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eongba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목부재의 수종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Elements Used for Daewungbojeon Hall in the Magoksa Temple, Gongju)

  • 김수철;장진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295-303
    • /
    • 2015
  •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은 17세기 조선시대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에 쓰인 목부재의 수종을 분석하는 것이며, 연구를 위하여 기둥, 창방, 평방, 추녀, 사래, 활주 총 42개의 시료를 조사하였다. 수종분석 결과 기둥, 창방, 평방, 활주는 모두 소나무류(경송류)로 식별되었다. 그러나 추녀는 느티나무 또는 은행나무였으며, 사래는 외래산 소나무류로 확인되어 다른 부재와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지붕부 부재가 다른 부재에 비해 교체율이 높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사래에 사용된 외래산 소나무류는 근래 보수 시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통목구조 시스템의 도리방향 골조의 횡저항 성능에 대한 실험 (Experiment of Lateral Load Resistance of Dori-Directional Frame in Traditional Wood Structure System)

  • 이영욱;홍성걸;김남희;정성진;황종국;배병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7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1-246
    • /
    • 2007
  • The capacity of a lateral load resistance of a joint with Jangbu-connection of Dori-directional frame in traditional wood structure system was studied, through experiments of 1/2 scaled and T-shaped 7 subassemblies of joint of Dori-directional frame for Deawoongjeon of Bongjungsa. From the experiment, it was shown that the capacity of a lateral load resistance was influenced by the vertical load confining joint and not influenced by the number of Chok and the depth of Changbang, And lateral load resistance mechanism is developed by the restraint between the vertical load and the contacting edge of column; if structure is pushed to the left, the top-right end of Pyeongju contacts with Changbang and left Changbang loses the contacts with Pyeongju and therefore only right Changbang can resist to lateral load.

  • PDF

대구 북지장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식별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Elements Used for Daewungjeon Hall in the Bukjijangsa Temple, Daegu, Korea)

  • 연정아;박원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201-210
    • /
    • 2013
  • 대구 북지장사 대웅전(보물 제 805호, 1659년 건축)에 쓰인 주요 목부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창방, 평방, 도리, 추녀 등 총 117점을 조사하였다. 수종 식별 결과, 기둥 부재의 경우, 소나무류(적송류) 5개, 상수리나무류 2개, 솔송나무속 3개 등의 세 수종으로 식별되었다. 활주는 4개 중 1개는 소나무류이고, 나머지 3개는 전나무속으로 식별되었다. 창방은 소나무류 8개, 상수리나무류 1개로, 평방은 소나무류 3개와 상수리나무류 6개로 식별되었다. 도리는 소나무류 17개, 상수리나무류 16개, 외래산 소나무류 1개 등 세 수종으로 식별되었다. 추녀는 3개가 소나무류, 나머지 1개가 상수리나무류로, 그리고 사래는 소나무류 2개, 느티나무속 1개, 외래산 소나무류 1개로 식별되었다. 포부재(31개)와 장여(4개), 덧추녀(2개)는 모두 소나무류로 식별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소나무류(70.1%)와 상수리나무류(22.2%)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기둥, 도리, 사래 등의 일부에 사용된 솔송나무속과 외래산 소나무류 그리고 활주에 사용된 전나무속은 근래의 보수 시에 사용된 수입산 수종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