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ifier system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2초

영유아 대상 시설의 실내공기질 특성 비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Infant target facilities and facilities for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Comparison and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for Research)

  • 서병원;이주화;박지훈;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91-601
    • /
    • 2013
  • In modern society, we are living indoor at 80 - 90 % or more of the day, therefore most people are exposed to unconscious indoor air pollutants by various causes. When mother and infant, whose level of immunity are weak, are exposed to polluted indoor air, respiratory diseases and atopy can occur by the growth of bacteria. Therefore, appropriat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s important especially at nursery, elementary school and postpartum clinic etc.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oor air qualities of primary school facilities and infant facilities. In this study, seasonal effects were investigated. Also the effects of individual activity area were studied for indoor air quality. During summer season(May-August), the air qualities of each 16 elementary school and nursery school were investigated. During winter season(October-december), the air qualities of each 10 elementary school and nursery school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during winter season in 10 of 16 nursery school, $CO_2$ concentration exceeded regulation level of 1000 ppm. This resulted from the operation of heating system and poor ventilation. Also the air quality of all parameters during winter season were worse than during summer, maybe due to poor ventilation. Except HCHO, the concentrations of other parameters were higher in nursery school. This seems to result from relatively low individual activity area of nursery school than elementary school. From this research, more strong regulation for ventilation and installation of air purifier should be implemented.

Therapeutic Effect of Majoon Mundi and Qairooti Karnab in Dā al-Ṣadaf (Psoriasis): A Case Series

  • Siddiqui, Gulnaz Fatima;Siddiqui, Shahid Akhtar;Jabeen, Arzeena;Qamaruddin, Qamaruddin;Kazmi, Munawwar Husain
    • 셀메드
    • /
    • 제9권4호
    • /
    • pp.8.1-8.5
    • /
    • 2019
  • Introduction: Psoriasis is a major health concern around the world. Physicians of the Unani system of medicine have been treating psoriasis for centuries. Aim: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Majoon Mundi (a semisolid Unani medication intended for oral intake used as blood purifier) and Qairooti Karnab (a Unani medication in paste form intended for topical application used as emollient) in the treatment $na{\ddot{i}}ve$ psoriasis cases and to collect data to warrant further clinical trials. Material and Methods: Psoriasis cases were diagnosed clinically. Data were collected during treatment of five patients of psoriasis treated with the Majoon Mundi (oral intake of 5 gm twice daily with 200 ml of water for 12 weeks) and Qairooti Karnab (topical application on affected sites twice a day for 12 weeks). Patients were treated for 12 weeks. Treatment response was seen with clinical improvement in skin lesions and measurement of Psoriasis Area and Severity Index (PASI Scoring)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Reduced PASI Score was observed in all five patients after 12 weeks of treatment [PASI before and after treatment was (mean${\pm}$SD) $20.7{\pm}4.6$ vs. $3.2{\pm}1.8$; p-value <0.05.]. Clinical improvement was noticed within an average of 4 weeks of treatment. Conclusion: Preliminary findings indicate the potential therapeutic role of Majoon Mundi and Qairooti Karnab in the treatment of psoriasis. Clinical trials based on this Unani pharmacopeial formulation should be conducted to explore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this formulation in psoriasis

Impact of UV-C Irradiation on Bacterial Disinfection in a Drink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 Hyun-Joong Kim;Hee-Won Yoon;Min-A Lee;Young-Hoon Kim;Chang Joo 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106-113
    • /
    • 2023
  • The supply of microbiological risk-free water is essential to keep food safety and public hygiene. And removal, inactivation, and destruction of microorganisms in drinking water are key for ensuring safety in the food industry. Ultraviolet-C (UV-C) irradiation is an attractive method for efficient disinfection of water without generating toxicity and adversely affecting human health. In this study, the disinfection efficiencies of UV-C irradiation on Shigella flexneri (Gram negative) and Listeria monocytogenes (Gram positive) at various concentrations in drinking water were evaluated using a water purifier. Their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fter UV-C irradiation were observed using fluorescence microscopy and flow cytometry combined with live/dead staining. UV-C irradiation (254 nm wavelength, irradiation dose: 40 mJ/cm2) at a water flow velocity of 3.4 L/min showed disinfection ability on both bacteria up to 108 CFU/4 L. And flow cytometric analysis showed different physiological shift between S. flexneri and L. monocytogenes after UV-C irradiation, but no significant shift of morphology in both bacteria. In addition, each bacterium revealed different characteristics with time-course observation after UV-C irradiation: L. monocytogenes dramatically changed its physiological feature and seemed to reach maximum damage at 4 h and then recovered, whereas S. flexneri seemed to gradually die over time. This study revealed that UV-C irradiation of water purifiers is effective in disinfecting microbial contaminants in drinking water and provides basic information on bacterial features/responses after UV-C irradiation.

친환경소재인 항균동망 필터의 실내 부유 미생물 제거 연구 (The Removal of Indoor Suspended Microorganisms of Eco-friendly Antimicrobial Copper Net Filter)

  • 김동우;제동현;지근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11-316
    • /
    • 2018
  • 최근 현대인들의 삶이 윤택해질수록 실내공기질 (Indoor Air Qulity)의 개선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생물학적 공기 오염원(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의 제거를 위해서 UV/광촉매 장치 또는 오존발생장치, 항균물질의 도포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추가 에너지 소모 또는 높은 부식성과 독성, 낮은 항균력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항균력을 가진 구리를 이용하여 필터를 제작하였다. 항균동 필터의 항균력 검증을 위하여 2종의 곰팡이 (P. pinophilum, C. globosum) 와 1종의 균 (S. aureus) 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였고, 부유미생물 제거능력을 챔버 단계부터 건물의 공조시설까지 단계별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종의 곰팡이에 대해서는 24시간 후 100%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1종의 균에 대해서는 18시간 후 99.9%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단계별 부유미생물 제거능력에서는 챔버와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시험에서 항균헤파필터보다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건물의 공조시설을 이용한 시험에서는 공간이 밀폐되지 않았고 지속적인 가동을 하지 않았지만 설치 후 약 2주 후부터 항균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항균동 필터의 항균력 검증 결과 제작 방법 및 소재의 연구가 더욱 필요하지만 항균 필터로써 충분한 항균력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대구시 북구지역의 식용얼음에서 세균 분포 및 동정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Pathogenic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Edible Ice in North Area of Daegu, Korea)

  • 김수정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86-90
    • /
    • 2009
  • 식용얼음은 식품의 제조 가공 조리 등에 직접 사용하거나 그대로 먹기 위해 먹는 물을 얼린 얼음을 뜻하며 얼음의 제조 및 판매 과정에서 미생물이 교차 오염되면 식중독 및 장염을 유발한다. 또한 식용얼음 뿐만 아니라 상수계통, 약수물, 상수와 냉온수기의 정수된 물에서도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세균이 증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유로 대구시 북구지역에서 생산되는 식용얼음의 위생 상태를 살펴보고자 무작위로 15곳을 선정하여 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서 세균을 배양한 결과 1곳을 제외한 14곳의 검체에서 균이 증식 되었고 그람염색 결과, 그람음성간균이 80% 차지하였고 그람양성구균 17% 그리고 그람음성구균 3%의 분포를 나타냈다. 그람음성간균의 잠정적인 동정방법으로 API 20E kit와 API 20NE kit를 이용한 결과 Enterobacter cloacae, Chryseomonas luteola, Pantoea spp., Klebsiella pneumoniae, Acinetobacter baumannii, Acinetobacter calcoaceticus, Providencia rettgeri 등이 검출 되었다. 5곳에서 분리된 그람양성구균을 API Staph kit를 이용한 잠정적 동정결과 L업소에서 분리된 균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성이 강한 Staphylococcus aureus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 북구 지역의 식용 얼음류에 존재하는 일반세균 및 병원성 세균의 분포를 조사함으로 식용얼음의 위생 상태에 대한 주의를 부각시키고 나아가 대구시 타지역의 식용얼음에 대한 세균분포 조사 및 위생상태 점검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유기물 시용에 의한 벼논에서의 양분 유출경감 (Reduction of Nutrient Infiltration by Supplement of Organic Matter in Paddy Soil)

  • 노기안;김필주;강기경;안윤수;윤성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6-203
    • /
    • 1999
  • 상수원 보호지역내 하상충적토, 사력질의 벼 재배 논에서 표준시비, 농가관행시비, 우분, 우분퇴비, 볏짚퇴비+화학비료감비, 볏짚환원+표준시비 그리고 무비구의 7 처리를 하여 벼 재배 과정 동안 비료성분의 지하 용탈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정수중의 질산태 질소의 농도는 인근 농경지로부터 시비질소의 유입이 시작된 이앙일에는 $1.3mg\;l^{-1}$, 물떼기 이후에는 $0.4mg\;l^{-1}$로 낮았으나 벼생육기에는 $4{\sim}6mg\;l^{-1}$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벼 재배기간 동안 침출수 중 질산태 질소의 농도는 농가관행구가 가장 높았으나 최고 농도는 $7.1mg\;l^{-1}$로서 음용수의 질산태 질소 한계농도인 $10mg\;l^{-1}$보다 낮았다. 표준시비, 농가관행, 퇴비+화학비료 감비, 볏짚환원+표준시비, 우분, 우분퇴비, 무비구의 벼 재배기간중 질소의 총 투입량은 각각 163, 202, 181, 224, 147, 153, $44kg\;ha^{-1}$이었으며 처리별 질소의 지하 용탈량은 각각 59, 63, 25, 41, 24, 27, $17kg\;ha^{-1}$로서 퇴비+화학비료 감비나 우분이나 우분퇴비로서 화학비료를 대체한 처리는 표준시비나 농가관행 시비구에 비교하여 질소의 지하 용탈을 50%나 줄일 수 있었으며 볏짚환원+표준시비구는 화학비료만 시용한 표준시비구에 비교하여 투입된 질소의 양은 많았지만 지하 용탈량은 30%나 적었다. 또한 화학비료만 사용한 표준시비구나 농가관행구를 제외한 나머지 유기물 시용구에서는 관개수로 논에 곰급된 질소의 양보다 논으로부터 지하로 용탈된 질소양이 $13-46kg\;ha^{-1}y^{-1}$나 적어 화학비료와 함께 유기물을 투입하거나 우분이나 우분퇴비로서 질소비료를 대체한 경우 벼농사는 수질 오염보다는 오히려 질소성분을 $13-46kg\;ha^{-1}y^{-1}$나 정화하는 공익적 기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전처리구의 침출수와 관정수에서 인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칼리는 화학비료 시용량이 많은 추천시비구에서 공급량의 약 57%가 용탈되었고 유기물 처리에 의해 칼리의 용탈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벼 재배기간 중 기존의 화학비료 위주의 시비체계에서 축산분뇨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서 화학비료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볏짚등 유기자원의 환원을 통해 양분의 지하용탈에 의한 수계오염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