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Regeneration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5초

프랑스의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추진기구로서 ANRU의 특성과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ANRU as a Governance-Type Urban Regeneration Promotion Organization in France)

  • 박원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4-336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의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추진기구인 ANRU의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 도시재생사업에 활용 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 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프랑스에서는 국가차원의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추진기구로서 ANRU가 설립, 운영되고 있으며, ANRU는 중앙주도형 도시재생 추진기구이지만,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의 주체들이 참여하는 거버넌스 방식의 운영을 지향한다. 둘째로, ANRU는 PNRU, NPNRU, PNRQAD 등 3개의 도시재생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행정 및 재정지원을 통해, 사업지구 내 주거환경의 개선, 도시기능의 다양화, 경제 개발, 사회적 다양성 증대 등을 도모하고 있다. 셋째로, 국내의 도시재생사업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으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적인 추진과 가시적 성과를 위한 국가차원의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추진기구의 필요성, 자치단체 간 연대의 필요성, 다양한 차원의 민관 파트너십 활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해외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의 사업구조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Project Scheme of Property-led Regeneration: Focused on Cases of London and Tokyo)

  • 조승연;주관수;김옥연;김주진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4호
    • /
    • pp.281-290
    • /
    • 2014
  • 본 연구는 영국과 일본의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의 사업구조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은 1980년대의 신자유주의의 영향에 따라 등장한 사업수법으로 규제완화 및 공공지원과 민간주도의 거점 개발방식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효과를 도모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특히 2000년대에 진행되고 있는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으로 영국의 스트라트포드 및 킹스 크로스, 일본 오오테마치와 시노노메 지구의 사례를 통해 국내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례별 도시재생사업의 추진체계, 참여 주체별 역할, 공공의 지원 등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사업방식 측면에서는 국가적 대원칙에 따른 '선택과 집중'을 통한 국가적 자원의 효율적 배분, 추진체계 측면에서 토지 소유자등 직접적인 이해당사자 외에도 공공개발기관, 민간개발업체, 지자체, 국가, 관계기관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 기반시설 정비에 대한 공공의 지원이 공통적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에서 공공의 직접적인 사업시행은 감소하였으나 규제완화를 통한 민간자본 유치, 지역의 경제적 성장, 고용창출 등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수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공공시행자 및 지방정부의 역량강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통합형 도시재생사업으로서 마르세유 유로메디테라네의 특성과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Marseille's Euromméditerranée as an Integra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 박원석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1호
    • /
    • pp.99-11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마르세유의 유로메디테라네의 사업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로메디테라네는 마르세유의 도시재생사업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공동으로 출자・협력한 거버넌스형 사업추진기구인 EPAEM을 통해 사업을 수행하여, 유로메디테라네가 마르세유의 활성화와 삶의 질 개선에 의미 있는 성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도시재생사업으로서 유로메디테라네의 특성으로는 전면 재개발과 수복재개발 방식을 결합한 복합적 접근방법의 활용, 하드웨어적인 물리적 재생과 소프트웨어적인 경제・문화・환경적 재생을 결합한 통합적 재생의 활용, 거버넌스형 도시재생 사업구조의 활용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도시재생사업 단위의 복합화 및 대형화, 국가차원의 거버넌스형 추진기구의 활용, 적절한 민관 파트너십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주상복합건물의 성장관리형 도시재생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Urban Growth Management Style Urban Regeneration of the Mixed Use Building in Seoul)

  • 김옥연;한용석;이천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1-22
    • /
    • 2010
  • In the urban area where rapid suburbanization trend continues, the role of mixed use building is controversial. It is argued that the mixed use building is an effective tool to recover residential function of urban core(urban regeneration). It is also argued that the building is a cause of serious urban problems, such as congestion, public service shortages.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mixed use building in terms of urban growth management in Seoul. For this purpose, data of mixed use building from 1981 to 2007 are collected and analysed.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mixed use buildings are located in either sub-centers or population losing areas, rather than traditional urban core. Therefore, it is hard to accept that the two controversial arguments. The mixed use building noncore areas in most cases. However, it dose help to increase population inflow in non-core areas.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public service assertion which states that super-high rise mixed use building causes public service congestion, because the building is built in population losing or demand decreasing area.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alternatives such as urban service boundary or concurrency program to management urban growth.

융합 디자인 요소로서 도시재생에 활용된 그라피티의 장소특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ce Specificity of Graffiti Arts Used as Fusion Design Elements in Urban Regeneration)

  • 임병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455-46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에 활용되는 그라피티가 공공미술로서 장소특정성을 어떻게 갖게 되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공공미술의 장소특정성에 대한 개념 이해와 함께 그라피티의 장소특정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고, 도시재생 사업에 적용된 공공미술로서 그라피티를 작가별로, 설치장소를 기준으로 차이를 비교분석해보면서, 동시에 그라피티가 설치된 장소의 특수성와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전체적 맥락에서 의미를 찾아보았다. 사례조사 대상은 2015년부터 도시재생 사업이 펼쳐지고 있는 동두천 보산동에 설치된 그라피티에 한정지었다. 분석 결과, 작가별 작품의 개별적 장소특정성보다는 디자인, 공예, 음악 및 축제 등 도시의 역사와 장소적 특수성이 반영된 문화콘텐츠와 융합되었을 때 개별작품의 장소특정성도 극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라피티가 융합 디자인 요소로서 도시의 문화콘텐츠와 융합될 때 장소특정성이 극대화되어 공공미술의 가치를 갖게 되며, 도시재생의 미디어로서도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공공미술을 통한 지역재생 연구 - 마을미술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Regional Regeneration through Public Art - Focused on the Maeulmisul Art Project -)

  • 김소라;이병민
    • 국제지역연구
    • /
    • 제20권4호
    • /
    • pp.205-225
    • /
    • 2016
  • 최근 지역재생의 수단으로서 공공미술이 많은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다. 문화를 통해 낙후된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제도적으로 시행된 공공미술은 단발적인 행사에 그치거나, 규격화되고 획일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보안정책으로 등장한 마을미술 프로젝트는 마을의 자산을 활용하고, 주민의 예술적 행위가 주된 요소이다. 이를 통하여 지역정체성이 강화되고, 공동체성을 회복하게 되었다. 또한, 마을미술 프로젝트를 계기로 삼아, 타 정책 및 사업과 연계를 통해 지역 활성화를 가져온 마을도 생겨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을미술 프로젝트의 장소특정성을 통한 지역정체성 강화 및 공동체 회복 과정을 살펴보고, 마을미술 프로젝트를 통하여 지역재생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공공성 회복을 통한 지방 소도시 구도심재생 연구 - 역사, 문화, 생태 도시 완주군 고산을 사례로 - (Urban Regeneration of Old Town in the Rural City by the Recovery of Publicness - Focused on the Example of the History, Culture, Eco City, Gosan, Wanjoo -)

  • 윤성훈;윤희진
    • KIEAE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83-92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the urban regeneration by constructing contemporary publicness. Beginning with researching on the theoretical fundamentals about publicness and urban regeneration, it introduces the example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ness in the contemporary urban architecture, and finally simulates a model for the formation of space through a real work. Method: The study is partially based on the Executive Urban Project, 'Masterplan to make New Taekrigi : Gosan', which was planned in 2013 to suggest a strategic settlement layout for urban regeneration. Making architectural ideas permeated into the model of urban planing,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of initially pursued concepts to the design development stage, we could encounter a new type of formation of urban space, coinciding with the historical, cultural ecological contexts. Result: The expected result of the study intends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public space and urban structure, also ultimately to produce a urban system as 'space generator' to fulfill the social needs and its requirements.

서울 서부의 기피시설에서 재탄생된 공공시설들의 특성 - 시대 및 장소적 맥락의 관계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Public Facilities Regenerated from Unpleasant Facilities in Western Part of Seoul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Context and Local Context -)

  • 엄준식;안대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1호
    • /
    • pp.57-65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planning for regeneration based on six representative cases of western part of Seoul that were regenerated from the unpleasant facilities since the 20th century. In particula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and the location in terms of the 1st establishment and the regeneration in each cases. As a result, looking the tendency to regenerate the unpleasant facility,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historical and the locational context when establishing and regenerating.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e Location and the history of establishment & regeneration, we could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facilities as extroverted tendency and intrinsic tendency analysed by a geographic and an architectural, a programmatic aspects. Therefore, when planning the project regenerated from unpleasant facilities, it should be set considering the locational context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establishment & regeneration.

도시재생사업 효과 분석 -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 (Analyzing Urban Regeneration Effects - Focused on Jungang-Dong, Cheongju City -)

  • 한동욱;김태영;주수민;김혜주;홍명기;백종인;반영운
    • 지역연구
    • /
    • 제34권1호
    • /
    • pp.61-75
    • /
    • 2018
  •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는 2006년 이래로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활발히 진행되어오고 있다. 지금까지 많은 도시 재생사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정성적인 방법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상업지역 도시재생사업이 진행 중에 있는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동인구, 공시지가 공실률을 도시재생사업 효과 분석 지표로 선정하였다. 분석시점은 도시재생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2013년을 기점으로 2011년부터 2016년까지이다. 분석결과, 첫째, 유동인구는 차츰 증가하다가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던 2014년에 약 65퍼센트의 증가율을 보였다. 둘째, 공시지가는 도시재생이 시작한 2011-2012 시점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고 2015년까지 증가폭이 점차 줄어들면서 2015-2016년에는 미세한 감소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공실률은 꾸준한 하향곡선을 그리며 27퍼센트에서 12퍼센트로 약 15퍼센트포인트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상업지역의 도시재생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데서 학술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Revitalization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Happiness Housing Project as Public Housing Policy

  • Kim, Ok-Yeon;Lee, Jae-Pyeong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3호
    • /
    • pp.151-167
    • /
    • 2014
  • Urban space structure in South Korea when through drastic changes ever since public housing policies began their full-fledge implementation. That is, public housing policies represent the main cause for formation of the current urban space structure, as the public houses ar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changes of demographic/social structure, considering changes of housing demand, in urban spaces demanded by the end users. After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the 1960's, each government in different periods have implemented housing supply policies through massive urban developments, to resolve the issue of housing shortage and residential instability. Phase 1 New Towns were developed in the 1980's resulting in suburbanization of the Seoul Area, followed by urban sprawl due to construction of small-size New Towns after deregulation in the 1990's, and construction of Phase 2 New Towns for resolution of housing shortage in the early 2000's and the resulting urban problems. In the mid-2000's, construction of Bogeumjari houses in GB areas led to insufficient housing supply in downtown areas, and the period after 2010 witnessed continuous deterioration of existing urban areas and acceleration of the rental housing crisis caused by rental housing shortage in downtown areas. Moreover, the residentially vulnerable classes consisting of young, 1~2-member households is expanding, with the real estate market in recess. Therefore, the government is trying to achieve urban regeneration through public housing policies so as to resolve the urban space problem and the housing problem at the same time, and the Happiness Housing Project has been implemented as a policy to achieve that goal. The Happiness Housing Project for young, residentially vulnerable classes in downtown areas, is going through diversification aimed at conjun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downtown areas, as exemplified by conversion of rental hous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districts and redevelopment/reconstruction project districts into happiness housing, and supply of happiness housing in conjunction with small reorganization projects for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in such areas as those excluded from New Town designation. Continuous supply of Happiness Housing in conjun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requires mixed-use residential development which includes convenience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along with improvement of rental conditions (rental period/rent) and diversification of project methods, considering that the project is implemented in downtown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