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policy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19초

공공도서관 독서프로그램 운영 현황분석 및 정책 제안 -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데이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Public Library Reading Program Operation Status and Policy Proposal: Focusing on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Data)

  • 심효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25-147
    • /
    • 2023
  •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데이터를 중심으로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는 독서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 방향 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첫째, 공공도서관 독서 활동 데이터 확보와 공유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지속가능한 독서프로그램 추진을 위한 방안 제안을 위해 독서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에 관련있는 요소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셋째, 독서프로그램 평가지표 개선 및 질적 평가의 확산을 언급하고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도서관협회 등에 상시적으로 공공도서관 현장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공식 창구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넷째, 독서대전 개최지역 공공도서관들 간 협의체 구성 운영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이주민서비스 전략 연구 (Strategies for the Services for Immigrant Population in Public Libraries)

  • 이연옥;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57-384
    • /
    • 2013
  • "The IFLA Multicultural Library Manifesto"에서는 도서관은 이주민을 포함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차별 없이 서비스해야 하며, 적합한 언어와 문자로 된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모든 지역사회 구성원 분포와 그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자료 및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현재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급격히 이행되고 있어 공공도서관에서는 IFLA의 지침을 실천해야 하는 것이 현실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고민하는 의도에서 이 연구에서는 캐나다 리치몬드시 공공도서관의 이주민을 위한 서비스 경험을 살펴보고 서비스에서 드러나는 주요한 특징을 고찰해보았다. 이를 토대로 부산시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이주민서비스의 현황을 점검하며 서비스 개발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였다.

공공도서관 장서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on Public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public library librarians)

  • 박윤서;남영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47-67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장서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시행하여 장서개발정책과 수서 업무 환경, 참고정보원의 중요도 등을 물었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 중 80% 이상이 장서개발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수서 업무 중 다수의 사서들이 대출 현황과 관련된 사항들을 우선하여 업무에 적용하고 있었으며, 문학상/학술상 수상도서, 신문/잡지, 미디어, 각종 도서 관련 협회 등의 참고정보원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3.0에 대한 도서관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Librarians' Perception about Government 3.0)

  • 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1-80
    • /
    • 2016
  • 최근 정부 3.0 정책에 따라 공공데이터가 대량으로 공개되고 있고, 이를 활용한 제품을 개발하여 창업에 성공하거나 일상생활에 필요한 앱을 개발하고 국민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앱 등이 수없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서관도 공공의 영역으로서 정부 3.0 정책에 따라 데이터를 개방하고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이 나와야 할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 3.0에 대한 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도서관, 대학도서관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의 정부 3.0에 대한 인지도는 3.6 정도로 평균 이상이지만 추진과제에 대해서는 3.0 정도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 3.0 정책이 도서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43.65%로 그렇지 않다는 7.14%보다 6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부 3.0 정책에 의해 개방된 공공데이터를 도서관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공개된 공공데이터를 분야별로 정리하여 이용자에게 제공, 공개된 공공데이터를 테마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공공데이터 개방에 따른 개인정보보호관련 이용자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에 의해 공개된 공공데이터가 이용자와 도서관의 역할 변화 및 이미지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에 60% 정도가 동의했고, 오직 2.38%만이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한국 도서관.정보정책의 스펙트럼과 지향성 (Spectrum and Directivi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1-60
    • /
    • 2002
  • 정보사회의 도서관은 실물자료의 집적소 및 이용공간, 네트웍 및 웹자원에 대한 접근점, 평생교육의 지원시설, 지식정보의 제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은 국가 및 자치단체의 문화 정책에서 도서관이 핵심요소로 취급될 때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서관 및 독서문제가 문화혁명의 메뉴로 부상하여 주무부처에서 종합적인 발전계획을 마련하고 있는 차제에 그 동안 국내에서 집행되었거나 수립 중에 있는 도서관·정보정책의 스펙트럼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신세기의 정책적 지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경기도사이버도서관 설립의 정책형성과정 분석: 킹던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Gyeonggido Cyber Library Establishment: Based on the Policy Streams Model of Kingdon)

  • 추윤미;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71-8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개관 이래 지난 10여 년간 경기도 내 공공도서관의 발전의 중심 역할을 담당해 온 경기도사이버도서관 설립을 위한 의제설정 및 정책형성과정을 킹던(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킹던에 의하면 정책 형성은 문제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 그리고 정치 흐름의 결합의 결과이며, 세 흐름이 결합될 때 열린 정책의 창을 통해 정책이슈가 정책의제로 나아간다. 이 때 정책선도자는 정책의 창에서 선호하는 대안을 제시하고 그것이 정책의 창을 통과하도록 노력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사이버도서관 정책의 의제설정과 대안의 선택 과정에서 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그리고 정책의 흐름을 분석하고 정책의 창에서 정책선도자로서의 사서전문가집단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정책형성과정의 메커니즘을 밝힘으로써 사서전문가집단이 앞으로의 도서관 정책형성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관리운영평가 6년의 성과와 과제 - 1998년~2003년 문화관광부 관리운영평가 결과분석 - (Outcomes and Problem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for Korean Public Libraries During 1998~2003)

  • 정현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9-89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도서관 관리운영에 대한 현실적 조건을 파악하고, 정책당국이 실현해야하는 미래지향적 도서관정책을 위한 합리적 지침을 개발해 내는 것이다. 평가결과에 따르면, 평가점수의 지역차이가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고, 인력부족과 시설노후, 예산부족 등의 고질적인 현안이 6년간 지속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평가결과는 공공도서관 운영전반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새로운 지식기 반사회의 공공도서관 정책수립을 위한 정책지표로서 활용되었다.

  • PDF

재건축 아파트 단지 내 작은 도서관 건립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J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uilding a Small-Size Public Library in the Area of the Reconstruction of Old Apartment Complex: A Case Study of J Apartment Complex in Seoul)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429-448
    • /
    • 2008
  • 우리나라에 공공도서관이 많이 없다. 그 이유는 국민들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과 중앙 및 지방정부의 도서관건립에 대한 인색한 투자와 함께 효과적인 공공도서관 건립정책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제 선진국과 같은 작은 도서관 건립 및 운영 정책을 펴야 한다. 지역 재개발 및 아파트 재건축 추진은 이들 지역에 작은 규모의 마을도서관을 건립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서울에 있는 J아파트는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시점에서 새로운 위치로 옮겨가는 동사무소와 우체국을 하나의 건물로 신축하고, 이 건물 내에 공공도서관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을 이들 시설들과 함께 1층에 배치한다면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세 기관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처럼 재개발 및 재건축 지역에 공공기관 혹은 상엽시설과 함께 복합건물 형태로 작은 도서관을 건립하는 것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부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 PDF

법원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osal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of the Supreme Court Library)

  • 노영희;노지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55-7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법학 관련 도서관들의 장서개발정책을 분석하여 법원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기본 원칙과 지침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법원도서관 장서개발정책 개발(안)과 세부 내용을 제안하였다. 법원도서관의 비전은 크게 각국 법률자료의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수집과 법률정보 제공의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 대표 법률도서관과 법조 실무계와 학계종사자 뿐 아니라 일반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춰 대국민서비스를 제공하는 열린 법률·재판정보센터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장서개발정책 수립의 5가지 기본방향은 1) 국가 대표 법률도서관으로서의 사명과 책무 중심의 장서개발, 2) 대국민서비스를 위한 열린 법률·재판정보센터로서의 장서개발, 3) 변화하는 시대 및 정보환경에 부합하는 장서개발, 4) 법원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주제별·언어별 장서개발, 5) 일관성과 체계성 기반 자료 수집·보존·폐기 장서 개발로 제시하였다. 정책문서에 기반한 법원도서관의 장서개발을 통해 체계적 또는 전략적 장서개발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공공도서관 통계 항목의 설정과 수집 방법의 개선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National Public Library Statistics Program to Improve Statistics Items and Collection System)

  • 차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73-87
    • /
    • 2002
  • 공공도서관 통계는 도서관 자원 및 서비스에 대한 객관적이 평가지표인 동시에 도서관 계획 및 정책의 수립 과정을 비롯한 도서관 경영 전반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도구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현황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보고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국가단위의 공공도서관 통계 수집 및 제공 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해 이루어져야할 기본적인 과제가 무엇인가를 밝히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통계의 의의와 이용자 및 활용분야를 정리하고 주요 국가단위 공공도서관 통계수집 사례를 살펴본 후, 도서관협회에서 매년 발행하는 $\ulcorner$도서관 통계$\lrcorner$를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통계 수집 현황을 통계항목의 타당성, 수집통계의 신뢰성, 일관성 및 신속성, 그리고 도서관 평가 및 경영과정에서의 유용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