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Supporter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316초

공공도서관 홍보를 위한 서포터즈 활용에 대한 제언 (Suggestions for Utilization of Supporters To Promote Public Libraries)

  • 이성신;백수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03-12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서포터즈 운영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홍보 효과를 담보하기 위해서 어떤 점에 유의하면서 운영되어야 하는지를 실제 서포터즈로 활동하고 있는 이들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개 공공도서관의 9명의 서포터즈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인터뷰자료는 녹음 후 전사하여 질적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질적분석은 세그멘팅, 초기코딩, 심층코딩, 주제의 발견 순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서포터즈를 통한 홍보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서포터즈 운영과 관련한 다음 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서포터즈의 개인 역량 및 특성을 고려한 역할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담당 사서의 적극적 역할이 요구된다. 셋째, 도서관 측의 적극적 역할이 요구된다. 넷째,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서포터즈에 대한 사전 교육 시 해당 도서관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연구 - 천안시 문헌정보관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Bookstart for Infants and Toddlers: Focusing on the Bookstart of Public Library in Cheonan)

  • 구수연;최예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17-540
    • /
    • 2009
  •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은 실험적인 시행과정에 있다. 본 연구는 천안시의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이용과 운영 실태를 질적으로 연구하여, 성공적인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을 위한 필요조건들과 개선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영아 대상 북스타트 참여 인력은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인력과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강사로 구성되며, 이들에게 영아 대상 북스타트는 육아 지원자 역할에 대한 만족감, 사회적 참여 기회의 확대, 전문적 능력의 개발의 장이 된다.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은 주마다 각각의 강사가 구성하는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특성은 영아들과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의 제공처, 육아정보교류의 장, 교육의 장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하여 프로그램 자체에 관해서는 프로그램의 취지에 대한 영아 보호자와 의사 결정자들의 북스타트에 대한 이해 필요, 놀이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의 제공, 북스타트의 정체성의 문제 등이 있으며, 운영에 있어서 참여 대상자의 제한, 참여 기간, 참여 인원, 인력과 예산의 문제의 측면에서 지적되었다.

  • PDF

일제하의 공공도서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Korean Public Libraries under the period of the Japanese Rule)

  • 김포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6권
    • /
    • pp.137-163
    • /
    • 197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d that (l) How the public Libraries under the Japanese Rule since the end of the Yi-Dynasty were recepted and generated by the people and (2) How they were organiged and managed. (3) Also it examined that how the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the libraries of today. 1. The following are the analyzed results: Three types of the public Libraries under the Japanese Rule for a period of 36 years engaged busily in colonization were Private's Public Libraries, Local Self-Government's Libraries and the Central Governmental Libraries, and were in order established. 2. They were eatablished by individuals, Confucian School Foundation, Young Men's Clubs, School Associations, Korean brethren residing abroad, or The Press Centering around the Local Self-Governments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3. In 1932 of the period of the Japanese Rule, the number of Libraies gained the summit and reached 80 Libraries. The Public Libraries including the Central Governmental Libraries remained in existence until the end of the War had been kept up the functions of the Libraries, but the Private Libraries operated by the Koreans were very small and poor. As a result, most of them were closed up and some Libraries transferred their controls to the public. Until the end of the war, only a little over 10 Private Libraries were Kept up. From the aspects of it's organization system, the most of their libraries replaced their chief librarians with non-professional county-headmen or Local supporters. From the aspect of collections, they wate mainly consists of Japanese books for the proper quidance of the public thought based on the ideology of Japanese Rule to Korea and on the industrial promotion rather than books about Koreanology or Western books. At that time, the Library users were with the jobless men and students as the central figures. And the next ranking by the social position of readers was children, farmers, merchants, industrialists, public servants, miscellaneous and educators. Their reading tendencies laid stress on linguistics and literature, physical sciences and medicine, While the reading trend of military sciences and medicine, while the reading trend of military sciences and engineering were very inactive. This was becaus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had not kept the military collections on file. Besides, they were reluctant to make Korean's learn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o the main reference materials of technology not provited. Most of the Libraries put practiced in circulation services were very important circulation in withinder of the reading room rather than in outside of the Library building. On the other hand, their circulation services has above came with many limitations. As stated above, the public Libraries' managements and activitives under the period of Japanese Rule were the way and means to achive the colonial and imperialistic purpose of the Japanese Empi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