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Interest Activity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5초

학교 복합시설의 운영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시설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school complexes -Based on the cases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 오해진;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8권2호
    • /
    • pp.1-11
    • /
    • 2009
  • The school complex project is driven by public calling for school facilities change due to the social change followed by the aging society and increasing interest in the lifelong education. The school complex project is defined as an activity in which the school facilities and space are not only used for students, but also for the local residents. Since the project was promoted in a link with reform of the education system in 2001, the demand in the expectation effect has been sharply increasing. Despite of the high expectation and attention, the school complex project, however, has been performed in a limit of efficiency. Consequently, public opinion calling for more structured and effective way on construction and administration has been certain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 strong dem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and suggest an approach to, more structured and effective way of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of the school complex project by comparing the success cases in Seoul metropolitan city.

  • PDF

군(軍) 홍보활동이 장병 정신전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방일보 홍보사례 설문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ublic & Media activity's Impact on Enhancing Moral Strength in the Army -On the basis of a Daily Report of National Defense's Analysis on the Survey-)

  • 김기주;양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44-453
    • /
    • 2017
  • 군에서 정신교육의 목적은 투철한 국가관, 안보관, 필승의 군인정신으로 무장된 싸우면 이기는 전사를 육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군에서는 신병교육, 병과 학교교육, 부대교육 등 대상과 기관에 따라 다양한 정신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정신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콘서트식 형식의 문화활동을 접목한 교육 등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신교육은 대부분 국가관, 안보관 지식정보 전달위주의 교육으로 이뤄져 정신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자발적 전투의지를 가진 전사육성에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각급 부대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부대홍보활동을 통해 정신교육이 가진 한계점에 대한 극복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교육학에서 분류하고 있는 정서, 흥미, 태도, 성격, 가치관 등의 정의적 영역을 각급 부대에서 이뤄지고 있는 홍보활동으로 확대한다면 정신교육이 행동으로 표출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2016년 6월부터 7월까지 531명의 장병을 대상으로 부대홍보활동이 장병들의 자긍심과 임무수행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그 결과 부대홍보활동은 장병들의 소속부대에 대한 자긍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자긍심은 부대원들의 임무수행의지 향상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민들과의 소통, 국민들의 신뢰획득을 위해 활용된 홍보활동이 소속부대 장병들의 정신전력 향상, 그 중에서도 행동으로 표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지역문화의 실천을 위한 문화매개자의 역할 연구 : 인천의 스페이스빔, 임시공간, 인천스펙타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e of Cultural Intermediaries for the Practice of Local Culture : Focusing on Space Beam, Space Imsi, Incheon Spectacle in Incheon)

  • 이정은
    • 지역과문화
    • /
    • 제7권2호
    • /
    • pp.1-29
    • /
    • 2020
  • 지역문화진흥법의 시행과 함께 문화매개 영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본 연구자는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활동해 온 문화매개자의 역할을 기술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와 사례 연구를 모색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지역의 문화매개 활동을 지역과 문화를 둘러싼 능동적인 의미 생산 활동으로 의미화하고, 기존의 가치와 인식에 대해 대안적 의미를 생산하고 지역의 문화 공론장을 역동적으로 구성하는 데 기여하는 문화매개자 역할을 조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피에르 부르디외의 개념을 경유하여 지역을 둘러싼 의미 생산에 기여하는 문화매개자의 역할을 이론적으로 검토한 후, 지역과 문화의 매개가 기존의 중앙 집중화된 문화생산 구조에 대해 대안적 의미를 생산하고, 도시재생의 국면에서 지역의 구체성을 드러내는 로컬 기획이 문화 공론장을 역동적으로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논하였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인천에서 활동해 온 로컬 기획자(스페이스빔, 임시공간, 인천스펙타클)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각각의 사례는 1) 주민들과 이슈를 공유하고 지역의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삶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역할 2) 지역의 전문예술 영역을 공적인 장으로 재구성하는 역할 3) 독립출판물을 통해 지역의 일상문화를 드러내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역할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각자의 영역과 관심 속에서 지역의 다양한 면모를 드러내는 과정을 통해 인천에서 문화를 둘러싼 공적 영역의 구성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는 지역문화의 자율성과 다양성의 확보라는 과제를 둔 상황에서, 문화매개자의 역할을 지역에서 대안적 의미를 생산하는 활동주체로 의미화하고 각각의 매개 실천들의 특이성을 분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Organoleptic Quality Assessment of Dairy and Nondairy Products Supplemented with Ginger Oil: A Preliminary Study

  • Kim, Tae-Jin;Seo, Kun-Ho;Chon, Jung-Whan;Youn, Hye-Young;Jeong, Dongkwan;Song, Kwang-Young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110-121
    • /
    • 2022
  • The root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contains gingerol, which is known to be responsible for its pharmacological activity.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ginger has been found to have various pharmacological effects. Thus,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beverages using ginger oil has recently increas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organoleptic quality assessment of cow milk, yogurt, kefir, soy milk, oat milk, and almond milk was conducted by supplementing them with oil extracted from ginger at various concentrations (supplemented with 0.5% increments from 0% up to 2%). A poor grade was obtained in the organoleptic quality evaluation, owing to the strong odor of ginger oil. However,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the samples supplemented with 0.5% ginger oil showed a good grade of organoleptic quality assessment. Therefore, this study is considered valuable as it is the first study to review the organoleptic quality assessment by supplementing milk, yogurt, kefir, soy milk, oat milk, and almond milk with ginger oil. Additionally, in order to improve organoleptic quality assessment, it is critical to estimate how much ginger oil supplementation concentration could be reduced and whether ginger oil exhibits various bio-activities at this concentration.

Disaster Events Detection using Twitter Data

  • Yun, Hong-W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1호
    • /
    • pp.69-73
    • /
    • 2011
  • Twitter is a microblogging service that allows its user to share short messages called tweets with each other. All the tweets are visible on a public timeline. These tweets have the valuable geospatial component and particularly time critical events. In this paper, our interest is in the rapid detection of disaster events such as tsunami, tornadoes, forest fires, and earthquakes. We describe the detection system of disaster events and show the way to detect a target event from Twitter data. This research examines the three disasters during the same time period and compares Twitter activity and Internet news on Google. A significant result from this research is that emergency detection could begin using microblogging service.

Study of complete transparent nano-emulsions which contain oils

  • Kwak, Jong-Im;Kim, Ju-Duck;J, i-Hong-Geu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258-267
    • /
    • 2003
  • Recently inside nano liposome particles or nano-emulsions which contain tough-melting physiology activity materials or the coefficient of low organism utilization promote the coefficient of organism utilization, so this part has been studied a lot because they can absorb selectly cosmetics, specially physiology activity materials, into the skin. Also, in particle size, cells interstitial lipid interval are 30~50nm, so nano-emulsions that the size is similar to 30~50 nm are made to study for absorbing quickly into the skin. And transparent skin which contains oils in common skin lotion dosage form has become the center of public interest. The used nano-emulsions in this study were unsaturated lecithin/co-surfactant! ethanol/ oil / water. And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Dicetyl phosphate/hydrogenated .caster oil/ isoceteth-20/SLS were used in co-surfactant. The used oils were cyclomethicone and caprylic/capric triglyceride. The manufacturing process was that microfluidizer was fixed in 1000bar and transit times were changed from 1 to 10 times. From transparency and particle size, the transparency sequence was SLS>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isoceteth-20> dicetyl phosphate >hydrogenated caster oil and the particle size was small. Specially cyclomethicone nano-emulsions, when we made unsaturated lecithin /SLS /ethanol/water/cyclomethicone, cyclomethicone 5% was good for transparency. And 20% of this was used for making transparent skin toner in common skin dosage form.

  • PDF

노출평가 방법론에 대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Review of Exposure Assessment Methodology for Future Directions)

  • 곽수영;이기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31-137
    • /
    • 2022
  • Public interest has been increasing the focus on the management of exposure to pollutants and the related health effects. This study reviewed exposure assessment methodologies and addressed future directions. Exposure can be assessed by direct (exposure monitoring) or indirect approaches (exposure modelling). Exposure modelling is a cost-effective tool to assess exposure among individuals, but direct personal monitoring provides more accurate exposure data. There are several population exposure models: stochastic human exposure and dose simulation (SHEDS), air pollutants exposure (APEX), and air pollution exposure distributions within adult urban population in Europe (EXPOLIS). A South Korean population exposure model is needed since the resolution of ambient concentrations and time-activity patterns are country specific. Population exposure models could be useful to find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pollutants and adverse health effects in epidemiologic studies. With the advancement of sensor technology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exposure assessment could be applied in a real-time surveillance system. In the future, environmental health services will be useful to protect and promote human health from exposure to pollutants.

공공도서관 직원의 독서활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i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Library Employees)

  • 김서령;박성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71-398
    • /
    • 2016
  • 본 연구는 기업의 독서경영과 문화경영이 직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공공도서관 직원의 독서활동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결과, 이용자 독서모임 참여 정도에 따라 직무자체 만족도, 인간관계 만족도, 자아실현 만족도, 정서적 몰입도, 지속적 몰입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공공도서관 직원의 독서량, 독서시간은 직무자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독서시간은 정서적 몰입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용자 독서모임 참여 기간은 사회적 인식 만족도, 지속적 몰입도, 규범적 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자체 만족도는 독서시간과 정서적 몰입도 간에 완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고, 사회적 인식 만족도는 이용자 독서모임 참여기간과 지속적 몰입도 및 규범적 몰입도 간에 완전매개효과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독서경영 도입을 통한 직원 독서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공공도서관 운영진의 독서경영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며, 직원들의 독서활동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공공도서관은 직원들의 이용자 독서모임에 참여를 도모하고, 담당 직원은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공공도서관 직원들의 적극적인 독서활동을 위한 기관 차원의 지속적인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중국 공익광고에 나타난 공포소구의 시각적 표현 -중국 황하상(黃河奬) 공익포스터를 중심으로- (Visual Representation of Fear Appeals in Chinese Public Service Advertising -Focused on HuangHe Award-winning Public Service Posters-)

  • 타오진;양종훈;이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79-392
    • /
    • 2019
  • 공익광고는 공중의 이익 증대를 목적으로 집행되는 설득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한 형태이다. 공익광고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중의 긍정적인 태도나 적극적인 행동 변화를 실질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광고전략이 구체화 되어야 한다. 중국은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공익광고를 적극적으로 집행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창작에 대한 정부의 통제가 효과 제고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공익광고에 나타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써의 소구방식을 살펴보고 설득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고찰해보고자 했다. 2016년 황하상 수상작 공익광고 포스터 중 공포소구를 활용한 33편을 대상으로 공포소구의 시각적 표현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표현 전략을 구체화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안전운전과 금연캠페인에서 공포소구가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정과 흰색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메인비주얼 표현방법은 '사실적' 형식, '사실적 구상' 형태, '사진' 유형, '암시연상' 및 '과장된 표현'이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공익광고의 제고를 위한 이론적, 실증적 정보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articipation's Status and Promotion Plan of Senior Social Activity Support Project)

  • 현다경;김형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264-278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에 대한 참여 실태와 근로여건을 파악하고, 참여자 특성에 따른 주관적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참여실태 분석 결과, 주로 시설이나 기관을 통해 사업을 알게 되어 공익형에 대다수인 약70%가 참여하고, 단기간 경제적 소득보전이 주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참여 효과성 분석 결과, 사업참여 기간과 시간이 길수록 근로여건 및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참여기간의 신축적 효율적 운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적 여유가 있는 노인일수록 경제적 주관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이 사업이 노년생활에 일정부분 의미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유의미한 변수는 사업참여가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사업의 참여자 특성과 참여 정도 및 실태 등에 따라 노인의 근로여건, 자아존중감, 주관적 만족감 등 참여에 따른 효과성 분석을 통해 향후 노인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개선과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