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ge releas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A Study on Annual Atmospheric Dispersion Factors Between Continuous and Purge Releases of Gaseous Radioactive Effluents

  • Kim, Na-Hyun;Hwang, Won-Tae;Kim, Chang-Lak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7-186
    • /
    • 2021
  • Radioactive materials from nuclear power facilities can b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various channels. Recently, the dispersion of radioactive materials has become critical issue in Korea after Kori Unit 1 and Wolsong Unit 1 were permanently shut down. In this study, annual atmospheric dispersion factors were compared based on the continuous release and purge release using the XOQDOQ computer program, a method for calculating atmospheric dispersion factors at commercial nuclear power stations. The meteorological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hin Kori nuclear power meteorological tower which has the largest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08 to 2010).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ispersion factor of the radioactive material release obtained using the XOQDOQ program show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inuous release and purge release was within two times. This study will be valuable helpful for revealing the uncertainty of the predictive atmospheric dispersion factor to achieve regulation.

Static headspace, purge & trap 및 solid-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한 시판우유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Milk by Static Headspace, Purge and Trap, Solid-Phase Microextraction)

  • 이홍민;이기웅;장치훈;김성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38-741
    • /
    • 2006
  • 본 실험에서는 시판중인 우유 4종을 대상으로 static headspace, purge and trap 및 SPME의 세 가지 향기성분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GC/MS로 각각의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Purge and trap법을 이용한 분석법으로 가장 많은 종류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향기성분의 추출효율이 가장 좋았다. SPME법은 간단한 장비로 신속하게 향기성분을 포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추출 효율 또한 뛰어나 효율적인 향기성분 분석방법으로 이용이 가능하였다. 4종의 시판우유 중에서 검출된 향기성분은 대체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다소의 양적차이를 나타내었다. 검출 된 성분은 주로 acetone, 2-butanone, 2-pentanone, 2-heptanone, 2-nonanone 등의 케톤류, pentanal, 2-methylbutanal, hexanal, benzaldehyde 등의 알데하이류 및 dimethyl sulfide 등의 황화합물류로써, 우유의 주요 이취성분들이었다.

Phormidium sp.의 Geosmin 생산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 (Effect of Selecte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Production of Geosmin in Phormidium Sp.)

  • 박대균;오희목;안치용;맹주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2-57
    • /
    • 2000
  • Cyanobacteria와 방선균에 의해 생산되는 대표적 취기물질인 geosmin의 정성 및 정량 분석법을 확립하고, cyanobacteria인 Phormidium sp. NIVA-CYA7의 생장과 geosmin의 생산 및 방출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Geosmin의 분석은 전처리과정이 간편하고, purge 시간을 1시간으로 단축한 purge & trap concentrator가 장착된 gas chromatograph로 분석하였다. Phomidium의 생장은 pH 7.9, 온도 $20^{\circ}C$, 광도 120-140 $\mu$E/ $m^(2)$/s, Z8 배지의 배양조건에서 8일까지 유도기를, 이후 14일까지 지수성장기를, 14일 이후에는 정상기를 보였다. 배지내 질소의 농도를 250 $\mu$M에서 100 또는 25 $\mu$M로 감소시켰을 때, Phormidium의 생장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면에 배지의 인 농도를 25 $\mu$M에서 10 또는 2.5 $\mu$M로 감소시켰을 때, 인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생장은 억제되었다. 배지내 인의 농도를 25 $\mu$M에서 10 $\mu$M로 감소시켰을 때, 단위 탄소당 또는 엽록소-$\alpha$당 geosmin의 함량은 각각 35%와 68% 증가하였다. Phormidium의 geosmin함량은 pH 9.4에서 0.0824 $\mu$g/mg C로 pH 6,4m 7.9에 비해 두 배 이상 많았다. 따라서 Phormidium의 geosmin 함량은 생장단계, 인의 농도, pH등에 따라 영향을 받지만, geosmin의 방출은 이들 요인에 의하여 크게 영향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pile tritium release behavior and the post-irradiation experiments of Li4SiO4 fabricated by melting process

  • Linjie Zhao;Mao Yang;Chengjian Xiao;Yu Gong;Guangming Ran;Xiaojun Chen;Jiamao Li;Lei Yue;Chao Chen;Jingwei Hou;Heyi Wang;Xinggui Long;Shuming Pe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6권1호
    • /
    • pp.106-113
    • /
    • 2024
  • Understanding the tritium release and retention behavior of candidate tritium breeder materials is crucial for breeder blanket design. Recently, a melt spraying process was developed to prepare Li4SiO4 pebbles, which were subsequently subjected to the in-pile tritium production and extraction platform in China Mianyang Research Reactor (CMRR) to investigate their in-situ tritium release behavior and irradiation performanc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HT is the main tritium release form, and adding hydrogen to the purge gas reduces tritium retention while increasing the HT percent in the purge gas. Post-irradiation experiments reveal that the irradiated pebbles darken in color and their grains swell, but the mechanical properties remain largely unchanged. It is concluded that the tritium residence time of Li4SiO4 made by melt spraying method at 467 ℃ is approximately 23.34 h. High-density Li4SiO4 pebbles exhibit tritium release at relatively low temperatures (<600 ℃) that is mainly controlled by bulk diffusion. The diffusion coefficient at 525 ℃ and 550 ℃ is 1.19 × 10-11 cm2/s and 5.34 × 10-11 cm2/s, respectively, with corresponding tritium residence times of 21.3 hours and 4.7 hours.

삼중수소취급계통의 설계(II): 주입계통, 재생계통 (Design of Tritium Handling System(II): Injection System, Regeneration System)

  • 김광신;김경숙;정은수;손순환;김위수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117-123
    • /
    • 2003
  • 지난 논문에 이어서 삼중수소 취급시설의 일부인 삼중수소 주입계통과 재생계통을 소개하였다. 두 계통은 모두 삼중수소의 유출이 가능한 계통들로서 GB안에 설치되어야 하는 계통들이다. 삼중수소 주입계통은 삼중수소 취급시설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제품을 생산하게 되는 주 계통으로서 삼중수소의 관리를 위하여 정확히 삼중수소의 주입/분배량을 계량할 수 있어야 하고, 주입 후 계통내 잔여 삼중수소를 최대한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방사성 물질의 환경방출을 최소화 할 뿐만 아니라 귀한 자원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다. MS, Ni catalyst bed, metal getter 등 재생이 필요한 TRS 내부의 장치들은 별도의 재생계통을 사용하여 재생한다. 다른 장치들의 재생은 장치를 가열하면서 적절한 purge gas를 흘려주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재생이 가능하나 삼중수소를 흡착한 metal getter의 삼중수소를 회수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