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e Efficiency Chang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7초

Multi-bore PSf 중공사막의 내화학성 및 세척 효율 특성평가 (Evaluation of Chemical Resistance and Cleaning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Multi bore PSf Hollow Fiber Membrane)

  • 임광섭;김태한;장재영;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30권2호
    • /
    • pp.138-148
    • /
    • 2020
  • 본 연구는 (주)퓨어엔비텍에서 제조한 multi-bore 형태의 중공사 막을 이용하여 오염된 원수의 투과 후 오염된 막의 재사용을 위해 화학적 세정효율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제조된 중공사 막의 재료는 내화학성이 좋은 PSf(polysulfone) 소재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소혈청 알부민(BSA)을 이용한 내오염성 평가 및 염기성 용액인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산성 용액인 구연산(citric acid)을 이용해 장기 함침하여 내화학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간에 따른 수투과도와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와 성능의 감소에 대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후 소혈청 알부민으로 오염된 막의 화학적 용액에 따른 역세척 후 회복효율을 파악하였다. PSf 중공사 막은 뛰어난 내화학성을 가졌으며 화학적세척결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효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Analysis on Output Efficiency of Chinese Listed Port Companies Based on DEA Model

  • XU, Yan;KIM, Hyung-Ho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1-51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trategies of improving efficiency of 20 listed port companies in China based on analysis of their input-output indexes from 2014 to 2018.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this paper, the relevant input-output indicators of 20 listed port companies in China from 2014 to 2018 were adopted. Data derived from the company annual reports announced by Shanghai stock exchange and Shenzhen stock exchange. Comprehensive efficiency and pure technical efficiency were measured from output perspective by DEA and Malmquist index, and efficiency changes and regional efficiency were analyzed. Result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iciency value of 20 listed port companies in China fluctuated and increased during 2014-2018, regional efficiency was unbalanced, and change of MPI was influenced by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Listed port companies affected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needed to make appropriate respons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onclusion - The research conclusion can provide important reference information about management and planning for port companies in China and related areas. However, this paper is limited to the availability of data. So the improvement scheme for listed companies in inefficient regional ports needs further study, such as using AHP method.

DEA를 이용한 농림 R&D 사업의 효율성 분석 (Efficiency of Analysis Agricultural R&D Program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 김준현;이봉수;김재경
    • 무역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7-64
    • /
    • 2020
  • For the past few year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consistently expanding its n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budget to accelerate economic growth through technology innovation and the enhancement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global market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concept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national R&D programs by measuring R&D efficiencies. We determine R&D efficiency by reflecting inputs and outcomes of the five main agricultural R&D programs between 2010 to 2015, and by categorizing and regrouping figures that may affect R&D performance. Among 1,128 targeted projects, 832 projects with patents and thesis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 terms of measuring technology efficiency, pure technology efficiency, and efficiency of scale. Also, the Kruskal-Wallis test was also utilized as well.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figures that affected the efficiency level of national R&D programs included differences in research resources, research management levels and skills, and research field.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reference for re-establishing national agricultural R&D policies, such as enhancement of national technology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environment, improving and adapting to new agricultural conditions, market expansion, national agricultural R&D efficiency, aging rural population, agricultural management cost increase, and climate change mitigation.

모수적․비모수적 기법을 활용한 베트남 공공종합병원의 규모수익과 생산효율성 변화 분석 (Analysis on RTS and the Change of Productivity Efficiency of Public General Hospitals in Vietnam using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Approach)

  • 양동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67-776
    • /
    • 2014
  • 본 연구는 베트남 호치민시 보건부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20개 공공종합병원의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비모수적 기법과 모수적 기법을 활용하여 규모수익과 생산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모수 기법으로 측정된 생산성 증가율은 5년간 누적 증가율이 2.8%이며 이는 5.8%의 기술효율성 증가와 기술효율성 개선에 기인하고 있다. 반면 규모효율성은 5.2% 감소하고 있다. 둘째, 모수적 기법으로 측정한 생산성은 17.1% 감소를 보였으며 이는 17.1%의 기술 퇴보와 9.1%의 규모효율성 감소에 기인하고 있다. 두 기법에서의 공통적인 점은 베트남 공공종합병원에서 규모의 비효율성이 발생하고 있으며 규모의 비효율성 변화가 생산성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베트남 공공종합병원은 분석표본의 70%~80%가 규모의 체증상태에 있으며 이는 환자 수에 비해 공공병원의 규모가 과잉공급 상태에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 연구는 베트남 공공병원의 효율성과 생산성 변화를 측정한 국내 첫 연구이며 향후 베트남 병원산업 진출을 위한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광양항의 규모효율성 추세분석: 1994-2004 (A Trend Analysis on Scale Efficiency of the Port of Gwangyang: 1994-2004)

  • 박노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9-78
    • /
    • 2006
  • 본 논문은 1994년-2004년까지 2개의 투입물(접안능력, 하역능력)과 2개의 산출물(수출입 화물처리량, 입출항척수)을 이용하여 DEA방법(CCR, BCC)과 맴퀴스트지수방법에 의거하여 광양항의 규모효율성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양항의 맴퀴스트효율성은 기술적 효율성, 규모효율성, 총요소생산성변화측면에서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기술변화는 2003년과 2004년 사이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술변화와 순수효율성변화는 하락하였다. 95/96, 97/98, 2001/2002, 2003/2004년의 높은 규모효율성이 그 원인이 되었다. 둘째, 규모효율성은 기술적 효율성변화와 10개년의 기간 중에서 50% 수준에서 유사한 추세를 보였다. 그러한 규모효율성변화는 94/95, 95/96, 96/97, 97/98년의 규모수확불변하의 기술적 효율성변화와 99/2000, 2002/2003년의 규모수확가변하의 순수 효율성변화에 기인한다. 셋째, 총요소생산성은 6개년의 기간에서 48.57%의 성장률로 증가하였는데, 그 주요한 원인은 98/99, 99/2000, 2000/2001, 2003/2004년의 기술적 진보에 기인하였다 넷째, 누적 맴스트지수의 순위는 규모효율성변화, 총요소생산성변화, 종합효율성변화, 기술적변화, 순수효율성변화의 순서였다. 본 논문의 정책적인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수기술적 효율성변화와 규모효율성변화가 기술적 효율성변화에 미친 효과는 긍정적이었다. 규모수확불변 하에서 규모효율성이 순수기술효율성변화보다도 더욱 영향력이 컸다. 따라서, 광양항의 기술적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항만당국이 투입-산출요소의 비효율적 요인을 확인한 후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해야만 한다. 둘째, 총요소 생산변화에서의 12.4%의 평균성장율은 16.3%의 기술적효율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총요소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항만당국은 투입-산출요소를 획기적으로 사용하는 방안에 대한 지식을 확산시키는데 제도적 장애요인을 제거하여야만 한다. 셋째, 광양항은 규모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DEA분석을 통해서 발견된 벤치마킹항만들(대산항, 옥포항, 울산항)의 항만관리방법을 도입해야만 한다.

  • PDF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SMV의 순산소 연소 시뮬레이션 (SIMULATION ON PURE OXYGEN COMBUSTION OF SMV FOR $CO_2$ REDUCTION)

  • 김호연;손화승;김철민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1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75-277
    • /
    • 2011
  • KOGAS(Korea Gas Corporation) uses two-type vaporizers to send customers natural gas with imported LNG. In winter season, SMVs(SubMerged combustion Vaporizers) are mainly operated due to low seawater temperature. SMVs consume the natural gas of 1,520 $Nm^3/hr$ and emit a lot of $CO_2$ in winter time. If carbon taxes are activated on climate change, the tax burden will be severely heavy. Accordingly this work carried out numerical simulation with a commercail CFX code to investigate its possibility on the practical use of pure oxygen combustion of SMVs to reduce $CO_2$ and to improve its efficiency. First, a nozzle of a SMV's combustor is modelled.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ir/Fuel and Oxygen/Fuel are analyzed under folly insulated condition. Although we couldn't find the carbon reduction and the efficient elevation when the pure oxygen/fuel type was compared to the existing air/fuel one, we need a further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_2$ recirculation.

  • PDF

자본시장통합법 시행 전후의 손해보험산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변화 분석 (Analysis on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Change of Non-Life Insurance Industry between Pre-Execution and Post-Execution of Capital Market Law)

  • 강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03-412
    • /
    • 2011
  • 2009년 2월 4일부터 시행된 자본시장통합법은 자본시장 관련 금융 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시켜 겸업화, 통합을 통한 대형화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되어 손해보험을 둘러싼 경쟁이 가속화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DEA 모형과 맘퀴스트 지수를 이용하여 생보산업의 자본시장통합법 전후 2년간의 효율성과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토빗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효율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추가적으로 찾아내는데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시장법 시행 전후의 효율성은 자본시장법 시행 전에 비하여 시행 후에 기술효율성과 순수기술효율성 및 규모효율성 모두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본시장법 시행 전후의 생산성은 자본시장법 시행 전에 비하여 시행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효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설계사 비중, 순수기술효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산운용률, 규모효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기업규모, 자산운용률, 설계사 비중으로 나타났다.

외자계와 내자계 자동차 부품회사의 경쟁력 비교 (Competitiveness Analysis of National and Foreign Auto-parts Makers)

  • 유지수;정경희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6-192
    • /
    • 2010
  • The present study classified the auto-parts makers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ir investment ownership. Four groups consist the one fully owned by Koreans, the one fully owned by foreigners, the one owned less than 100% but more than 50% by foreigners, lastly the one owned by less than or equal to 50% by foreigners. Among these, the auto-parts makers, 100% foreign ownership, have the highest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while 100% Korean-owned part-makers has the lowest productivity. In case of the 100% foreign ownership companies, the cause of Malmquist change, however, is attributed to the technical efficiency change. In particular, the pure technical change is the main source of the Malmquist change. This may indicate that the 100% foreign-owned companies have successfully transferred their production process technologies to the Korean plants. They are enjoying so called the "imitation-effect." 100% Korean-owned companies were not able to create the "imitationeffect" and therefore failed to close the gap with the foreign-owned companies in terms of the production efficiency. 100% Korean-owned auto-parts makers, however, outperformed the foreign-owned companies in the technological change. The outstanding technological change may indicate that Korean-owned part makers were able to narrow the gap with the foreign-owned companies in the area of engineering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e same results were also observed for 50% foreign-owned companies. Knowing that the core competence of the auto-parts makers lies on the engineering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e research found that the most desirable form of the foreign investment was 50% of foreign ownership.

Malmquist 생산성지수와 Luenberger 생산성지수의 이론적 관계와 실증적 분석 (The Theoretical Comparison of Malmquist and Luenberg Productivity Indices & Empirical Analysis)

  • 박현숙;양동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8-128
    • /
    • 2015
  • Background: We measured productivity changes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using both global Malmquist productivity index-based on global production possibility set over all the periods-and the traditional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nd analyzed the factors of productivity change. Method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two annual inputs and two annual outputs of 32 regional public hospitals in Korea from 2005 to 2009 and the results such as distances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nd global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re obtained by an R program written for this study. Result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echnical efficiencies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are affected largely by scale efficiency than pure technical efficiency. Second, productivity progressed and technological change has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productivity advance over the period between 2005 and 2009. Third, the circularity problem of the traditional Malmquist index is confirmed, and so the global Malmquist index without this problem are valid for the analysis. Conclusion: Though this study also has some limitations with the data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with a short time span, it is the first study of hospitals using global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and later it can be expanded to private hospitals and longer time periods.

Bootstrapped Malmquist 지수를 이용한 국내 의약품산업의 생산성 변화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Productivity Changes of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Using Bootstrapped Malmquist Index)

  • 소순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4호
    • /
    • pp.141-153
    • /
    • 2016
  • 본 연구는 Bootstrapped Malmquist 지수를 이용하여 국내 의약품산업의 생산성 변화 추이를 측정하고 이러한 변화를 기술효율성 변화와 기술변화 요인으로 분해함으로써 의약품산업의 생산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투입 및 산출요소의 여분을 반영하여 투입최소화와 산출최대화를 측정할 수 있는 투입산출지향 비방사적 Malmquist 지수를 분석에 활용한다. 또한 평활부트스트랩 방법을 적용하여 Malmquist 지수와 그 구성요인의 통계적 신뢰구간을 추정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2005년에서 2014년까지 10개년의 균형패널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투입요소는 종사자수, 유형자산, 주요생산비를 선정하였고, 생산액을 산출요소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의약품산업의 생산성은 분석기간 동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생산성 하락은 기술진보의 둔화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약품산업의 기술적 효율성은 순수효율성보다는 규모효율성에 보다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의약품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효율적 R&D 투자와 산업구조의 선진화를 통해 기술혁신역량을 강화하는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