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Infrastructur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독서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Reading Research Trends in Korea's LIS Fields)

  • 김현숙;강보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59-8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년 간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독서 연구 동향을 2000년대와 2010년대로 나누어 키워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을 통해 문헌정보학 분야 4대 학회지에서 수집한 관련 논문 489편의 저자 키워드를 추출하여 NetMiner4를 활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2000년대의 경우 '공공도서관', '독서치료', '독서교육', '학교도서관' 등이 빈도분석,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값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2010년대의 경우 '독서교육', '학교도서관', '어린이', '청소년', '공공도서관'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00년대는 독서 환경과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 도서관 인프라 구축, 독서운동을 통한 독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다면 2010년대에는 2000년대 노력과 연구를 기반으로 이용자 맞춤형 독서 연구와 다양하고 세부적인 독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셋째,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성과 상상력을 갖춘 인간다움의 회복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공공도서관, 학교도서관 등 특정 관종 도서관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다양한 환경과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독서연구와 전문적이고 심도 깊은 학제적 연구, 현장과 학계의 활발한 공동연구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공공도서관의 코로나 이후 지속가능한 운영 방향 모색 연구 -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추진실적 및 시행계획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Operating Direction of Library after Corona: Focusing on the Implementation Performance and Implementation Plan of the 3rd Library Development Plan)

  • 노영희;노지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5-65
    • /
    • 2021
  • 현 코로나 시대 속에도 실제 도서관들은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들로 무엇을 계획하고 활동하고 있을까? 이러한 질문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20년도 시행계획 추진실적, 2021년도 시행계획 내 코로나 관련 동향을 분석하여 공공도서관들의 코로나에 따른 영향 및 변화, 코로나 대응 방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20년도 공공도서관들의 추진상의 문제점들은 크게 코로나19의 전염성으로 인한 도서관 휴관 또는 축소 운영, 예산 삭감 및 예산 한계, 이용자들의 관심 및 참여 저하 문제, 급격한 서비스 변화에 따른 인프라 한계 및 운영상의 한계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계점에 대한 개선조치 및 향후 추진계획으로는 1) 비대면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2) 온라인 기반 서비스 개발 및 제공, 3) 정보자료 및 인프라 확대 및 안정화, 4) 수요 대응을 위한 예산 확충, 5) 코로나 대비 공간 마련, 6) 협업 확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아울러 향후 공공도서관에서는 체계적으로 코로나19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첫째, 하이브리드 형태의 프로그램과 서비스 운영, 둘째, 온라인 및 비대면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확보, 셋째, 예산 활용의 유연성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개인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도서관 역할 정립을 위한 우리나라 도서관 정책 및 성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Korea's Library Policy and Performance to Establish Libraries' Role in Discovering Individuals' Potential)

  • 노영희;곽우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285-30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개인의 가능성 발견과 관련하여 현재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에 발표된 정책을 살펴보고, 해당 정책을 기반으로 중앙행정기관과 시·도 도서관에서 추진한 과제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개인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로 인문·문화 프로그램 등 비대면 서비스 진행 도모, 도서관 휴관 따른 대면행사 축소로 실적이 저조하여 코로나19 대응 비상관리 및 비대면 프로그램 운영 지원체계 구축과 소외 지역 및 소외 계층의 독서문화 사업의 확대 운영을 위한 예산 증액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장기적 양질의 비대면 프로그램 발굴과 비대면 프로그램 운영 위한 인프라 지원,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한 실정임을 파악하였다. 둘째, 소통·토론형 사회적 독서 프로그램은 온라인 강좌 전환 운영이 빠르게 전환될 필요성을 감지했다. 셋째, 이용자 정보접근 편의확대 개선과 국내·외 협의회 간 세미나 운영, 자료 원스톱 공유 시스템 활성화 및 자료의 디지털화 추진,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비 하는 도서관 인프라 확충, 홍보 활성화 등 대외협력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공도서관 계획 특성 연구 (An Analysis of the Design of Public Libraries in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 문은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143-151
    • /
    • 2017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sign of public libraries which act as anchors in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They have been built as city's symbols as well as catalysts to revitalize city centers and urban spaces since the 1990s. This study finds that the public libraries play roles in the urban development as cultural icons, multi-functional spaces, and public domain. This study examines the five examples of the libraries and finds their important design qualities as follow. First, public libraries are planned to symbolize local culture and history as cultural icons. The shapes of public libraries are expressed with sculptured cultural icons, while their facades are designed to signify cities' identities and images. Second, public libraries in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have multi-functional spaces which provide diverse activities and experiences to visitors. The libraries often have galleries and theaters for cultural life, cafes and shops for daily uses, educational facilities, as well as public services, parking, and transport systems that connect to urban infrastructure. Third, the public libraries become the anchors of surrounding public spaces and cultural buildings. The libraries have the sequences of approach from entry plazas, transitional zones, and entrances to lobbies. Especially the transitional zones between the libraries and the cities that are covered with giant cantilevers expand the libraries' space and establish attractive urban spaces. Forth, the libraries employ nature and cityscapes in their design. The surfaces and openings of the libraries are adjusted to allow many attractive views to visitors. Fifth, the libraries have big lobby spaces which are the centers of the buildings as well as the public domain. The lobby spaces are designed as in-door spaces like out-doors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openness that allow the natural flows of light from ceilings, glass walls and vertical voids.

독서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역공동체의식 분석에 관한 연구 - G시를 대상으로 - (The Research of an Analysis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Local Area for Developing Reading Contents: Case of G City)

  • 안인자;황금숙;박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59-285
    • /
    • 2014
  • 문화지체 현상을 겪고 있는 G시에서 지역사회의 문화지체 현상을 극복하고, 지역이기주의를 벗어나는 방안으로 독서문화프로그램과 콘텐츠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정책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독서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역공동체 의식분석과 독서문화콘텐츠 요구사항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 소통의 장으로서의 역할이 강화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G시 시민의 공동체 의식 및 요구사항 분석, 공동체의식 관련 독서콘텐츠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도출된 요구 주제로는 경제부문 주제로 실업, 빈곤, 고령화, 주택문제 순이며, 환경부문에는 환경오염, 에너지, 인권부문에는 장애인, 다문화, 교육부문에는 학교폭력, 사교육, 참교육순이다. 이에 준하여 도서와 영상자료 목록과 초록 221건, 독서문화프로그램 4개가 개발 제시되었다.

정보환경의 변화와 대학도서관의 발전방향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and academic libraries)

  • 강숙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189-219
    • /
    • 1996
  • Information technology will inevitably and profoundly alter every aspect of university life.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creating new patterns in the research and teaching, with networks enhancing information sharing and data transmission. The revolution in information technology requires that universities integrate information technology with their traditional missions of teaching, research, and public service. Enhanced mode of information access and changing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suggest the need for new library services. New technologies have opened up many new services options for libraries. The nature of and potential for new information services suggest that libraries should become better connected with other campus units. Some of these issues will no doubt be addressed by the a n.0, 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and by building campus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 important element of the needed change for enhancing the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is the integration of the libraries and computing centers. Libraries and computing centers deal with the same commodity-information and delivering information. For the sake of scholarship and research, the two must devise an integrated a n.0, pproach to delivering the common commodity. Computing centers have special skills in system development and telecommunications. Libraries have good human interface skills and skills for organizing knowledge. Together they could be a particularly productive team. Noting this, some universities have created new information service units which unify the present-day computing, library and telecommunication functions. Existing models range from true merging to situations where some cooperative activities are being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in developing of information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by examining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and trends of integrating libraries and computing centers. This paper inquires into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the impact of imformation technology on universities and libraries, some casses of integration of academic libraries and computing centers, and effects of integration of two and suggests the developing direction of information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 PDF

작은도서관 설치와 지원을 위한 조례의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Ordinance for Establishment and Support of Small Libraries)

  • 김홍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91-209
    • /
    • 2010
  •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의 설치와 운영을 지원하는 조례의 내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시한 후,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한 조례 25건을 대상으로 조례를 구성하는 항목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대상은 조례의 명칭, 구성 항목, 작은도서관 기능, 설치 기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운영인력, 도서관 운영 규정, 운영위원회 등이다. 그 결과 조례의 구성항목들은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조례도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또한 항목에 있어서도 강제조항보다는 임의조항이 많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지에 따라 설치와 지원의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한계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작은도서관 조례는 지역의 도서관 인프라를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공공성을 담보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지원기준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 PDF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for Utilizing Digital Room in Public Library)

  • 문성빈;김판준;이미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21-350
    • /
    • 2009
  •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 구축사업이 완료된 이후 약 5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디지털자료실의 운영 현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디지털 자료실의 활성화와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무엇보다도 인프라 측면의 보완 및 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향후 운영 방안으로는 크게 디지털자료실 통합운영체계 구축과 디지털자료실 기능 다변화를 추진하여야 한다. 먼저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운영실태 조사 내용과 활성화 전략을 다각도로 검토한 결과, 현 시점에서는 디지털자료실에서 가능한 부문을 위주로 최대한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이 최선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의 기능 다변화는 기존의 디지털자료실 기능에 다양한 유형의 원자료 및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정보의 제작뿐만 아니라 교육 기능, 참고정보서비스 기능, 온라인/오프라인 커뮤니티 형성 및 정보공유 활성화 기능 등을 추가 또는 강화하여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은 단순한 인터넷 정보의 접근 및 이용을 위한 장소에서 사서와 이용자, 이용자와 이용자간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는 물론 정보나 지식의 공유 및 협력활동을 위한 온라인/오프라인 공간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민간투자사업을 통한 학교시설복합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비영리 공공민간협력(n-BPPP)방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ixed-use Educational Facilities by Private Investment - focused on the Non Benefits Public-Private Partnerships -)

  • 박열;양관목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9-26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mprovement of BTL in Educational Facilities applying the concept of n-BPPP(non-Benefits Public-Private Partnerships). The research is based on four of ninety-nine completed projects of Mixed-use Educational Facilities since 2001. Ninety-nine projects are analyzed and categorized to the typology of architectural program. The architectural programs planned are uniform in function, such as gym, swimming pool, library, info-center, parking etc. The public parking is a main program in the BTL projects, where district offices are involved as partner. The difference between BTL and n-BPPP for educational facilities is the business units. The n-BPPP concerns in regional or district units in order to expand public infrastructure facilities based on the network of schools and local community. And the fund for n-BPPP does not come from the government but from the investors. The economic interest is to reinvest on the maintenance of the facilities. The benefits of n-BPPP will be not only for the Governments in terms of social welfare budgets but also for local residents and students in terms of a variety of high-quality public services. The concept of n-BPPP can be an alternative way for the Mixed-use Educational Facilities.

충남대표도서관의 운영성과와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Chungnam Library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a New Leap)

  • 곽승진;노영희;이석형;배관표;강봉숙;김정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9-7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충남도서관이 광역대표도서관으로서 도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서관 서비스를 개발하고, 도내 공공도서관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차 충청남도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1차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의 성과분석, 충청남도 도내 도서관의 진단과 분석, 충청남도 정책환경 분석 및 도서관정책 환경전망 분석을 실시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충청남도 제2차 도서관 발전종합계획의 사명, 비전, 목표, 추진전략 및 실행계획을 제안했다. 먼저, 사명은 '충청남도 도민을 포용하고 미래 지식·문화 가치를 선도한다'로 제안했고, 비전은 '미래의 지식·문화를 이끄는 포용의 공간'으로 제안했으며, 목표는 1)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차별 없는 도서관 환경 구축, 2) 공동체를 포용하는 도서관 서비스, 3) 지식문화 가치를 실현하는 도서관 운영, 4) 미래를 선도하는 도서관 인프라, 5) 공동체 교류·협력 네트워크 강화의 5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