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private cooperation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26초

연구사업관리 주관기관에 따른 기술혁신 R&D 프로젝트 성과 영향분석: 공공과 민간 기업의 차이 비교 (The Effects on the R&D Projec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roject Management Organizations: The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 이용규;박소현;김희경;이태원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6-132
    • /
    • 2023
  • Technology innovation companies are focusing on contributing to business performance by R&D project as a strategic tool. Successful R&D leads to corporat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but there are high uncertainty and risks in R&D. Public and private R&D projects are carried out to achieve various purposes. It was verified how the risk management and benefit management of the R&D project affect the detailed R&D project performance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domain. The impact of Project Leadership on R&D performance was also analyzed.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Public and Private R&D projects at companies or research institutes were surveyed. First, it was found that project risk and benefit management have partially an effect on R&D project performance. Second, Public and private R&D Project Leadership showed partially a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ject management and project performance.

협력치안체제구축과 민간경비의 역할 (Building Cooperation Policing Systems and Roles of Private Security)

  • 석청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24호
    • /
    • pp.67-90
    • /
    • 2010
  • 오늘날 국민들의 삶을 질을 위협하는 범죄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경찰의 힘만으로 범죄를 예방하고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범죄를 해결할 수 없고, 국민들의 치안서비스에 대한 높아진 욕구를 충족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경찰이 지역사회 자원들과 연합하여 범죄에 대응하는데 있어 가장 전문적인 민간영역은 민간경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협력치안을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은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상당한 미흡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협력치안 구축을 위한 한국 민간경비의 역할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4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미국이나 일본처럼 민간경비의 업무분야 다양화되고 전문화되어야 한다. 단순인력 위주의 시설경비 수준을 벗어나 최첨단 범죄 영역이나 특정 산업단지 등을 전담하는 전문화된 조직으로 탈바꿈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찰과 민간경비와의 상호접촉을 증가시켜야 한다. 경찰과 민간경비 간의 정기적인 모임을 통해 상호관심과 필요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역할에 민간경비업체들을 대표할 수 있는 한국경비협회의 적극적 역할이 중요하다. 셋째, 민간경비 활동에 대한 이미지 개선노력과 민간경비 활동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민간경비에 대한 일부 부정적인 이미지를 씻어 내도록 자체 정화노력과 긍정적 이미지를 국민들에게 적극적 홍보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 수준에 적합한 경찰과 민간경비 간의 협력치안체제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우선적으로 일선 치안현장에서 경찰과 민간경비 간에 상호이해와 긍정적 인식을 갖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경찰이 민간경비를 대등한 동반자 인식을 갖도록 하기 위해 민간경비업체 스스로 전문 인력의 충원과 교육훈련을 강화하여 전문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 PDF

공간정보데이터의 효율적인 민관 파트너쉽 방안 - 서울시 추진사례를 중심으로 - (The Efficient Public Private Partnerships for the Geospatial Data)

  • 고준환;김문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71-7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에서 최초로 공간정보데이터에 대해서 민관협력을 추진한 서울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하였으며, 중앙부처 및 기타 지자체에게 공간정보데이터의 민관협력을 통해서 얻어진 노하우를 제공하기 위한 좋은 참조자료가 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유용한 연구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공간정보에 대해서 민간과 공공이 협의체를 구성하여 지속적으로 협의를 통해서 개선해야 할 사항을 논의해야 할 것이며, 공동으로 법적 제도적인 사항을 관계기관에게 제출하여서 개선을 해야 할 것 이다. 또한, 민간과 공공기관과의 시각에 대한 전환을 가져야 할 것이다. 서울시에서 추진한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구축된 공간정보데이터를 민관 공동 구축 및 활용 통하여 예산절감 및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제도를 개선하여 활성화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관련된 법령의 미비와 폐쇄적인 제도로 인하여 실무적인 실행에 어려움을 겪는 부분에 대해서, 서울시는 이를 극복하는 노하우를 제시하여 중앙부처 및 지자체에서 참조할 만한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병원과 민간병원의 생산성에 관한 차이 분석 (Public hospitals and Private hospitals analysis of productivity differences)

  • 이진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885-7892
    • /
    • 2015
  • 본 연구는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간의 생산성을 자본생산성, 노동생산성, 부가가치 생산성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공병원이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공공성과 수익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생산성 제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기간은 2013년 회계연도 말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공공병원의 대상은 39개 민간병원은 108개 총 147개 병원으로 조사대상을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ANOVA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을 보면 생산성 중 노동생산성 변수들이 공공병원의 수익성에 가장 중요한 요인들로 나타났으며, 향후 공공병원의 생산성과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과적인 인적관리체계의 수립이 요구된다. 또한 생산성과 수익성간의 연계를 통하여 분석하여야만 병원의 효율적인 관리에 대한 명확한 평가가 가능해야 할 것이다.

해외사례를 통한 재난대응 거점기지 구축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Disaster Response Base Station through Overseas Case Review)

  • 옥영석;박미리;전재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68-675
    • /
    • 2017
  • 국내에서는 최근 지진과 홍수 등의 자연 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및 구호 등에서 효과적이며 신속한 대응 능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대응하는 행정기관에서는 해당 담당자의 순환 보직 현실과 행정적 성격으로 인하여 민간협력과 재난대응 거점기지 등과 같은 기본적인 재해 대응을 위한 소프트적이고 물리적인 시스템이 아직은 유기적으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일본의 경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및 NGO간 상호 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재난에 대응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 공공부문에서 대부분을 광범위하게 재난을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자연재해 뿐 만 아니라 복합성격의 연계성 재난이 발생됨에 따라 공공부문의 노력만으로는 재난관리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는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갖가지 위기에 대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예상 할 수없는 상황에 직면 해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본과 미국사례를 통해 재난대응거점을 검토하였고, 이를 통한 시민부문과 기업부문에서의 협력네트워크 방향과 함께 재해 대응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재해 대응 거점 시스템의 구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종플루 유행에 대한 보건소 담당자의 대응평가와 관련 요인 (Responsiveness of Public Health Center and Its Related Factors against H1N1 Epidemic)

  • 장정랑;김건엽;홍남수;감신;이원기;이유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2-58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ponsiveness and its related factors of public health center for novel influenza A (H1N1) epidemic.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web-based survey conducted during February to April 2011. The 182 respondents were team leaders or persons who were responsible for H1N1-related work at public health centers during the H1N1 prevalence. The related factors affecting the responsiveness were different by urban or rural area. In the level of gu (urban) area, cooperation with the public organizations, preparing its own response plan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But, in the level of si or gun (rural) area, cooperation with private organizations (clinic or pharmacy), physical (facilities, equipments, and medicines), and human infrastructures (public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nd knowledge, and motivation) were more important factors. Therefore, how to cope with H1N1 prevalence in the future should be different by lo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re are several challenges that public health centers should prepare for the further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First, it is needed to make standard manuals which could strengthen education and training in order to respond appropriately, as well as to prepare enough physical infrastructures for the crisis. Next, the public health center should prepare correct media response and cooperation system with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스마트워크와 IT의 일자리창출을 위한 메커니즘 방안 (Mechanism Method for Smart Work and the Creation of IT Job)

  • 김만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55-61
    • /
    • 2012
  • 최근 들어 스마트 폰 사용의 확대로 우리 생활에 큰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마트기기의 활용으로 나타나고 있는 스마트워크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메커니즘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발전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스마트워크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정의와 IT를 통한 정보의 융합과 산업의 정보화가 가져온 신 시장 개척, 그리고 ICT를 통한 일자리 창출의 해외사례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스마트워크 플레이스하는데 있어서 국민의 문화적인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민 관 협력을 기반한 클러스터 개발이 일자리 창출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학계-협력업체-서비스업체 등의 상생을 통해 지역경제 발전의 주도적인 역할 수행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적 차원에서 스마트워크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민관이 협력할 필요가 요구된다.

Software Defined Networking and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for improved data privacy using the emergent blockchain in banking systems

  • ALRUWAILI, Anfal;Hendaoui, Salou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111-118
    • /
    • 2021
  • Banking systems are sensitive to data privacy since users' data, if not well protected, may be used to perform fake transactions. Blockchains, public and private, are frequently used in such systems thanks to their efficiency and high security. Public blockchains fail to fully protect users' data, despite their power in the accuracy of the transactions. The private blockchain is better used to protect the privacy of the sensitive data. They are not open and they apply authorization to login into the blockchain. However, they have a lower security compared to public blockchain. We propose in this paper a hybrid public-private architecture that profits from network virtualization. The main novelty of this proposal is the use of network virtualization that helps to reduce the complexity and efficiency of the computations. Simulations have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olution. Findings prove the efficiency of the scheme in reducing complexity and enhancing data privacy by guarantee high security. The contribution conducted by this proposal is that the results are verified by the centralized controller that ensures a correct validation of the resulted blockchains. In addition, computation complexity is to be reduced by profiting from the cooperation performed by the virtual agents.

연구개발 공적보조금이 서비스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D Public Subsidies on Service Firms' Innovation Activities)

  • 김상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829-1837
    • /
    • 2010
  • 정부가 민간기업에 지출하는 연구개발비는 최근 들어 지속적으로 늘어왔다. 2008년에는 전체 공공 연구개발 지출액의 17%가 민간기업에 지원됐으며 서비스업에서 지출되는 연구비의 약 9%가 공공 연구개발비였으나 이들 지원금에 대한 평가 및 연구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서비스기업들의 양적 질적인 혁신활동 결과에 공공 연구개발 보조금이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즉, 정부의 직접보조금이 서비스기업의 혁신활동을 촉진시키는지 구축시키는지를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방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정부의 보조금은 기업 최초 서비스혁신의 성과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결과지표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서비스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정책이 국가전체 혁신수준의 향상 및 양적인 증가에는 기여하지 못하나 기업자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활동은 촉진시킨다고 할 수 있다.

재난관리 민관협력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s of disaster management with public-private partnerships)

  • 유순덕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71-18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민관협력의 중요성이 등장함에 따라 재난관리의 민관협력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재난관리에 효율성을 확보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식은 재난관리 분야 전문가 15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재난관리 민관협력의 문제점과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중요도 기준으로 정리했다. 재난관리 민관협력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관리 민관협력의 체계적 관리 미비를 극복하기 위해 민간단체의 역할확대 및 관리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재난관리 시 민간단체와 적극적인 의사소통 채널 확보로 민간단체가 보유한 재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재난관리와 지자체의 인력지원 등을 위해 민간 전문가 정보를 공유하여 적극적인 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민관협력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재난관리 민관협력의 실효성에 대한 인식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민간단체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한다. 본 연구는 델파이 방식을 적용했으며 향후 설문지 등을 이용한 다양한 모집단을 확보하여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재난관리 민관협력에 대한 정책방안 수립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