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transportation

검색결과 1,567건 처리시간 0.04초

행정중심복합도시 대중교통 이용활성화를 위한 수요탄력성 분석 (An Analysis of Demand Elasticity to Facilitate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in the Administrative City)

  • 김태균;박지은;이윤상
    • 토지주택연구
    • /
    • 제9권3호
    • /
    • pp.9-18
    • /
    • 2018
  • Administrative city has been developed step by step aiming to being a public transport-oriented new city. In spite of its primary goal, administrative city is dominated by car-oriented tansportaion system because the supply of public transportation has not been adequately and timely perform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related to (public) transportation use in administrative city. Also, we examine the issues of traffic system through a survey on residents' consciousness about public transportation use.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demand elasticit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nditions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and passenger car is conducted for passenger car users. As a result, it is analyzed that as the neighborhood is more stabilized after the completion of development the resistance to the abandonment of passenger car is higher when the tide demand control method is introduced.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pre-emptive public transportation supply and the management of car demand management are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in Administrative city.

Investigating the Factors on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for Citizen Relationship and Sustainability

  • YOO, Jiin;CHO, Yooncheo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3권3호
    • /
    • pp.13-24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key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dissatisfaction on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by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improved management of advanced technology for sustainability. Research questions applied in this study include following; i) how are factors on dissatisfaction related to types of transportation modes; ii) how do perceived proposed factors affect citizen dissatisfaction; iii) how do the improv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ffect the level of expected satisfaction; and iv) how do expected satisfaction affect policy agreement and government trus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For qualitative research, civil opinions were collected and chi-square analysis was applied using keywords. For quantitative research, online survey was collected and facto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3)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efficiency of operation system and safety on dis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in all three public transportation modes. This study found that perception of government policy and trust on government will increase as expected satisfaction increase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managerial and policy implications on society and policy makers by addressing necessity of improving strategies for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with the consideration of citizen relationship manag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대중교통 이동성과 잠재수요를 이용한 도시 내 지역 간 직결노선버스 기종점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rigin and Destination Decision for a Direct Bus Line in a City with Transit Mobility and Potential Demand)

  • 장경욱;김황배;박홍식;박선복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D호
    • /
    • pp.547-553
    • /
    • 2011
  • 본 연구는 대중교통취약지역 평가척도인 이동성 지표와 잠재수요에 대한 개념을 새로 정립하고 이들 지표를 적용하여 대중교통이동성 취약지역 선정과 이들 지역 간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직결노선 선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동성 지표와 잠재수요평가지표를 적용하여 4개 대도시권의 대중교통 취약지역을 선정하고 이들 지역 간을 운행하는 직결 버스 노선을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중교통 이동성 사각지대는 대중교통통행시간이 승용차에 비해 현저히 높게 소요되거나 대중교통노선의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은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러한 대중교통취약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직결버스노선은 대중교통통행시간을 승용차 통행시간과 동등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차 전용도로로 운행하고 승 하차로 인한 통행시간 손실을 최소화 시키고 연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노선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A Public-Transporta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GIS and the GA

  • Jun, Chul-Mi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21-23
    • /
    • 2003
  • Developing a public transportation guidance system requires the following aspects: (i) people may change transportation means not only within the same type but also among different modes such as between buses and subways, and (ii) the system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time taken in transfer from one mode to the other. This study suggest the framework for developing a public transportation guidance system that generates optimized paths in the transportation network of mixed means including buses, subways and other modes. For this study, the Genetic Algorithms are used to find the best routes that take into account transfer time and other servicetime constraints.

  • PDF

Space Syntax 기법의 대중교통망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pplying the Space Syntax Technique to the Network of Public Transportation)

  • 전철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3-77
    • /
    • 2004
  • 대도시의 도심 정체나 대중교통 장려책과 같은 요소로 인해 대중교통에 대한 관심과 이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노선의 설계나 배분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고 적절한 정량적인 방법론이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계,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노선의 공급과잉이나 공급부족으로 인해 접근성이 지역간에 편중되어 나타나며, 도시 각 구역의 정류장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시간과 비용, 심적 부담에 있어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한편, Space Syntax 이론은 도시공간이나 건축공간의 접근성을 공간의 기하학적인 연결구조에 기반하여 정량적으로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Space Syntax 이론을 대중교통 문제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수정하였으며, GIS를 이용하여 간략한 가상의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이를 적용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 PDF

Using the GA in the Public-Transportation Route-selection Process

  • JUN, Chul-min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3권2호
    • /
    • pp.123-128
    • /
    • 2004
  • As the applied fields of GIS are expanded to the transportation, developing internet-based applications for transportation information is getting attention increasingly. Most applications developed so far are primarily focused on guidance systems for owner-driven cars. Although some recent ones are devoted to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they show limitations in dealing with the following aspects: (i) people may change transportation means not only within the same type but also among different modes such as between buses and subways, and (ii) the system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time taken in transfer from one mode to the other. This study suggest the framework for developing a public transportation guidance system that generates optimized paths in the transportation network of mixed means including buses, subways and other modes. For this study, the Genetic Algorithms are used to find the best routes that take into account transfer time and other service-time constraints.

  • PDF

Space Syntax를 이용한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에 관한 연구 (Connectivity analysis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using the Space Syntax)

  • 민보라;전철민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477-482
    • /
    • 2004
  • Due to the traffic congestion of the city and public transportation-oriented policies, public transportation is receiving more attention and being used increasingly However, relatively less research on the design and distribu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and limitations in quantitative approaches have mad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practically difficult. Over- or under-supply of transportation routes caused unbalanced connectivity among areas and differences in time, expenses and metal burden of users. On the other hand, the Space Syntax theory, designed to calculate the connectivity of urban or architectural space, helps generate quantitative connectivity of whole space simply based on the spacial structure. This study modified the original Space Syntax algorithm to fit the public transportation problem and showed how it is appied to a network by creating an artificial network using the GIS.

  • PDF

교통카드 기반자료를 활용한 복합대중교통망 구축 및 경로탐색 방안 연구 (A Methodology of Multimodal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Building and Path Searching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 천승훈;신성일;이영인;이창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3-243
    • /
    • 2008
  • 도시의 교통문제 증가로 대중교통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가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반해 기존 대중교통 통행배정과 관련한 연구는 여러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복합대중교통망의 경우, 독립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도로교통과는 달리 수단간 환승, 운행시간 스케줄, 대기시간, 통행요금과 같은 복잡하고 다양한 특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 분석의 어려움은 배가 될 수밖에 없다. 특히,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 환승할인제의 시행에 따른 대중교통 수단간 환승통행의 증가와 이에 따른 경로선택의 변화로 대중교통의 통행행태가 변하고 있으나, 기존의 대중교통교통망 구축방법으로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 첨단기술의 발달에 따라 대중교통이용자의 통행정보가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첨단교통카드체계가 구축 운영 중에 있다. 이러한 첨단기술의 도입은 복합대중교통망 분석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자료의 통행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망을 구축하기 위해 정류장의 위치정보와 노선정보를 활용해서 새로운 복합대중교통망을 구축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통카드자료의 통행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정류장 기반의 통합교통망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컴퓨터 기반의 프로그래밍기법을 활용한 단절된 링크의 연결방안을 통해 대중교통의 환승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복합대중교통망의 경로탐색에 있어 가장 큰 문제가 되는 다수단간의 경로탐색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으로 복합교통망을 구축할 경우, 기존 정류장 좌표와 대중교통의 노선정보를 그대로 활용하여 교통망을 구축할 수 있어 교통망 구축이 쉬울 뿐만 아니라, 환승링크 연결과 같은 별도의 교통망 작업 없이도 대규모 교통망에서의 활용이 가능해 진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실시간 수요대응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도입 방안 연구 (A Study on Introducing Autonomous Public Transportation On-demand Service in Real Time Using Delphi Method)

  • 정준영;심상우;김민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83-196
    • /
    • 2022
  • 국내의 경우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분석을 통해 대중교통 접근성을 평가하고 있으나 이는 운영자 측면의 평가로 이용자 측면의 대중교통 접근성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뜰교통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법정동보다 법정리의 접근시간 및 거리가 크며,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은 유형을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 접근 시간에 비해 유형 1은 95%, 유형 2는 64%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대중교통 접근성 문제 해결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통한 실시간 수요대응 자율주행 대중교통차량의 효율적인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 기능은 환승연계 및 D2D, 서비스는 예약 및 정보제공서비스, 노선 운영 방식은 준동적 및 동적 운영, 접근거리는 300m, 노선 운행 거리는 10km, 정시성은 5분 이내와 같이 9개 항목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하였다.

COVID-19에 따른 대중교통수단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대책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COVID-19 on Public Transportation Mode Change and Countermeasures)

  • 김수민;정헌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3호
    • /
    • pp.379-389
    • /
    • 2022
  • COVID-19로 인해 대중교통 이용객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VID-19로 인한 시민들의 통행행태에 변화에 미친 영향 요인을 파악 하고자 설문을 통하여 통행특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수단전환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여 대중교통 운영·시설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에 대한 불안감을 가질수록(+), 대중교통에서의 감염 불안을 가질수록(+) 개인교통수단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속성으로 운전면허가 없는 응답자에 비해 운전을 할수록(+), 가구에 차량이 없는 응답자에 비해 가구에 차량을 보유할수록(+), 온라인 쇼핑이 증가한 집단일수록(+), 통행목적이 출근인 집단보다 여행인 집단 일수록(+) 수단 전환이 더 많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집단보다 백신을 접종한 집단일수록(-),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수단전환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잘 이루어지고 있는 대중교통 내 마스크의 무착용, 손 소독·방역, 버스·도시철도 쾌적성 유지에 대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높은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대중교통 내의 혼잡도 및 환기에 대한 우선적 개선이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 시점 및 향후 전염병 발생 시 대중교통 운영 및 관리 대책수립의 기초자료로서 활용성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