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physical experiment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초

심물리학적 방법을 이용한 여성의 안락 동작범위 (Joint Angles of Comfort for Females Based on the Psychophysical Scaling Method)

  • 기도형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1-93
    • /
    • 2002
  • This study aims to provide joint angles of comfort for females, based on the psychophysical scaling method. Ten femal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measuring perceived discomfort for varying joint motions.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maintain given joint motions for a minute, and to rate their perceived discomfort for the motions during a minute's rest by using the free modulus method of the magnitude estimation. Joint angles of comfort were calculated from the regression equation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n which levels of joint motion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perceived discomforts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joint angles of comfort for the joint motions investigated were much smaller than full range of motions for corresponding joint motions. The ratios of joint angle of comfort to its range motion for the hip were found to be smallest of all joint motions dealt with in this study, and those for the neck were the largest. In addition, comfortable joint angles for females were much smaller than those for males. It is recommended that when designing or evaluating workplaces ergonomically, different comfortable joint angles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workers' or population's gender.

Magnitude Estimation기법을 이용한 설계대안의 평가 (Evaluating design alternatives based on magnitude estimation)

  • 한성호;정의승;정무영;박성준;곽지영;최필성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13
    • /
    • 1993
  • A psychophysical measurement technique called "magnitude estimation" was used to evaluate several interior design alternatives for a high speed train. Pas- senger activity, seat direction, and passenger age were manipulated by using a three factor withi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During the experiment, two dependent measures, a line length and a numerical estimate for each alternative design were collected to validate the experimental procedures. The results showed that pasnger seat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train was favored nine times more than the opposite. Also, the subjects preferred listening to music in a coach train to the other activities such as reading newspaper, watching a movie, and resting.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a psychophysical technique can be sued in the design of a development process, especially when it is difficult to quantify design variables such as subjective opinion or preference, etc.

  • PDF

외부 부하와 반복에 따른 팔 동작의 심물리학적 자세 부하 (Psychophysical Stress of Arm Motions at Varying External Load and Repetition)

  • 기도형
    • 산업공학
    • /
    • 제17권2호
    • /
    • pp.218-225
    • /
    • 200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ffect of external load and motion repetitiveness on perceived discomfort. An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measuring discomfort scores at varying conditions, in which external load, motion repetitiveness and arm posture were employed as experimental variables. The arm posture was controlled by shoulder flexion and abduction, and by elbow flexion. Fifteen healthy college-age students without history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external load, motion repetitiveness and shoulder posture on discomfor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at elbow postur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discomfort ratings. The effect of external load was much larger than that of any other variables, and that of repetitiveness was second only to external load. Discomfort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linearly as the levels of external load and motion repetitiveness increased. This implies that although they were not fully reflected in the existing posture classification scheme such as OWAS, RULA, etc., the effect of external load and motion repetitivenes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precisely quantifying work load in industry. Based on regression analysis, equivalent values of external load and motion repetitiveness in terms of discomfort scores were provided, which would be useful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degree of their effect on work load.

손목 동작의 반복과 외부 부하에 따른 심물리학적 부하 (Psychophysical Stess Depending on Repetition of Wrist Motion and External Load)

  • 기도형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23-128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 of arm posture, repetition of wrist motion and external load on perceived discomfort. The arm postures were controlled by shoulder flexion, elbow flexion, and ist motions such as flexion, extension, radial deviation and ulnar devia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measure discomfort scores for experimental treatments using the magnitude estimation, in which the L16 orthogonal array was adopted for reducing the size of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effect of the shoulder flexion, repetition of wrist motion and external loa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alpha=0.05$or 0.10, that of the elbow and wrist motions was not. Discomfor ratings increased linearly as levels of wrist repetition and external load increased. This implies that the existing posture classification schemes such as OWAS, RULA, which do not properly consider effect of motion repetition and external load, may underestimate postural load. Based on the regression equation for wrist repetition and external load, isocomfort region indicating the region within which discomfort scores were expected to be the same was proposed. It is recommended that when assessing risk of postures or developing new posture classification schemes, motion repetition and external load as well as posture itself be 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precisely evaluating postural stress.

손끝 부착 형 공기촉감 제시장치의 개발 및 심리 물리학적 실험 (Finger Mounted Pneumatic Tactile Display and Psychophysical Experiments)

  • 김영미;;류제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467-473
    • /
    • 2006
  • 가상환경 또는 실제환경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햅틱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 함에 따라 촉감을 제공 하기 위한 다양한 햅틱 장치가 개발되었고 각 장치의 특성과 성능 평가를 위해 기초적인 정신(심리) 물리학적 연구가 수행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햅틱 인터페이스 중 손가락 끝에 부착하는 형태의 새로운 공기 촉감 제시장치(PTI: Pneumatic Tactile Interface)를 제시하고 이 장치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localization rate, 시간 분해능, 길이 분해능, 강도의 세기 등의 심리 물리학적 실험(Psychophysical Experiment) 수행 결과를 제시한다. 공기촉감 시스템은 50개의 출력까지 확장 가능한 공기촉감 하드웨어로 구성 되어있고 손가락 끝에 부착하는 형태로 구성 하기 위해 5*5의 배열의 디스플레이를 제작하였다. 16명의 피실험자가 A, B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 2가지의 심리물리학 실험을 수행하였다. localization rate의 경우 9개의 다른 자극의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3*3 배열로 구성된 밀집된 디스플레이와 확장된 디스플레이로 측정을 수행하여 각각 58.13%, 85.9%의 localization rate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100번의 반복 실험을 통해 약 2.6mm의 길이 분해능을 얻을 수 있었고 자극 강도 실험의 경우, 실제의 강도가 세짐에 따라 피 실험 자들이 느끼는 강도의 척도도 증가 하며, 강도가 약해 질수록 피 실험 자들이 느끼는 강도 역시 거의 선형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시간 분해능의 경우에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밸브의 성능으로 인해 20ms 이하의 시간 분해능 측정은 제한 되었다. 이러한 심리 물리학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공기촉감 제시장치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데 충분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제안된 시스템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을 제시하였다.

  • PDF

경계선 특성을 고려한 관측자 선호 선예도 개선 방법 (Observer Preferable Sharpness Enhancement Considering Distributions of Edge Characteristics)

  • 홍상기;정재영;김대희;조맹섭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275-278
    • /
    • 2002
  • Sharpness enhancement, which strengthen the edge(high frequency) of image, is widely studied for image processing research area. In this paper, psychophysical experiment is conducted by the 20 observers with simple linear unsharp masking for sharpness enhance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extracted using z-score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suggests observer preferable sharpness enhancement method for digital television.

  • PDF

햅틱 인터렉션을 위한 공기촉감 제시장치의 개발 및 실험 - 손끝 부착 형 공기촉감 제시장치의 개발 및 심리 물리학적 실험 - (Design and Experiments of Pneumatic Tactile Display for Haptic Interaction)

  • 김영미;이안오클리;류제하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19-26
    • /
    • 2006
  • 가상환경 또는 실제 환경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햅틱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촉감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햅틱 장치가 개발되었고 각 장치의 특성과 성능 평가를 위해 기초적인 정신(심리) 물리학적 연구가 수행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햅틱 인터페이스 중 손가락 끝에 부착하는 형태의 새로운 공기 촉감 제시장치(PTI: Pneumatic Tactile Interface)를 제시하고 이 장치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localization rate, 시간 분해능, 길이 분해능, 강도의 세기 등의 심리 물리학적 실험(Psychophysical Experiment)의 수행 결과를 제시한다. 공기촉감 시스템은 50개의 출력까지 확장 가능한 공기촉감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고 손가락 끝에 부착하는 형태로 구성하기 위해 $5{\times}5$의 배열의 디스플레이를 제작하였다. 16명의 피 실험자가 A, B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 2가지의 심리물리학 실험을 수행하였다. localization rate의 경우 9개의 다른 자극의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3{\times}3$ 배열로 구성된 밀집된 디스플레이와 확장된 디스플레이로 측정을 수행하여 각각 58.13%, 85.9%의 localization rate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100번의 반복 실험을 통해 공기촉감제시장치의 길이 분해능을 얻을 수 있었고 자극 강도 실험의 경우, 실제의 강도가 세어짐에 따라 피 실험자들이 느끼는 강도의 척도도 증가하며, 강도가 약해지면 피 실험자들이 느끼는 강도 역시 거의 선형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시간 분해능의 경우에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밸브의 성능으로 인해 20ms 이하의 시간 분해능 측정은 제한되었다. 이러한 심리 물리학적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공기촉감 제시장치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데 충분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제안된 시스템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을 제시할 것이다.

  • PDF

간결함과 명료함을 위한 디스플레이 채도에 따른 밝기의 시각적 특성 연구 (Visual characteristics of brightness according to display saturation for conciseness and clarity)

  • 홍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5-20
    • /
    • 2022
  • 색채는 크게 세 가지 속성인 색상, 명도, 채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색채를 시감적으로 인지하는데 있어서 각 속성을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인지하지 않는다. 채도와 밝기 관련 기존 선행된 연구들은 채도 속성의 순도 정도에 따라 밝기 속성이 다르게 느껴진다는 결과를 유의미하게 얻을 수 있었으나 정신물리학적 실험 대부분이 감산 혼합을 활용한 사례이기에 디스플레이 기반의 색채 인지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 발광 시스템을 보유한 디스플레이 기반에서 채도와 밝기 관련 시각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정신물리학적 실험을 진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가산 혼합 형태의 디스플레이에서 일정한 밝기를 선정한 후 주요 색상의 채도를 조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진행된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감산 혼합과 동일한 결과가 산출되는지 알아보고 색채 인지 특성에 대한 연구 자료로써 유의미 여부를 정의한 후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Resolution of Temporal-Multiplexing and Spatial-Multiplexing Stereoscopic Televisions

  • Kim, Joohwan;Banks, Martin S.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1권1호
    • /
    • pp.34-44
    • /
    • 2017
  • Stereoscopic (S3D) displays present different images to the two eyes. Temporal multiplexing and spatial multiplexing are two common techniques for accomplishing this. We compared the effective resolution provided by these two techniques. In a psychophysical experiment, we measured resolution at various viewing distances on a display employing temporal multiplexing, and on another display employing spatial multiplexing. In another experiment, we simulated the two multiplexing techniques on one display and again measured resolution. The results show that temporal multiplexing provides greater effective resolution than spatial multiplexing at short and medium viewing distances, and that the two techniques provide similar resolution at long viewing distance. Importantly, we observ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olution at the viewing distance that is generally recommended for high-definition tele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