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o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4초

Formation of Pyro-products by the Pyrolysis of Monobromophenols

  • Na, Yun-Cheol;Seo, Jung-Ju;Hong, Jong-K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9호
    • /
    • pp.1276-1280
    • /
    • 2003
  • Thermal behavior of bromphenols was investigated by direct pyrolysis at high temperature. The thermal degradation products formed by the pyrolysis of mono-bromophenols (o-, m-, and p-) were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During the pyrolysis reactions, several kinds of dioxins and furans were produced, and the relative ratio of pyro-products was dependent on the substituted position of bromine in phenolic structure due to the effect of symmetry and steric hindrance. The formation of dioxins can be explained by the phenoxy radical addition and Br atom elimination at an ortho-carbon site on phenolic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formation of furans can be explained by the ortho-ortho carbon coupling of phenoxy radicals at unsubstituted sites to form o, o'-dihydroxydiphenyl intermediate via its keto-tautomer, followed by $H_2O$ elimination. The pyrolysis temperature has also a substantial effect on the dimerized products quantities but little effect on the type of pyro-products. Moreover, the formation mechanism of pyro-products was suggested on the basis of products identified.

Ball Type 분리볼트 개발 (Development of Ball Type Separation Bolt)

  • 이응조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0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79-182
    • /
    • 2008
  • 현재의 많은 유도무기들은 발사관에 장착되어 보관 및 이동되다가 필요시 발사된다. 발사관이란 유도탄 즉 미사일등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유도탄을 둘러싸고 있는 일종의 케이스이며 또한 유도탄 발사시 가이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유도탄과 발사관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탄고정장치를 사용하는데 대표적인 파이로 부품이 폭발볼트이다. 폭발볼트는 화약의 폭발력에 의해 볼트몸체가 이등분됨으로써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있던 부분이 분리된다. 하지만 기존의 폭발볼트는 분리시 파편, 화염 및 pyro-shock이라는 악작용을 수반하므로 사용상 제한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ball을 이용한 결합 분리장치 즉 ball type 분리볼트를 개발하게 되었다. 기존의 폭발볼트가 가졌던 기계적 우수성은 물론 분리시 파편, 화염 및 pyro-shock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파이로 시동기의 압력변화와 터빈 블레이드 회전수 변화에 따른 충동형 터빈 블레이드 입구의 가스온도 분포 해석 (Numerical Study of Turbine Blade Surface Gas Temperature with Various RPM and Pyro Starter Pressure)

  • 이인철;변용우;구자예;이상도;김귀순;문인상;이수용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1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4-97
    • /
    • 2008
  • 부분 흡입형 터빈의 표면 가스온도 분포 해석은 유동장 내부가 3차원의 매우 복잡한 유동장을 구성하기 때문에 실제 해석상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파이로 시동기는 입사각 $18^{\circ}$로 설치되어 있으며, 105개의 충동형 터빈 블레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파이로 시동기 압력 변화에 대하여 터빈 블레이드의 표면 가스온도 분포 해석이 이루어 졌으며, Round형의 터빈 블레이드는 1423K의 온도와 7.2MPa의 압력 조건에서 16000rpm까지 회전하게 된다. 파이로 시동기의 압력과 터빈 블레이드의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터빈 블레이드의 표면 가스 온도는 하강하게 되며, 파이로 시동기 압력이 5.75MPa 이고 회전수가 12100rpm의 보다 증가함에 따라 터빈 블레이드로 입구의 유동장에는 균일한 표면 가스 온도가 유입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차세대 소형위성 1호 충격시험 계측/분석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hock Test Measurement/Analysis Program for NEXTSat-1)

  • 성태현;진재현;김상균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4-40
    • /
    • 2016
  • A satellite is exposed to various impact environment until orbit entry. It is particularly undergoing the biggest impact by pyro shock, which is generated when the launch vehicle stages are separated or the satellite is separated from the launch vehicle. In this paper, due to the fact that the pyro shock is prerequisite for performing the test and verification on the ground, we developed an air-gun type shock tester for NEXTSat-1 shock test at the KAIST SaTReC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program introduced by LabVIEW software. The program operated in shock tester is consist of data measurement and analysis with the convenient implementation of user interface and its easy modification of the code.

ASCENT THERMAL ANALYSIS OF FAIRING OF SPACE LAUNCH VEHICLE

  • Choi Sang-Ho;Kim Seong-Lyong;Kim Insun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4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3권2호
    • /
    • pp.239-242
    • /
    • 2004
  • The fairing of the launch vehicles has a role of protecting the spacecraft from outer thermal, acoustical, and mechanical loads during flight. Among them, the thermal load is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The ascent thermal analyses include aerodynamic heating rate on every point of the fairing, heat transfer through the fairing and spacecraft, and the final temperature during ascent flight phase. A design code based on theoretical/experimental database is applied to calculate the aerodynamic heating rate, and a thermal math program, SINDA/Fluint, is considered for conductive heat transfer of the fair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sent design satisfies the allowing temperature of the structure. Another important thermal problem, pyro explosive fairing separation device, is calculated because the pyro system is very sensitive to the temperature. The results also satisfies the pyro thermal condition.

  • PDF

Sensitivity simulation on isotopic fissile measurement using neutron resonances

  • Lee, YongDeok;Ahn, Seong-Kyu;Choi, Woo-Se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637-643
    • /
    • 2022
  • Uranium and plutonium are required to be accounted in spent fuel head-end and major recovery area in pyro-process for safeguards purpose. The possibility of neutron resonance technique, as a nondestructive analysis, was simulated on isotopic fissile analysis for large scale process. Neutron resonance technique has advantage to distinguish uranium from plutonium directly in mixture. Simulation was performed on U235 and Pu239 assay in spent fuel and for scoping examination of assembly type. The resonance energies were determined for U235 and Pu239. The linearity in the neutron transmission was examined for the selected resonance energies. In addition, the limit for detection was examined by changing sample density, thickness and content for actual application. Several factors were proposed for neutron production and the moderated neutron source was simulated for effective and efficient transmission measurement. From the simulation results, neutron resonance technique is promising to analyze U235 and Pu239 for spent fuel assembly. An accurate fissile assay will contribute to an increased safeguards for the pyro-processing system and international credibility on the reuse of fissile materials in the fuel cycle.

안정적인 정전류 구동 방식의 파이로 스퀴브 회로 설계 (Pyro Squib Circuit Design with Stable Constant Current Driving Method)

  • 소경재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45-551
    • /
    • 2022
  • We proposed a design method for constant current pyro squib circuit. The current method using N MOSFET for the stability problem has a weakness of the current change, requiring a new design. This paper identified the problem with conventional squib circuit where the current is reduced by 25 % when maximum resistance is 3 ohms. Thus, we proposed a stable constant current driving circuit using P MOSFET and PNP BJT. We confirmed stable constant circuit operation through simulations and measurements of the proposed circuit design where the current did not change until the resistance reached 3 ohms.

생면 품질에 미치는 각종 인산염의 효과

  • 김진성;문주수;이옥환;손종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사단법인 창립총회
    • /
    • pp.84-84
    • /
    • 2003
  • 생면제조시 각종 인산염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PG(propylene glycol),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등을 단독 또는 복합으로 첨가하여 제면특성 및 저장 중 생기는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인산염의 단독 또는 복합 처리에 의한 amylogram 특성은 최고점도의 경우 대조구, PG, polyphosphate, pyrophosphate, metaphosphate, PG+poly., PG+pyro. 및 PG+meta. 첨가구에서 273, 269, 274, 260, 272, 295, 269 RVU이었고 setback 값은 대조구, PG, polyphosphate, pyrophosphate, metaphosphate, PG+poly., PG+pyro. 및 PG+meta. 첨가구에서 104, 97, 92, 99, 99, 95, 102 RVU이었다. (중략)

  • PDF

A-KRS 처분 시스템 결정론적 안전성 평가 (A Deterministic Safety Assessment of a Pyro-processed Waste Repository)

  • 이연명;정종태;최종원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1-188
    • /
    • 2012
  • 파이로 처리 방사성 폐기물 처분 시스템 A-KRS에 대한 결정론적,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가 가능하도록 골드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처분장에서 핵종이 유출되어 다양한 처분 시스템 내 매질을 이동하는 것에 관련된 주요 시나리오를 도출하기 위하여 처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요소 별로, 그리고 처분 시스템 내 핵종의 이동에 관여하는 FEP을 인지 선별하여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골드심 템플릿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폐쇄후 방사선적 안전성 평가를 결정론적으로 수행하여 5개의 정상 및 비정상 시나리오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상호 비교하였다.

A-KRS 처분 시스템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 (A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of a Pyro-processed Waste Repository)

  • 이연명;정종태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63-272
    • /
    • 2012
  • 파이로처리 방사성 폐기물 처분 시스템에 대하여 골드심을 이용하여 개발된 확률론적 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폐쇄후 방사선적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처분장으로부터 핵종이 유출되어 다양한 처분 시스템 내 매질을 이동하는 것에 관련된 정상 시나리오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평가 결과에 대한 민감도나 일반적으로 불확실성의 범위가 큰 입력자료 중 주요하다고 판단되는 파라미터를 9개로 선정하여 평가에 고려된 핵종 중 Tc, Sn, Pa, Cs 4개의 원소에 대하여 평가 결과를 논의해 보았다.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와 함께 이들 각 입력 자료에 대한 최종 방사선 피폭선량에 대한 민감도도 분석하여 결과에 대한 각 입력 파라미터의 중요도도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