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ublish/Subscribe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System for Traffic Measurement of MQTT Broker (MQTT Broker의 트래픽 측정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연구)

  • Kim, Sung-Jin;Oh, Ch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637-638
    • /
    • 2017
  • The MQTT broker has problems such as packet loss and delay due to degraded network performance according to traffic. However, the MQTT broker does not support a separate interface for traffic measurement, so it can not cope with network degrad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for traffic measurement of MQTT broker. The proposed system uses the jnetpcap library to measure all traffic to and from the MQTT broker.

  • PDF

Design of the Smart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MQTT Protocol (MQTT 프로토콜 기반의 스마트 출석관리 시스템의 설계)

  • Ahn, S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345-348
    • /
    • 2015
  • 스마트폰이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감에 따라 인간 편의를 위해 스마트폰을 기본수단으로 많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기반 서비스의 고도화로 스마트폰에 부착된 센서와 네트워크 통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배터리 사용시간 단축, 통신량 증가 등 하드웨어 리소스의 부하 증대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대학에서 도입하고 있는 비콘 기반 출석관리 환경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QTT 프로토콜 기반 통신을 적용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설계한다. 제안하는 출석관리 시스템에서는 발간/구독 방식의 경량 프로토콜인 MQTT를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부하 및 배터리 낭비를 최소화 하고자 한다.

  • PDF

MQTT Protocol based GPS Information Push Notification Service APP (MQTT 프로토콜 기반 위치 정보 푸시 알림 서비스 앱)

  • Youn, Joosang;Hong, Ji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1a
    • /
    • pp.129-13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에서 응용프로토콜로 사용되는 MQTT 프로토콜을 활용한 위치 정보 푸시 알림 서비스 앱 개발 방법과 개발된 앱을 소개한다. MQTT 프로토콜은 Publish/Subscribe 전송 방식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자와 정보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 사이에 메시지를 전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메시지 전송 방식을 활용한 MQTT 기반 위치 정보 전송이 가능한 앱 개발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앱에 비해 이동 시 자동으로 위치 정보 알림 서비스를 추가로 구현하였다.

  • PDF

Analysis correlation of Message Loss and End to End Delay for MQTT QoS Level (MQTT QoS 레벨에 따른 종단간 지연과 메시지 손실의 상관관계 분석)

  • Lee, Shinho;Ju, Hong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829-832
    • /
    • 2012
  • MQTT(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 는 IBM 에서 발표한 오픈 프로토콜이다. MQTT 는 메시지 전달의 신뢰성 보장을 위하여 3 단계의 QoS 를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Publish 클라이언트에서 Broker 서버를 지나, Subscribe 클라이언트에 이르기까지 메시지 전달에 대하여 분석한다. 메시지는 MQTT 의 3 단계의 QoS 레벨과 페이로드 크기를 다양하게 전달하여 패킷을 캡쳐하고, 메시지에 대한 종단 간 지연과 메시지 손실에 대한 분석과 상관관계의 결과를 제시한다.

A Design of DLL Plug-in Framework for Component Reuse (컴포넌트 재사용을 위한 DLL 플러그인 프레임워크 설계)

  • Shim, Jun-Yong;Lee, Yong-Heon;Kim, S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232-235
    • /
    • 2010
  • 최근 국방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이 각광받으면서 무기체계 개발을 위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을 늘리고 있다. 특히, 시뮬레이션 요소의 재사용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이 핵심기술로 떠오르면서, 시뮬레이션을 위한 공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M&S 프레임워크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고객의 요구사항이 프레임워크의 기능 변경을 요구하는 경우 프레임워크가 적용된 모든 시뮬레이션 요소의 수정이 불가피하며, 추가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재설계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프레임워크의 요소를 DLL로 구현하여 기능 구성을 용이하게 하고,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을 위해 데이터 기반 Publish-Subscribe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프레임워크와 독립적으로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프레임워크와 DLL 간 교환 메시지 객체에 대한 구조 설계를 제시한다.

Distributed Hashing-based Fast Discovery Scheme for a Publish/Subscribe System with Densely Distributed Participants (참가자가 밀집된 환경에서의 게재/구독을 위한 분산 해쉬 기반의 고속 서비스 탐색 기법)

  • Ahn, Si-Nae;Kang, Kyungran;Cho, Young-Jong;Kim, Now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12
    • /
    • pp.1134-1149
    • /
    • 2013
  • Pub/sub system enables data users to access any necessary data without knowledge of the data producer and synchronization with the data producer. It is widely used as the middleware technology for the data-centric services. DDS (Data Distribution Service) is a standard middleware supported by the OMG (Object Management Group), one of glob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It is considered quite useful as a standard middleware for US military services. However, it is well-known that it takes considerably long time in searching the Participants and Endpoints in the system, especially when the system is booting up. In this paper, we propose a discovery scheme to reduce the latency when the participants and Endpoints are densely distributed in a small area. We propose to modify the standard DDS discovery process in three folds. First, we integrate the Endpoint discovery process with the Participant discovery process. Second, we reduce the number of connections per participant during the discovery process by adopting the concept of successors in Distributed Hashing scheme. Third, instead of UDP, the participants are connected through TCP to exploit the reliable delivery feature of TCP.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our scheme by comparing with the standard DDS discovery process.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our scheme achieves quite lower discovery latency in case that the Participants and the Endpoints are densely distributed in a local network.

A Design of a Network Module supporting Primitive Messaging Operations for MOM (MOM의 Primitive Messaging Operation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모듈 설계)

  • Kang, Tae-Gun;Sohn, Kang-Min;Ham, H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15-118
    • /
    • 2003
  • 최근 MOM 기술은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로서 자리잡고 있으며, 보통 수백에서 수천의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MOM 은 이러한 대용량의 클라이언트 요청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효율적이고 확장성있는(스케일러블) 네트워크 모듈이 필요하며,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한다. MOM이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메시징 기능은 PTP(Point-To-Point)와 publish/subscribe 메시징 도메인으로 나뉘는데 이 논문에서는 두 가지 메시징 도메인과 그룹통신 메시징 서비스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MoIM-Message 시스템의 하부 통신 모듈의 설계에 대해 기술한다. PTP와 publish/subscribe 메시징을 지원하기 위해 세가지 프리미티브 메시징 오퍼레이션인 "synchronous send", "synchronous receive", "asynchronous receive"를 정의하였으며 하부 통신 모듈 역할을 하는 메시지 트랜스포트 관리 계층내의 트랜스포트 관리자 내에 구현되었다. 트랜스포트 관리자는 다양한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트랜스포트 어댑터로 설계되었으며, 대량의 통신 요청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polling with multiple service thread model" 기법을 적용하여 구현되었다. 또한, 모바일 클라이언트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측 통신 모듈을 IPaq PDA 상에 포팅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세 가지 프리미티브 메시징 오퍼레이션을 제공하는 통신 모듈은 MOM이 기본적으로 지원해야 할 메시징 도메인과 대용량의 클라이언트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es}8$ 모드를 모두 사용한 경우와 $8{\times}8$ 단일모드를 사용한 경우보다 계산 시간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행중인 MoIM-Messge서버의 네트워크 모듈로 다중 쓰레드 소켓폴링 모델을 적용하였다.n rate compared with conventional face recognition algorithms. 아니라 실내에서도 발생하고 있었다. 정량한 8개 화합물 각각과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스피어만 상관계수는 벤젠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하였다. 이중 톨루엔과 크실렌은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좋은 상관성 (톨루엔 0.76, 크실렌, 0.87)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는 톨루엔과 크실렌이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좋은 지표를 사용될 있고,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등 많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원은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도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10)의 $[^{18}F]F_2$를 얻었다. 결론: $^{18}O(p,n)^{18}F$ 핵반응을 이용하여 친전자성 방사성동위원소 $[^{18}F]F_2$를 생산하였다. 표적 챔버는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연구된 $[^{18}F]F_2$가스는 친핵성 치환반응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도입하기 어려운 다양한 방사성의 약품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었으나 움직임 보정 후 영상을 이용하여 비교한 경우, 결합능 변화가 선조체 영역에서 국한되어 나타나며 그 유의성이 움직임 보정 전에 비하여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뇌활성화 과제 수행시에 동반되는 피험자의 머리 움직임에 의하여 도파민 유리가 과대평가되었으며 이는 이 연구에서 제안한 영상정합을 이용한 움직임 보정기법에

  • PDF

Design of Dynamic Buffer Assignment and Message model for Large-scale Process Monitoring of Personalized Health Data (개인화된 건강 데이터의 대량 처리 모니터링을 위한 메시지 모델 및 동적 버퍼 할당 설계)

  • Jeon, Young-Jun;Hwang, Hee-Jo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5 no.6
    • /
    • pp.187-193
    • /
    • 2015
  • The ICT healing platform sets a couple of goals including preventing chronic diseases and sending out early disease warnings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bio-signals and life habits. The 2-step open system(TOS) had a relay designed between the healing platform and the storage of personal health data. It also took into account a publish/subscribe(pub/sub) service based on large-scale connections to transmit(monitor) the data processing process in real time. In the early design of TOS pub/sub, however, the same buffers were allocated regardless of connection idling and type of message in order to encode connection messages into a deflate algorithm. Proposed in this study, the dynamic buffer allocation was performed as follows: the message transmission type of each connection was first put to queuing; each queue was extracted for its feature, computed, and converted into vector through tf-idf, then being entered into a k-means cluster and forming a cluster; connections categorized under a certain cluster would re-allocate the resources according to the resource table of the cluster; the centroid of each cluster would select a queuing pattern to represent the cluster in advance and present it as a resource reference table(encoding efficiency by the buffer sizes); and the proposed design would perform trade-off between the calculation resources and the network bandwidth for cluster and feature calculations to efficiently allocate the encoding buffer resources of TOS to the network connections, thus contributing to the increased tps(number of real-time data processing and monitoring connections per unit hour) of TOS.

Query Slipping Prevention for Trajectory-based Contents Publishing and Subscrib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궤도 기반 콘텐츠 발간 및 구독을 위한 질의 이탈 방지)

  • Tscha, Yeong-Hwan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2 no.4
    • /
    • pp.525-534
    • /
    • 2005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query slipping and its prevention for trajectory-based matchmaking servic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The problem happens when a query propagating along a subscribe trajectory moves through a publish trajectory without obtaining desired information, even though two trajectories intersect geometrically. There follows resubmission of the query or initiation of another subscribe trajectory Thus, query slipping results in considerable time delay and in the worst, looping in the trajectory or query flooding the network. We address the problem formally and suggest a solution. First, the area where nodes are distributed is logically partitioned into smaller grids, and a grid-based multicast next-hop selection algorithm is proposed. Our algorithm not only attempts to make the trajectory straight but also considers the nodal density of recipient nodes and the seamless grid-by-grid multicast. We prove that the publishing and subscribing using the algorithm eventually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the slipping. It toms out that our algorithm dissipates significantly less power of neighbor nodes, compared to the non grid-based method, as greedy forwarding, and the fixed- sized grid approach, as GAF (Geographical Adaptive Fidelity)

A Design on The Zone Master Platform based on IIoT communication for Smart Factory Digital Twin (스마트 팩토리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위한 IIoT 통신 기반 ZMP(Zone Master Platform) 설계)

  • Park, Seon-Hui;Bae, Jong-Hwa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6 no.4
    • /
    • pp.81-87
    • /
    • 2020
  • This paper creates a standard node for acquiring sensor data from various industrial sensors (IoT/non-IoT) for the establishment of Smart Factory Digital Twin, and provides inter-compatible data by linking zones by group/process to secure data stability and to ensure the digital twin (Digital Twin) of Smart Factory. The process of the Zone Master platform contains interface specifications to define sensor objects and how sensor interactions between independent systems are performed and carries out individual policies for unique data exchange rules. The interface for execution control of the Zone Master Platform processor provides system management, declaration management for public-subscribe, object management for registering and communicating status information of sensor objects, ownership management for property ownership sharing, time management for data synchronization, and data distribution management for Route information on data ex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