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sp. SW1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유류오염방제를 위한 Pseudomonas sp. SW1로부터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 (Production of Biosurfactant by Pseudomonas sp. SW1 for Microbial Remediation of Oil Pollution)

  • 손홍주;석완수;이건;이상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3-198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유류로 오염된 환경을 생물학적으로 정화하는 방법의 확립을 위하여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세균을 유류오염지역으로부터 분리한 후, 생물계면활성제의 생산에 미치는 각종 환경요인과 분리세균의 hydrocarbon 이용능 등을 조사하였다. 유류로 오염된 해수 및 토양시료로부터 crude oil을 기질로 하여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172개의 균주를 순수분리하였다. 이들중에서 표면장력 감소능이 가장 우수한 SW1을 공시균주로 선정한 후, 형태학적, 배양적 및 생화학적 제반 특성을 조사하여 그 분류학적 위치를 검토한 결과 Pseudomonas속으로 판명되어, 편의상 Pseudomonas sp. SW1로 명명하였다. 각종 탄소원을 이용하여 유화활성 및 표면장력 감소능을 조사한 결과, crude oil과 n-hexadecane에서 비슷한 유화활성 및 표면장력 감소능을 나타내었다.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위한 배지 및 배양조건은 n-hexadecane 2.0%, yeast extract 0.04%, $K_{2}HPO_4$ 0.02%$KH_2PO_4$ 0.03%, $MgSO_4$ center dot $7H_2O$ 0.04%, 30^{\circ}C.$ 및 pH 7.0이었다. 상기실험에서 결정된 조건하에서 공시균을 배양한 결과, 배양 2일 후인 정지기 초기에 생물계면활성제가 가장 많이 생산되었으며, 이때 minimum surface tension은 32mN/m이었다. 또한 본 공시균은 Bunker oils, n-alkanes, branched alkanes등을 기질로 하여 생육할 수 있었다.

  • PDF

Pseudomonas sp. Sw1이 생산하는 Biosurfactant의 조성 및 특성 (Compositional Analysis and Some Properties of Biosurfactant from Pseudomonas sp. SW1)

  • 석완수;임은경;손홍주;이건;이상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1-45
    • /
    • 1999
  • A tentative composition and some properties of biosurfactants, type I and type II, from Pseudomonas sp. SW1 are described. Biosurfactant type I and II are soluble in water, dichloromethane, chloroform, and a mixture of chloroform and methanol, respectively. The UV absorption spectrum of biosurfactants showed three characteristic peaks in the range of 212, 250 and 365nm, respectively. As a result of IR spectroscopy, GC/MS analysis and biochemical analysis, biosurfactant type I was a polymeric biosurfactant containing carbohydrate, lipid and protein. The carbohydrate was characterized as rhamnose. The lipid part consists of $C_{14}-C_{23}$ fatty acid when analyzed by GC/MS. The biosurfactant type II was a rhamnolipid consisting of carbohydrate and lipid.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surfactants Produced by Pseudomonas sp. SW1

  • Suk, Wan-Su;Son, Hong-Joo;Lee, Geon;Lee, Sang-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56-61
    • /
    • 1999
  • Pseudomonas sp. SW1 grew and produced biosurfactants on 3% hexadecane as the energy and carbon source. As a result of biosurfactant synthesis, the surface tension of the medium was reduced from 72 dyne/cm to 30 dyne/cm. The properties of biosurfactants that were purified from Pseudomonas sp. SW1 were investigated. The purification procedure included acid precipitation from culture supernatant, silica gel G60 column chromatography, and Sephadex G-150 gel filtration. The biosurfactants were separated into two different types, viz., types I and II. Biosurfactant type Isignificantly reduced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from 72 to 27 dyne/cm at concentration levels above 30 mg/l.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was reduced to a minimum of approximately 30 dyne/cm by biosurfactant type II at concentration levels over 80 mg/l. The biosurfactants were effective in a wide range of pHs, at NaCl concentrations of up to 4%, at $CaCl_2$ concentration up to 100 mM, and at temperatures up to $200^{\circ}C$ for 8 h.

  • PDF

Pseudomonas sp. MN5의 특성과 망간산화단백질 정제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sp. MN5 and Purification of Manganese Oxidizing Protein)

  • 이승희;박경량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4-90
    • /
    • 2008
  • 충청남도 병천면 일대의 6곳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망간을 산화하는 균주들을 순수분리 하고, 이 중 망간 산화능이 가장 우수한 한 균주를 최종 선별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최종 선별된 균주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16S rRNA 염기 서열분석 등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최종 선별된 균주는 Pseudomonas sp. MN5로 확인되었다. Pseudomonas sp. MN5은 fructose와 maltose를 제외한 다양한 당을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항생제인 kanamycin,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그리고 tetracycline에는 높은 감수성을 보이고, 리튬, 망간, 바륨과 같은 중금속에 대해서는 mg/ml 단위의 높은 내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Pseudomonas sp. MN5의 망간산화 최적 pH는 7.5이고, 망간산화 활성이 proteinase K와 가열처리를 한 시료에서 저해되었다. Pseudomonas sp. MN5가 생성하는 망간산화 단백질을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HiTrap Q FF ion exchange chromatography 그리고 G3000sw $_{XL}$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를 통해서 정제한 결과, 15 kDa, 46.7 kDa 그리고 63.5 kDa의 세종류의 manganese oxidizing protein가 확인되었고, 내부서 열과 N-말단 서열 분석 결과 Pseudomonas sp. MN5가 생성하는 망간산화 단백질은 외막의 porin 단백질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해양미생물 Pseudomonas sp. W7이 생산하는 Extracellular Agarase의 정제 및 Gene Cloning (Purification of Extracellular Agarase from Marine Bacterium (Pseudosmonas sp. W7) and Molecular Cloning of the Agarase Gene)

  • 공재열;배승권
    • KSBB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37-45
    • /
    • 1996
  • 한국의 남해안에서 한천 분해능이 뛰어난 해양 미 생물을 분리하여 통정한 결과 Pseudomonas 속으로 판명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균을 Halophilic P Pseudomonas sp. W7이라 명영하였다. 이 균주는 호염성 세균으로, 한천의 존재 하에서 높은 효소활성 을 가지는 extracellular agarase를 생산해 내었다. 이 extracellular agarase를 DEAE-Cellulose ani- on exchange chromatography와 gel filtration을 통해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agarase는 SDS-PAGE 를 통해 약 89KDa의 분자량을 지니는 single protein band염을 확인하였다. 한편 agarase의 대량생 산을 위하여 host cell Eo coli JM83과 vector pUC19를 이용하여 gene cloning을 행하였다. Pseudomonas sp. W7의 chromosomal DNA가 삽 입 된 균주 중에 서 agarase activity를 나타내는 E. coli JM83/pSWl과 Eo coli JM83/pSW3를 선멸하 였으며, 전기영통 실험결과 이들은 각각 307Kb, 3.0 K Kb의 chromosomal 단편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 다. 또한 agarase 유전자가 압입된 변이 균주(B)는 inclusion body 형태의 interacellular agarase를 세포 내에 축적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Cloning,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and Enzymatic Properties of a Lipase from Pseudomonas sp. SW-3

  • An, Sun-Young;Kim, Sang-Wan;Park, Yong-Lark;Joo, Woo-Hong;Lee, Young-C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1권2호
    • /
    • pp.95-101
    • /
    • 2003
  • The lipase gene (lipA) and its activator gene (lipB) of Pseudomonas sp. SW-3 were cloned and sequenced. The lipB was found to be present immediately downstream of lipA.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lipA and lipB showed a high level of homology to those of other lipases belonging to the family I.1 of bacterial lipases. When lipA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using T7 promoter, an active lipase was produced in cells carrying both lipA and lipB, but not in cells harboring only lipA. Recombinant lipase (rPSL) overproduced in an insoluble form was solubilized in the presence of 8 M urea, purified in a urea-denatured form and refolded by removing urea in the presence of the Ca$\^$2+/ ion. rPLS had maximum activity at pH 8.0 and 50$^{\circ}C$, was stable at pHs from 7.0 to 9.0 and below 50$^{\circ}C$, and showed the highest activity toward the p-nitrophenyl ester of palmitate (Cl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