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pil Index Char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시선의 고정과 도약 동공지표에 나타난 성별 주시시간 특성 (The Gender Observation Time Characteristics from Sight Fixation and the Leap of Pupil Index)

  • 이정호;김종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29-38
    • /
    • 2018
  •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nge of pupil size in gender through the eye-tracking experiment in large complex cultural space. It is meaningful that figured out the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from gender observ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research, the analyzed results of the observation time measurement that appeared from the fixation and saccades pupil indicator able to define as follows. Firstly, it was sugges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ach gender and participants through extract pupil size that can be the standard examples for the case from male and female and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relative pupil size change on the hourly range. From the specific time range, it was possible to indicate bending characteristics and reversal phenomena of Fixation and Saccades. Second, the result was found equally from both male and female group that the rapid increment of pupil size at initial time range immediately after the eye-tracking experiment has been initiated. This can be considered to actively accepting the stress given by the subject through the extended pupil after 10 seconds that compare to indicated very low pupil size between 0 to 10 seconds after starting the experiment. Third, meanwhile 0 to 10 seconds after initial observation are the time of sudden change in the pupil size, therefore these time range data cannot be regarded as observed in the appropriate condition. Thus, it able to define the highest times of emotional processing for male as 10 to 80 seconds, and for female as 10 to 70 seconds. There was no definition of the time range data for observation experiment from previous research, this data can be considered to stable time to observation through the pupil extens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t suitable time of observation experiment to be around 70 to 80 seconds exclude initial experiment time.

공간의 초기 주시과정에 나타난 동공지표의 크기변화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hange in Index of Pupil in the Initial Observation on Large Space of Library)

  • 김종하
    • 감성과학
    • /
    • 제21권2호
    • /
    • pp.15-28
    • /
    • 2018
  • 본 연구는 대형공간을 대상으로 시선추적 실험을 실시하고, 성별에 나타난 동공의 주시특성을 분석하였다. 시선추적 실험 시간의 흐름에서 생겨나는 동공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성별 주시행태를 객관적이면서도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시했다. 나아가 동공의 크기가 안정적으로 변하는 시간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정리하였는데 성별에 따른 시지각 정보 획득 시간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1~2초 정도 늦게 관심과 흥미요소를 시각정보로서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초기 "1초${\rightarrow}$2초"에서 남자는 도약, 여자는 고정에서 동공크기가 확대되었다. 또한 고정 주시에 국한하여 성별 변화율을 보면 9초를 전환점으로 해서 9초 이하 시간에서는 여자가, 9초 이후 시간에서는 남자의 동공크기가 더 커졌다. 즉 1-8초 시간에서는 여자가, 10-15초 범위에서는 남자가 상대적으로 더 큰 동공확대를 통해 시지각 정보를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주시시간의 시간의 변화에 따라 여자의 동공크기가 더 크게 확대된 것에서부터 여자의 경우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관심이나 흥미가 있는 요소를 더 많이 주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했다.

백내장 환자에서 비구면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 후 시기능 평가 (Evaluation of Visual Performance for Implanted Aspheric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n the Cataract Patients)

  • 김재윤;이군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47-356
    • /
    • 2013
  • 목적: 비구면 다초점 인공수정체인 ReSTOR$^{(R)}$ SN6AD3 삽입안의 시력과 시기능 변화를 분석하였다. 방법: 양안 또는 단안에 비구면 다초점 인공수정체(ReSTOR$^{(R)}$ SN6AD3)를 삽입한 백내장 환자 19명의 3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수술 후 1주일, 1개월 및 3개월 후에 시력과 객관적인 시기능을 측정하였고 수술 3개월 후 인공수정체 삽입안의 시기능 측정값을 동일 연령대의 정상안 20명(38안)과 비교하였다. 원거리 시력은 2 m 거리에서 LCD chart ETDRS 시력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중간거리(50 cm)과 근거리(30 cm) 시력은 Jaeger chart를 이용하였다. 객관적인 시기능은 OQAS 장비를 이용하여 OSI (objective scatter index, 객관적 산란지수),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변조전달함수) cut off, Strehl ratio를 4 mm 동공크기에서 측정하여 수술 후 경과기간에 따른 측정값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술 3개월 째 시력 및 시기능은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인 평가를 통해 동일 연령대의 정상안과 비교하였다. 결과: 나안 원거리 시력과 OSI, MTF와 Strehl ratio는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 1개월까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수술 3개월 후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안의 MTF와 Strehl ratio는 정상 대조군의 수준으로 회복되었지만, OSI는 대조군보다 높은 값으로 측정되었다(p<0.001). 자각적인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중간거리 시력에 대한 만족도가 낮으며 눈부심과 빛 번짐 증상이 나타났다. 결론: 비구면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안의 시기능은 수술 1개월 후부터 안정화되며 동일 연령대의 정상안의 수준으로 개선되지만 만족스러운 중간거리 시력을 제공하지 못하며 눈부심과 빛 번짐의 시각적 불편감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