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Policy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25초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현황과 발전과제 분석 (Current Status and Issues in Public Library Advancement Plan of Busan Metropolitan City)

  • 장덕현;강성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29-148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공공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공공도서관 확충과 발전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관련 계획과 법령 등을 검토하여 지역별 수요를 감안한 바람직한 공공도서관 공급방안을 제시하고, 부산시 공공도서관 기능과 역할의 정립을 통해 공공도서관 발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서관법에서 요구하는 지역별 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도서관을 둘러싼 지식정보 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Development of Desk for Public Reading in Library

  • Kang, Myung-Sun;Chang, Yub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28-438
    • /
    • 2008
  • Through this study, I developed a new-styled desk for public reading in librar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KIFURS Co., Ltd." established and branded by a part of the members of the association 'Gyeonggi-Incheon Furniture Industry Cooperative', in the background of growing library-furniture market situation according to the government policy and the related participations of competitive companies. The differentially designed product was herein presented by introducing the function of office furniture and related material, by giving the existing product some improvements on the basis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 search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ed product is that the basic structure of the desk for public reading is easy to assemble & disassemble and also variable to be extended & modified. This basic structure is available to be mass production and to be pricewise through using aluminum.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other library-furniture and office furniture, too. Also the luxury image was pursued by modern shape and different material, unlike the existing library-furniture.

  • PDF

네트워크시대 국가도서관의 협력과 미래 정책방향성에 관한 연구 - 국회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Collaboration of National Library and Policy Orientation in Network Era - focused o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

  • 박미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65-489
    • /
    • 2013
  • 본 연구는 국가도서관의 현재 자원들을 정보적, 인적, 공간적 차원에서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협력사업의 정책적 과제와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외국 사례, 국가도서관관련 법령과 국가정책, 관종별 도서관협력과 국회도서관의 자원별 대외협력사업의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국가도서관 협력사업의 미래방향으로 가치개발, 특화콘텐츠확보, 해외네트워크 리더십확보 등 세 가지 정책방향성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재원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Library Finance)

  • 서혜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263-301
    • /
    • 1992
  • In recent years, Korean public libraries, placed under changing circumstances, require that some new and positive financial policies be formula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services. T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cheme to ensure the revenues of Korean public librarie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Public finance theory is applied to the question of why the public library is publicly supported. The public library does not contribute to stabilization, but it does playa role in each of the other public sector functions : allocation of resources and redistribution of income. In public finance terms there is justification for at least partial subsidy of public library services, which have the attributes of public goods, merit goods and externalities. (2) Public libraries in Korea find themselves suffering from limited budgets. They are neglected in national and local budgets. The lack of adequate funding for library collections prevents libraries from rendering efficient services. (3) In order to put the finances of the Korean public library system on a firm basis, the following proposals are made: 1) It is proposed that the parallel administration under which public libraries are organized be unified to be directly under the local governments. 2) It is proposed that the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system for public library finance be strengthened. (1) Library expenses should be itemized independently in the calculation of general grants-in-aid to local governments. (2) A fixed portion of the total municipal revenue should be appropriated for public library services. It can be executed by making provisions expressly in the annual guidelines for budgeting, municipal ordinances, or in the Library Promotion Law. The rate of allocation should be specified as a part of the national public library development plan. (3) Library tax as a local tax can be imposed. An indirect tax is preferable in order to avoid public misunderstanding and antagonism. 3) The augmentation of the specific grants-in-aid for the public library is proposed. The Library Promotion Law and the Law on Budget and Administration of Grants should be amended to oblige the central government to give financial assistance to local public libraries. 4) It is proposed that strategies to encourage private endowments be worked out. Revision of the Law on Tax Reduction and Exemption and the activation of an advisory library committee at each public library are recommended. 5) Funding and utilization of the envisioned Library Promotion Foundation is proposed. Government contributions, contributions from the Culture and Arts Foundation, and donations from individuals, corporations, and enterprises can be considered as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Foundation. 6) It is proposed that the structure of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be consolidated to exercise greater influence over the formation of national policy on the public library system. 7) It is proposed as an ultimate guarantee of the health of the public libraries that the citizenry be educated to strongly support library services in responce to the active services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 PDF

대구부립도서관과 일제의 식민지정책 (Taegu Burip Library and Japanese Colonial Policy)

  • 김남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23
    • /
    • 2001
  • 일제의 도서관정책은 한국인의 독립운동으로 전개된 민족 계몽을 위한 도서관활동을 저지 하고, 관 주도의 도서관을 통한 조선인에 대한 일본문화의 식 민화였다. 대구부립도서관은 일제 가 관 주도로 설립한 한국 최초의 부립도서관이라는 점에서 설립 배경과 활동을 식민지 정책 과 연계시켜 조사, 분석하여 일제의 도서관정책의 허구성과 조선에 대한 식민지 지배구조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도서관사연구, 일제의 식민지정책연구 그리고 대구의 도서관사연 구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정책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국립도서관 운영전략 연구 - 국립세종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nagement Strategy of a National Library for the Policy Information Service: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National Sejong Library)

  • 곽승진;이응봉;장덕현;배경재;김정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11-330
    • /
    • 2011
  • 본 연구는 국립세종도서관의 건립에 따른 운영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도서관 개관 초기부터 차질 없는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국립세종도서관의 비전은 행정정책분야의 특성화 도서관으로 정립하며, 부수적으로 지역 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일반적인 기능과 국립중앙도서관의 분산 보존서고의 역할을 겸하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역할에 충실하도록 본 연구에서는 국립세종도서관의 경영환경을 분석하고, 정책정보서비스 활성화 방안과 장서개발 계획을 제안하였다. 국립세종도서관의 비전과 내외부 환경분석을 위해 도서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하였으며, 정책정보서비스 활성화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서 세종시 이전 부처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수록하였다.

Study on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 Noh, Young-Hee;Ahn, In-Ja;Park, M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29-4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library promotional marketing for the disabled by identifying requirements of public library disability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of library programs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prepare a systematic plan for promoting such library services. Research methods used are a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First, the ratio of respondents with experience promoting activit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was less than 50%. Second, regarding methods for promoting library disability services, the respondents used library homepages, press releases, library user guides, library newsletters, and library pamphlets in that order. Third, when asked what kind of PR media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 providers had experience with and how often they use it, library boards and banners were the most common response. Fourth, suggested improvements to the current design and content of PR materials included: clearer word choice (or greater understandability), more detailed descriptions, simpler layouts, and more interesting or eye-catching content in that order. Fifth,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s which are in the most need of public relations were guide information for library disability services,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 (DOI services and search services), using alternative materials and the library collection, and aiding the information search. Overall, when evaluating the promotion of disability services in Korea, the library's public relations for disabled services needs to improve because currently neither librarians nor the disabled community they are targeting has frequent or quality experience with it. Thus, the policy department for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s must develop a variety of promotional strategies adjusted for each type of the disability and distribute PR materials to service providers individually, making sure to utilize effective PR methods.

주요 국가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정책 연구 (A Study on the National Library Service Policy for the Disabled Persons in Developed Countries: Focusing on the U.S.A., the U.K., and Japan)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5-240
    • /
    • 2007
  •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장애인은 정보접근과 도서관 이용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국가차원에서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강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미와 일본의 국가도서관을 중심으로 장애인서비스를 위한 법제, 조직체계, 지원시스템 등의 정책을 정밀 분석한 다음에 새로 발족한 국립중앙도서관 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의 위상정립 및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이용조사를 통한 공공도서관의 수서정책에 관한 연구 - H도서관 이용자의 2007년 대출기록을 중심으로 - (An Acquisition Policy Study by the Use Survey of a Public Library: Focused on the Analysis of Circulation Records of the H-public Library Users in 2007)

  • 유경종;박일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71-39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H공공도서관의 도서관 온라인 열람목록(OPAC) 시스템에 구축되어 있는 장서와 대출기록 및 이용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공공도서관 운영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H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출이 가능한 단행본 총 57,927권의 서지데이타와 11,871명의 이용자 데이터, 대출기록 27,145건이었다. 대출기록 분석 데이터에서 관계변수로 장서유형, 대출빈도, 대출권수와 대출횟수, 출판년도, 이용요인을 추출하여 상관계수와 비모수검증법 등의 다양한 통계적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 분석 (Feasibility Analysis of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5-26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계법령, 국가정책, 도서관계의 인식도, 실제 수장공간의 측면에서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은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모형이 조속히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 광역시도는 공동보존서고 건립에 문화정책의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