SINPV)의 살충력 증가를 위하여 유기산 및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다각체병바이러스(NPV) 1${\times}$$10^{5}$ PIBs/$m\ell$에 ascorbic acid, succinic acid, sulfanilic acid 2,000ppm을 바이러스 1${\times}$$10^{5}$ PIBs/$m\ell$에 첨가하였을 때 각각 7.0일, 7.일, 10.7일로 바이러스 단독으로 처리한 6.0일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boric acid 2,000ppm을 첨가한 경우 L $T_{50}$은 4.5일로서 단독처리보다 1.5일 짧았다. 유충 체중변화에서도 boric acid는 2,000ppm에서 7일째 이후 생존하는 개체가 없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000ppm과 500ppm에서도 체중이 증가하지 않아 바이러스 활성 증진을 지속시키는 물질로 판단되었다. 기능성 물질과 혼합 처리에서는 바이러스 1${\times}$$10^4$ PIBs/$m\ell$ 단독 처리는 L $T_{50}$이 7.4일이 걸리는 반면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와 전해산화수, 키토산, 목초액 혼합처리는 모두 살충기간이 길어져 혼합효과가 없었다.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 농도 1.0${\times}$10$_{6}$, $10^{8}$ PIBs/$m\ell$와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였을 때도 같은 경향으로 오히려 바이러스 병원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