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embolism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7초

Pulmonary Embolism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 A Case Report

  • Gwark, Ji Yong;Koh, Jin-Sin;Park, Hyung Bi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1호
    • /
    • pp.31-35
    • /
    • 2014
  • Pulmonary embolism (PE) is a serious complication that can occur after orthopedic surgery. Most instances of PE in the orthopedic field have occurred after hip or knee arthroplasties or after fracture surgeries. The occurrence of PE related to arthroscopic shoulder surgery is very rare. We report a case of PE that developed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in which the patient did not show preoperatively any remarkable risk factors for PE. We also review the current literature related to this topic.

A Case of Nonthrombotic Pulmonary Embolism after Facial Injection of Hyaluronic Acid in an Illegal Cosmetic Procedure

  • Jang, Jong Geol;Hong, Kyung Soo;Choi, Eun Yo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7권2호
    • /
    • pp.90-93
    • /
    • 2014
  • Hyaluronic acid is widely used in medical procedures, particularly in cosmetic procedures administered by physicians or nonmedical personnel. The materials used for cosmetic procedures by physicians as well as illegally by non-medical personnel can cause nonthrombotic pulmonary embolism (NTPE). We report the case of a woman with acute respiratory failure, neurologic symptoms and petechiae after an illegal procedure of hyaluronic acid dermal filler performed by an unlicensed medical practitioner 3 days before symptom onset. Although a few cases of NTPE after injection of hyaluronic acid have been reported yet, this is the first typical case showing a NTPE manifestation after the facial injection of hyaluronic acid.

세균성 심내막염에 의한 폐색전증이 동반된 동맥관 개존증의 수술치험 -1례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Persistent Ductus Arteriosus Complicated by Bacterial Endocarditis with Pulmonary Artery Embolism 1 case report)

  • 오정우;오봉석;이동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209-212
    • /
    • 1997
  • 15세 남자환자가 갑자기 발생한 흉통과 각혈, 호흡곤란을 주소로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동맥관 개존증 및 감염성 심내막염띠 합병된 폐색전증으로진단되었다. 3주간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한 후 체외순환하에 동맥관 개존증 패취봉합 및 폐동맥 판막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환자는 순조롭게 회복되어 퇴원 하였다. 동맥관 개존증에 합병된 급성심내막염으로 폐동맥 혈전증이 발생한 환자를 수술 치험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 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Fatal Aortic Tumor Embolism Presenting as Acute Paraplegia

  • Jin, Sung-Chul;Cho, Do-Sang;Song, Jun-Hyeo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9권1호
    • /
    • pp.72-74
    • /
    • 2006
  • We report a case of fatal aortic tumor embolism presenting as acute paraplegia. A four-year-old girl was referred from a local hospital with sudden paraplegia and a poor medical condition. A neighbor had noticed her fall from a bike, and she could not walk. She had no previous illness. Emergency spine MRI revealed no remarkable findings. During the process of evaluation, her general condition deteriorated progressively. Chest and abdominal CT showed a large mass in the left lung field, and a diagnosis of aortic occlusion was made. An emergency transfemoral embolectomy was attempted. However, the patency of the aorta was not recovered. On pathological examination of tissues taken from the embolectomy, a pleuro-pulmonary blastoma was found. The patient died 22 hours after the onset of her symptoms. We describe a possible mechanism for the tumor embolism.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of aortic occlusion caused by an embolic malignancy, presenting as acute paraplegia.

폐부종을 동반한 왼팔머리정맥 내의 공기 음영 (Air in the Left Brachiocephalic Vein Accompanied with Pulmonary Edema)

  • 이승원;강현희;김민희;권혁민;이지명;이종율;오수진;이상학;문화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1호
    • /
    • pp.57-60
    • /
    • 2008
  • 공기 색전증은 임상 각 과에서 시행하는 많은 시술을 통하여 흔히 발생할 수 있고 대량의 공기 색전은 치명적일수도 있으므로 어떠한 시술을 시행하던지 공기 색전증의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저자들은 수액 주입 속도를 늘리기 위하여 수액병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한 후 발생한 빈호흡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상 폐부종을 동반한 왼팔머리정맥내에 공기음영을 발견하여 의인성 공기 색전증을 진단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spiratory Review of 2014: Pulmonary Thromboembolism

  • Lee, Jae Se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7권3호
    • /
    • pp.105-110
    • /
    • 2014
  • Venous thromboembolism (VTE), which includes pulmonary embolism and deep vein thrombosis, is an important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summarize the findings from clinically important publications over the last year in the area of VTE. In this review, we discuss 11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ublished from March 2013 to April 2014. The COAG and the EU-PACT trials indicate that pharmacogenetic testing has either no usefulness in the initial dosing of vitamin K antagonists or marginal usefulness in the Caucasian population. Recent clinical trials with novel oral anticoagulants (NOACs) have demonstrated that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varoxaban, apixaban, edoxaban, and dabigatran are not inferior to those of conventional anticoagulants for the treatment of VTE. The PEITHO and ULTIMA trials suggested that rescue thrombolysis or catheter-directed thrombolysis may maximize the clinical benefits and minimize the bleeding risk. Lastly, riociguat has a proven efficacy in treating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In the future, NOACs, riociguat, and catheter-directed thrombolysis have the potential to revolutionize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VTE.

자연 소실된 급성 폐색전증 1예 (A Case of Spontaneous Remission of Acute Pulmonary Embolism)

  • 이재준;이민지;박효;전석재;임영민;송상희;나동집;김은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2호
    • /
    • pp.232-235
    • /
    • 2012
  • Acute pulmonary embolism (PE) ranges from asymptomatic to often fatal, incidentally discovered emboli to massive embolism causing immediate death. Acute PE may occur rapidly and unpredictably and may be difficult to diagnose. Mortality and complications can be reduced by prompt diagnosis and therapy. Untreated PE is associated with a mortality rate of approximately 30 percents. Most patients with PE have endogenous fibrinolysis, although it is not effective enough to prevent PE. A case of spontaneous remission of untreated acute PE has not previously been reported. Here we present a case of spontaneously resolved acute PE without any treatment.

폐 관류주사검사상 폐동맥 색전증 소견을 보인 환자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the Patients, in Whom Pulmonary Embolism was Suspected by Lung Perfusion Scan)

  • 이귀래;김재열;박재석;유철규;김영환;심영수;한성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889-898
    • /
    • 1997
  • 연구배경 : 폐동맥 색전증은 여러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비특이적인 증상과 징후로 인하여 진단이 지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불행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따라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인 응급 질환이다. 폐관류주사는 이 질환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법이며, 음성 결과는 이 질환을 배재시킬 수 있으나, 관류 결손이 언제나 배제시킬 수 있으나, 관류 결손이 언제나 폐동맥 색전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폐관뷰주사검사의 해석에 있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폐관류주사상 폐동맥 색전증소견을 보이는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고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방 법 : 1996년 1월 1일부터 1997년 7월 31일 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임상적으로 폐동맥색전증이 의심되어 시행한 폐관류주사상 폐동맥 색전증의 소견을 보인 49예를 대상으로 그들의 임상기록을 통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입원시 폐동맥 색전종이 의심되었던 환자군에서의 최초 임상 진단은 폐동맥 색전증, 심장 질환, 폐렴의 순이었으며, 입원 중 폐동맥 색전증의 발생이 의심되었던 환자군에서의 기저 질환은 약성 종양, 두강내 출혈, 패혈증, 전신성 홍반성 낭창 등의 순이었다. 유발 인자로는 수술, 악성 종양, 부동화, 결합조직 질환, 심장 질환, 고령(>70세), 임신 및 골반내 질환, 신장 질환 등의 순이었다. HPPE가 40예(26.8%), IPPE가 21예(14.1%), LPPE가 88예 (59.1%) 였고, 이 중 치료를 시행한 경우는 HPPE가 34예(85%), IPPE가 9예(42.9%)였으며, LPPE소견을 보인 환자 중 치료를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치료로는 heparin과 warfarin을 선택한 경우가 39예(79.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색전 제거술 2예(4.1%), 혈전 용해제와 IVC filter가 각 1예 (2.0%)씩이었으며, 우강내 출혈(3예), 대량 출혈 (2예), 증상의 소실(1예) 등을 이유로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가 6예(12.2%)였다. 추적 관찰은 34예(69.4%)에서 가능하였고, 이 중 재발은 5예(10.2% )에서 발생하였으며, 3예에서는 항응고제의 조기 중단에 의한 것이었고, 2예는 유발 인자의 재발에 의한 것이었다. 조사 대상 중 사망은 16예(32.6%)였으나, 이 중 폐동맥 색전증과 관련된 사망은 1예(2.04%)로 진단 후 혈전 용해제 투여 직전에 사망하였다. 결론 : 폐동맥 색전증 환자의 예후 개선을 위하여 증상 발생부터 진단까지의 소요 기간의 단축, 즉 이 질환에 대한 의심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급성 폐동맥 색전증으로 의심된 원발성 폐동맥 골육종 -1예 보고- (Primary Pulmonary Artery Osteosarcoma Mimicking Acute Pulmonary Artery Embolism - A case report-)

  • 박상현;손정환;지현근;신윤철;유병수;박우정;박혜림;김응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1호
    • /
    • pp.929-932
    • /
    • 2004
  • 원발성 폐육종은 미국의 경우 전체 원발성 폐암 발생률의 0.4% 정도의 비율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며 이중 원발성 폐동맥 골육종은 전 세계적으로 극히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63세 여자 환자로 흉통과 호흡곤란, 어지러움을 주소로 응급실로 내원하여 검사 중 갑자기 쇼크상태에 빠졌다. 반복적인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며 심초음파를 실시한 결과 급성 폐동맥 색전증으로 인한 우심부전증으로 진단하여 인공심폐기 가동하에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주폐동맥을 절개하였을 때 혈전이 주폐동맥에서 좌우 폐동맥에 걸쳐 존재하였고 종괴가 주폐동맥의 우상부쪽 내막에 붙어 있어서 종괴와 혈전을 제거하였다. 환자는 특별한 문제없이 회복되었으며 술 후 조직검사에서 종괴는 폐동맥 골육종으로 진단되었다. 술 후 시행한 검사에서 폐 이외의 장기에서는 골육종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좌하행 폐동맥 내에 잔존하는 종괴와 좌우 폐야에서 다발성 결절들이 관찰되어 혈행성 전이가 의심되어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16개월에 환자는 잔존하는 종괴와 전이성 결절들의 크기는 줄어든 상태로 특별한 증상 없이 지내고 있다.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세균성 심내막염에 의한 패혈성 폐색전증 1예 (A Case of Septic Pulmonary Embolism Associated with MRSA Infective Endocarditis)

  • 이기종;김나영;김자선;윤한결;오미정;김도훈;조상균;류한영;배영아;김대봉;신미경;진재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9권2호
    • /
    • pp.124-128
    • /
    • 2010
  • Septic pulmonary embolism is the process in which an infected thrombus becomes detached from its site of origin and lodges in a pulmonary artery, and is usually associated with infective endocarditis, especially right-sided, or infection-associated with indwelling catheters, peripheral septic thrombophlebitis, and periodontal diseases, etc. Here, we report a case of septic pulmonary embolism associated with tricuspid valve infective endocarditis. A 23-year-old femal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due to fever, sore throat, and myalgia. In her past medical history, she had undergone a surgical operation for closure of a ventricular septal defect, but was informed that the operation resulted in an incomplete closure. The initial chest radiograph demonstrated multiple rounded, parenchymal nodules in various sizes; several nodules had central lucency suggesting cavitations. Echocardiography demonstrated a large vegetation attached to the septal tricuspid valve leaflet, extending from right ventricular inflow tract to outflow tract. Computed tomography of thorax revealed bilateral peripheral nodules and wedge-shaped consolidation at various sizes, mostly accompanied by cav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