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cavity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9초

좌심방점액종의 개심술절제치험예 (Successful Surgical Resection of Left Atrial Myxoma by Total Cardiopulmonary Bypass - Report of a Case-)

  • 김근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0권1호
    • /
    • pp.164-172
    • /
    • 1977
  • This is a report of a case in which a left atrial myxoma was successfully removed by total cardiopulmonary bypass with total hemodilution and moderate hypothermia. The patient was a 17 old girl with mitral valvular symptoms that occured suddenly three months prior to operation. After the onset of symptoms. it was progressively aggravated to serious general condition. The preoperative diagnosis of left atrial tumor was made from echocardiography. and the tumor was confirmed as myxoma by th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tumor tissue removed during operation. The myxoma was unusually originated from posterior wall of the left atrium. which was located between drainage orifices of right and left pulmonary veins, The tumor developed in the left atrial cavity and one of the polypoid processes of the myxoma was prolapsed into the the left ventricle through the mitral orifice. Following operation. there was no evidence for peripheral vascular embolism, and all valvular symptoms disappeared.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 PDF

폐문부에 발생한 양성 임파절 비대증 1 치험예 (Benign Lymphnode Hyperplasia hyaline-vascular type in pulmonary hilum: One Case Report)

  • 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0권1호
    • /
    • pp.44-48
    • /
    • 1977
  • Benign hyperplasia of hilar lymph glands is rare. Most of the lesions were intrathoracic cavity. The lesions were discovered most often on routine roentgenograms of the chest or because. of pressure symptoms or the presence of a palpable mass if outside the thorax. Diagnosis is. made after removal of gland, a procedure which may also have therapeutic value. They have been divided into 2 histol0gic types: the hyaline-vascular lesions, which were, most numerous, were characterized by small hyaline-vascular follicles and interfollicular capillary proliferation ;the plasma cell lesions were characterized by large follicles with! intervening sheets of plasma cells. We experienced one case of benign hyperplasia of lymph gland in left hilum, which were. most numerous, characterized by small hyaline-vascular follicles and interfollicular capillary proliferation-hyaline-vascular type. This 29 years old male patient was treated by right upper lobectomy with excision of lesion. The postoperative courses was uneventful.

  • PDF

아급성 심내막염을 동반한 대동맥륜 하부 대동맥류의 수술치험 -1례 보고- (Subannular Aortic Aneurysm Accompanied with Subacute Bacterial Endocarditis.- Report of one case -)

  • 한재진;이원용;채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6호
    • /
    • pp.1084-1087
    • /
    • 1989
  • Subannular aortic aneurysm is a word-wide rare disease entity occurring predominantly in young black men. In Korea, there has been no report. We report one patient, 46 years old man, who had been operated urgently because of acute aortic insufficiency and aortic valvular vegetation after antibiotics treatment of Subacute bacterial endocarditis for 6wks. At the operative field, We found the bulging aneurysmal mass between the aorta and superior vena cava above the right pulmonary artery, which has subannular communicating opening into the left ventricular cavity, beneath the anterior commissure of the bicuspid aortic valve. Pathologic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portion of vascular wall with features of aneurysm.* The patients survived aortic valve replacement and patch closure of subannular aneurysm, with no symptoms at one-year postoperative follow-up.w-up.

  • PDF

우측 전페절제술후 발생한 기관지늑막루의 Transsternal transpericardial approach를 이용한 폐쇄치료 -1예보고- (Closure of Chronic Postpneumonectomy Bronchopleural Fistula using the Transsternal Transpericardial Approach -A case report-)

  • 김동관;이두연;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3호
    • /
    • pp.566-571
    • /
    • 1990
  • The Bronchial stump disruption in bronchopleural fistula with empyema thoracis after pneumonectomy has remained one of the most dreaded complications of thoracic surgery. Management of chronic bronchopleural fistula still poses a therapeutic dilemma in spite of various surgical techniques that have been attempted to control this complication. Only recently, transsternal transpericardial approach for repair of the postpneumonectomy bronchopleural fistula has been utilized in some cases. The patient was a 31 year-old woman who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on August 18th, 1989 due to right postpneumonectomy bronchopleural fistula with empyema thoracis for 5 years since she had undergone right pneumonectomy due to pulmonary tuberculosis at E-hospital in 1984. Transsternal transpericardial closure of the fistula was employed and then the thoracic catheter was removed two months later, after the empyema cavity was sterilized by the Clagett method. So, we think this surgical technique is a relatively simple and effective method to the control of chronic postpneumonectomy bronchopleural fistula with empyema thoracis.

  • PDF

횡격막 성형술: 5례 보고 (Phrenoplasty [Diaphragmatic Thoracoplasty]: Report of 5 Cases)

  • 배두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권2호
    • /
    • pp.113-120
    • /
    • 1970
  • Since the turn of the century there has been a constant search for a satisfactory method of controlling a large intrathoracic space following lobectomy. Primarily these methods consist of thoracoplasty, plombage, and phrenic nerve paralysis which are not completely satisfactory for they may result in loss of chest wall motility or diaphragmatic function. Incising the diaphragm at its periphery and resuturing to the chest wall at a level several rib spaces higher is an effective method of reducing intrathoracic space with minimal interference with pulmonary function. It is of particular value when the anticipated space problem is in the lower part of the thoracic cavity. Five cases are presented in which the diaphragm was peripherally detached and advanced to higher levels. Two cases were following lower lobectomy and three cases were following decortication for chronic empyema in which expansion was not good enough to adequately fill the space. Results in these cases were satisfactory.

  • PDF

Primary Sternal Osteomyelitis Caused by Actinomyces israelii

  • Lee, Jun Ho;Jeon, Seok Chol;Jang, Hyo-Jun;Kim, Hyuck;Kim, Young Hak;Chung, Won-Sa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1호
    • /
    • pp.86-89
    • /
    • 2015
  • Primary sternal osteomyelitis is a rare disease. Common infectious organisms causing primary sternal osteomyelitis include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Actinomyces species are common saprophytes of the oral cavity, but there have been few reports in the literature of primary sternal osteomyelitis caused by Actinomyces species. We describe a case of primary sternal osteomyelitis caused by Actinomyces israelii without pulmonary involvement.

Two-stage Surgical Treatment of a Giant Solitary Fibrous Tumor Occupying the Thoracic Cavity

  • Song, Joon Young;Kim, Kyung Hwa;Kuh, Ja Hong;Kim, Tae Youn;Kim, Jong H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1권6호
    • /
    • pp.415-418
    • /
    • 2018
  • A solitary fibrous tumor (SFT) is a mesenchymal fibroblastic tumor inside the pleura, for which complete surgical resection is the standard treatment. For large SFTs, preoperative identification of tumor-feeding vessels using angiography is important for achieving complete resection without unexpected operative bleeding. Extensive adhesions can make resection difficult in a limited operative window, and pulmonary resection may be required to achieve complete SFT resection. Herein, we report successful resection of a large pleural SFT in a 39-year-old man without any complications using a 2-stage approach, in which ligation of the feeding vessels through small another operative window was the first step.

여러 개의 공동이 있는 활동성폐결핵 환자에서 객담도말검사 음성과 관련된 CT 소견 (CT Findings Related to Negative Results of Sputum Smear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having Multiple Cavities)

  • 이화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5호
    • /
    • pp.374-381
    • /
    • 2007
  • 배 경: 여러 개의 공동이 있는 활동성 폐결핵환자에서 객담도말 음성과 관련된 CT소견을 알아보고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CT에서 여러 개의 공동이 있는 38명의 활동성 폐결핵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담도말검사의 결과에 따라 객담도말검사 양성(n=30)과 음성(n=8)인 두 군으로 나누었다. CT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CT 소견은 공동의 크기와 수, 공동이 있는 폐엽의 수 그리고 동반된 소견들을 분석하였다. 공동의 크기는 최대내경으로 하였다. 공동의 최대내경이 20 mm 이하인 경우와 20 mm보다 큰 경우로 나누어 두 군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동반된 소견은 간유리음영, 폐경결 미세결절과 결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소견의 유무와 소견이 보이는 폐엽의 수를 기록하였다. 또한 폐경결 속에 동반된 공동이 있어 괴사성 폐렴의 양상을 보이는 빈도를 조사하였다. 두 군 간에 CT소견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 과: 공동의 평균 최대내경은 1군은 $32.23{\pm}17.66mm$, 그리고 2군은 $15.50{\pm}11.12mm$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42). 공동의 수도 1군은 $5.53{\pm}3.17$, 2군은 $2.43{\pm}1.13$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002). 공동의 개수가 3개 이상인 경우는 1군은 23예(23/30, 76.7%)가 있었고 2군은 1예(1/8, 12.5%)가 있었다(p<0.005). 간유리음영과 폐경결이 보이는 폐엽의 수는 1군과 2군에서 각각 $1.5{\pm}1.50$, $0.38{\pm}0.52$(p=0.0016) 그리고 $2.00{\pm}1.34$, $0.25{\pm}0.46$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괴사성 폐렴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 예는 1군에서 43.3%(13/30)가 있었고 2군에서는 없었다. 다른 소견들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폐경결이 보이거나 3개 이상의 공동이 있거나 공동의 최대내경이 20 mm 보다 큰 경우에 객담도말검사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그리고 음성 예측도는 각각 100%(30/30), 62.5%(5/8), 90.9%(30/33), 100%(5/5)이었다. 결 론: CT에서 폐경결이 없고 공동이 2개이면서 공동의 최대내경이 2 cm 이하인 다발성 공동 폐결핵은 객담도말 음성과 관련이 있다.

국내 폐효모균증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ulmonary Cryptococcosis)

  • 문두섭;유정수;김정미;김연수;김성민;오광택;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이정희;함희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5호
    • /
    • pp.1083-1093
    • /
    • 1997
  • 연구배경 : 폐효모균증은 중추 신경계 효모균증에 비해 비교적 나타나나 근래에 폐질환에 대한 진단의 기저 질환의 증가등으로 인해 발생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 이 질환의 아급성으로 나타나는 비 특이적인 증상들로 인해 국내에 많은 폐질환과 오인하여 치료하기가 쉽다. 이에 저자들은 국내에 폐효모균증과 본원에서 경험한 예를 대상으로 국내에서의 폐효모균증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1985년부터 1996년까지 한양대학교 의과대화 부속병원에서 경험한 5예와 1984년부터 1996년까지 국내 문헌에 발표된 9예의 폐효모균증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과 보고 문헌을 조사하였다. 결 과 : 50대 이상의 고령에서 주로 발생하며 남녀비는 3.6 : 1로 남자에서 호발하였다. 변역 상태를 저하시키는 기자 질환이 6예에서 있었으나 나머지 8예는 기저 질환이 없어 정상인에게서도 폐효모균증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임상증상은 증상이 없거나 비 특이적인 호흡기 증상들이 아급성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지기 전에 폐결핵으로 오인 치료된 예가 많았다. 흉부 방사선 검사상 고립성 폐경화와 광범한 폐침윤이 흔한 소견이었으며 비교적 드물다는 늑막 삼출, 폐문부 림프절 비대, 공동 형성등도 관찰 되었다. 특별한 호발부위는 없었다. 진단 방법으로는 주로 폐생검을 통한 조직학적 방법이 이용되었고 그 중 경피적 세침 흡인 생검술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cryptococcus neoformans에 대한 객담 도말 검사, 배양검사와 혈청에서 검사한 latex agglutination test논 낮은 양성률을 보여주었다. 치료는 여러 항 진균제 (fluconazole, amphotericin B, flucytosine, ketonazole), 수술 또는 이들을 병합한 방법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1990년 이후에는 경구 투여가 가능한 flucon-azole 또는 ketoconazole 등을 이용한 치료가 증가하고 있는 양상이다. 치료후 대개 4개월이내에 흉부 방사선상 병변의 흔적만 남든지 거의 소설되는 양상을 보였다. 재발한 예는 없었다. 결 론 : 폐효모균증은 국내 폐렴의 드문 원인이나 1985년이 후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호발 연령은 50대 이후이나 젊고 기저 질환이 없는 예에서도 발생하여 정상인에서도 이 질환의 가능성에 대해 고려해야 하며 아급성의 비 특이적인 증상을 호소하며 일반 항생제에 잘 반응하지 않아 폐결핵과의 감별진단이 중요하다. 객담 및 혈청 검사로는 진단률이 낮아 폐조직 생검 등의 조직학적 확진이 필요하며 아직 치료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지만 근래 간편하게 경구로 복용할 수 있고 효과적인 약제가 선호되고 있다.

  • PDF

폐 비결핵향산균종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Study for Clinical Characteristics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Pulmonary Diseases)

  • 배현혜;이재호;유철규;이춘택;정희순;김영환;심영수;한성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6호
    • /
    • pp.735-746
    • /
    • 1999
  • 연구배경: 폐 비결핵항산균증은 최근 빈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많은 변화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의 증례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국내 임상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0년 1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서울대병원에서 검사한 호흡기검체에서 비결핵항산균이 배양되었던 57예 중 1997년 개정된 미국 흉부학회 진단기준에 적합한 27예를 대상으로 임상상, 방사선소견, 치료 및 임상경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남자 15명, 여자 12명이였고 평균연령은 51.5세였다. 20명(74.1%)에서 선행 폐질환이 있었고 이 중 19명(70.4%)은 폐결핵의 기왕력이 있었다. 방사선 소견상 16명(59.2%)에서 공동이 있었고, 추적관찰시 대부분에서 1년이상에 걸쳐 서서히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항결핵제에 대한 감수성검사상 INH 100%, RMP 72.2%, EMB 81.5%, PZA 92.6%의 내성율을 보였고, 2차 항결핵제에 대해서도 평균 66.1%의 높은 내성율을 보였다. 약물치료는 21명(77.8%)에서 시행되었고 11명은 호전, 10명은 악화되었다. 치료하지 않은 6명(22.2%)은 1명만이 호전, 5명은 악화되었다. 임상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을 때 공동이 있거나 사용된 감수성 약제수가 3제미만인 경우 치료반응이 유의하게 나빴다. 결 론: 우리나라의 폐 비결핵항산균증은 최근 증가하고 있으며 선행 폐질환이 있는 중년이상의 환자에서 많이 발생하고 선행 폐질환으로는 과거의 결핵병변이 압도적으로 많다. 기존의 항결핵제로는 치료성적이 좋지 않으므로 새로운 약제를 중심으로 하는 감수성검사와 이에 따른 치료약제의 변화가 시급히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자체의 진단과 치료지침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