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sp.

검색결과 729건 처리시간 0.023초

페놀분해세균인 Pseudomonas sp. EL-04J로부터 Trichloroethylene 분해효소의 확인 (Confirmation of Trichloroethylene-Degrading Enzyme from a Phenol-Degrading Bacterium, Pseudomonas sp. EL-04J)

  • 박근태;김호성;손홍주;이건;박성훈;이상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61-565
    • /
    • 2002
  • Pseudomonas sp. EL-041는 페놀로 적응된 활성오니로부터 분리되었으며, 페놀을 분해할 수 있는 동시에 trick-loroethylene(TCE)을 공동대사할 수 있는 세균이다. 본 연구에서는 Pseudomonas sp. EL-041에서 발현되는 trick-loroethylene 분해효소의 종류를 효소활성 측정 및 specific phenol oxygenase gene의 DNA sequencing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본 균주의 trichloroethylene 분해효소는 monooxygenase였으며, phenol hydroxylase로 추정되었다.

Pseudomonas sp. P2에 의한 절연류 내의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의 분해 (Biodegrad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within Insulating Oil by Pseudomonas sp. P2)

  • Kim, Jung-Ho;Choi, Sang-Ki;Kim, Young-Ho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
    • /
    • 1996
  •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의 생물학적 처리가 시도되고 있으며, PCBs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기된 절연유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하여 PCBs를 분해하는 균을 분해하였으며, 분해된 균을 이용하여 절연유 내의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 분해를 회분식 실험에서 연구하였다. 대구의 신천으로부터 유일한 탄소원으로 Biphenyl을 포함하고 있는 고체배지에서 PCBs를 분해할 수 있는 Pseudomonas sp. P2 균주를 분해하였다. PCBs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 유화제 alkyl aryl ethoxylated phosphate가 200 mg/L에서는 Pseudomonas sp. P2 균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000 mg/L의 Biphenyl과 PCBs에 Pseudomonas sp. P2를 접종하여 160시간 배양후에 Biphenyl과 PCBs의 분해가 각각 97.5%, 58.0%였다. Biphenyl 1000 mg/L에서 최대성장율($\mu_{max}$)은 0.34 $day^{-1}$, 0.26 였다. 따라서 염소가 결합되지 않은 Biphenyl는 염소가 결합된 PCBs보다 분해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또한 Pseudomonas sp. P2는 Biphenyl과 PCBs의 분해로 부터 유도된 황색의 분해대사산물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seudomonas sp. P2 균주가 절연유 내의 PCBs를 분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oluene내성세균 Pseudomonas sp. BCNU 154을 이용한 방향족화합물의 분해 (Biodegrada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by Toluene-tolerant Pseudomonas sp. BCNU 154)

  • 성은미;정영기;이호원;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15-721
    • /
    • 1999
  • 분리된 toluene내성세균 Pseudomonas sp. BCNU 154을 생물분해반응에 적용하고저 그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방향 족화합물 16개을 대상으로 저화능을 조사한 결과 cumene, cyclohexane, ethylbenzene, p-xylen, m-xylen, toluene 그리고 diphenylether가 공시균쥬에 의해 자화됨이 확인 되었다. Pseudomonas sp. BCNU 154는 toluene, ethylbenzene 그리고 p-xylen 그리고 cumene을 호기적으로 분해하였다. Touene은 12시간후에 완전히 분해되었고, p-xylene과 cumene은 12시간배양시 90% 분해되었으며, ethylbenzene은 12시간 배양시 75%가 분해되었다.

  • PDF

생물 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Pseudomonas sp. Z1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 Producing Pseudomonas sp. Z1)

  • 장동호;고은정;박경량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4-140
    • /
    • 2011
  • 대전일원의 유류오염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원유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총 145균주를 순수분리 하였고, 이중 생물 계면활성제 생성능이 가장 우수한 한 균주를 최종 선별하여 형태 및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로 확인되어 Pseudomonas sp. Z1이라 명명하였다. 최종 선별된 Pseudomonas sp. Z1은 클로람페니콜과 암피실린 등의 항생제와 리튬, 망간, 바륨 등의 중금속에 대해 강한 내성을 갖고 있었고,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pH 6.0-7.0으로 확인되었다. Pseudomonas sp. Z1이 생성하는 생물 계면활성제는 배양 10시간 이후부터 배양액의 표면장력이 급격히 감소해, 배양 21시간 후에 최대 28 dyne/cm까지 감소되었고, 2% 이상의 NaCl을 첨가한 경우 배양액의 생물계면활성제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적조생물 살조세균 탐색 II. 적조생물 Prorocentrum micans 살조세균 Pseudomonas sp. LG-2의 분리와 살조특성 (Isolation of Marine Bacteria Killing Red Tide Microalgae II. Isolation and Algicidal Properties of Pseudomonas sp. LG-2 Possessing Killing Activity for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cans)

  • 이원재;박영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52-858
    • /
    • 1998
  • 1996년 7월 마산만의 해수를 0.8 $\mu$m filter에 여과한 여과액과 f/2배지에서 배양한 P. micans와의 혼합배양액에서 P. micans를 사멸시키는 해양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의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 검사와 균체지방산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속으로 동정되어 Pseudomonas sp. LG-2로 명명하였으며, 그 살조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Pseudomonas sp. LG-2의 개체수와 배양여과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P. micans의 사멸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1.3\times10^5,\;1.3\times10^6$ cells/ml의 농도로 접종한 시험관의 P. micans는 급격히 감소하여 배양 7일 후에는 $10^2$ cells/ml 이하로 사멸되었다. 또한, 배양석과액의 최종농도가 $30\%$일 경우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배양 3일 후 거의 사멸하였다. Pseudomonas sp. LG-2의 성장시기에 따른 배양여과액의 사멸효과는 잠복기의 경우 P. micans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대수증식기 중기의 배양여과액은 접종 5일 후 P. micans의 개체수를 1/2로 감소시켰으며, 정상기의 배양여과액은 접종 후 급격히 감소시켜 배양 3일 후 대부분 사멸시켰다. Alexandrium tamarense, Prorocentrum micans, Scrippsiella trochoidea, Gymnodinium sanguineum, Cochlodinium polykrikoides의 5종의 적조원인 편모조류에 대한 Pseudomonas sp. LG-2의 살조특이성은 P. micans와 S. trochoidea에 살조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Pseudomonas sp. HJ에 의한 포도당으로부터 Poly(3-Hydroxybutyric-Co-3-Hydroxyvaleric) Acid의 생합성에 대한 보조기질의 영향 (Effect of Cosubstrate on tile Production of Poly(3-Hydroxybutyric-Co-3-Hydroxyvaleric) Acid from Glucose by Pseudomonas sp, HJ)

  • 손홍주;고명선이상준
    • KSBB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586-592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단일 탄소원인 포도당으로부터 P PHA를 생산하는 콩시균 Pseudomonas sp. HJ를 보다 정확하게 동정하기 위하여 수치분류를 실시하 였으며, 또한 보조기질을 첨가하였을때의 PHB/HV 합성 양상을 검토하였다. Pseudomonas sp. HJ는 각 대조균주들중에서 Pseudomonas picketti와 가장 유 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78.8%). 그러나 수치 분류에 서 통일 균종에 포함될 수 있는 유샤도는 85 % 정도인 것으로 얄려져 있으므로, 본 공시균 P Pseudomonas sp. HJ는 Pseudomonas 속의 다른 종 (species)이거나 새로운 종(species)일 가능성이 높 았다. 보조기 질로 hexadecane과 propionic acid를 각각 0.4%씩 첨가했을 경우, 농도증가에 비례하여 H HV 함량은 점차 증가하여 각각 60.8 mol%, 44.9 mol%까지 축적되었다. PHB/HV내의 HV 함량은 p propionic acid냐 hexadecane의 농도를 달리하여 첨가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었다. 보조기질로 propl- onic acid 0.2 %를 대수기 중기 인 배양 18시간에 첨 가하였을때 균체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으나, HV monomer의 비율은 대수기 말기인 배양 24시간대에 첨가하였을때 49.6 mol%로 가장 높았다.

  • PDF

pKT230 벡터를 이용한 Pseudomonas sp. P20의 2,3-Dihydroxybiphenyl Dioxygenase 유전자의 클로닝

  • 김지영;김치경;가종억;민경희;박용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57-663
    • /
    • 1996
  • Pseudomonas sp. P20 isolated from the polluted environment is capable of degrading biphenyl and 4-chlorobiphenyl. The pcbABCD genes responsible for degradation of biphenyl and 4-chlorobiphenyl were cloned using pBluescript SK(+) from the chromosomal DNA of Pseudomonas sp. P20 to construct pCK1 and pCK102, harbouring pcbABCD and pcbCD, respectively. The 2, 3-DHBP dioxygenase gene, pcbC, was cloned again from pCK102 by using pKT230 which is known as a shuttle vector and pKK1 hybrid plasmid was constructed. The E. coli KK1 transformant obtained by transforming the pKK1 into E. coli XL1-Blue showed 2, 3-DHBP dioxygenase activity. The specific 2, 3-DHBP dioxygenase activity of E. coli KK1 was similar to that of the E. coli CK102, but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natural isolates, Pseudomonas sp. DJ-12 and Pseudomonas sp. P20.

  • PDF

Pseudomonas sp. MN5의 특성과 망간산화단백질 정제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sp. MN5 and Purification of Manganese Oxidizing Protein)

  • 이승희;박경량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4-90
    • /
    • 2008
  • 충청남도 병천면 일대의 6곳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망간을 산화하는 균주들을 순수분리 하고, 이 중 망간 산화능이 가장 우수한 한 균주를 최종 선별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최종 선별된 균주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16S rRNA 염기 서열분석 등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최종 선별된 균주는 Pseudomonas sp. MN5로 확인되었다. Pseudomonas sp. MN5은 fructose와 maltose를 제외한 다양한 당을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항생제인 kanamycin,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그리고 tetracycline에는 높은 감수성을 보이고, 리튬, 망간, 바륨과 같은 중금속에 대해서는 mg/ml 단위의 높은 내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Pseudomonas sp. MN5의 망간산화 최적 pH는 7.5이고, 망간산화 활성이 proteinase K와 가열처리를 한 시료에서 저해되었다. Pseudomonas sp. MN5가 생성하는 망간산화 단백질을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HiTrap Q FF ion exchange chromatography 그리고 G3000sw $_{XL}$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를 통해서 정제한 결과, 15 kDa, 46.7 kDa 그리고 63.5 kDa의 세종류의 manganese oxidizing protein가 확인되었고, 내부서 열과 N-말단 서열 분석 결과 Pseudomonas sp. MN5가 생성하는 망간산화 단백질은 외막의 porin 단백질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수종의 식물생장촉진 근권미생물의 분리 및 근권처리가 오이와 토마토 플러그묘의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Selection and Bacterialization into Rootzone of the Various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in Peatmoss Compost on the Early Growth of Cucumber and Tomato Plug Seedlings)

  • 조자용;김광수;정순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1-160
    • /
    • 1997
  • Azospirillum sp., photosynthetic bacteria(Rhodopseudomonas sp.) and Pseudomonas sp. were separated and screened from soil and soilless culture, and identificated. The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root-infected pathogens and plant growth promoting effects of the cultured solution of the starins(5.0$\times$105 cells/$m\ell$) in the peatmoss compost on the early growth of cucumber and tomato seedling were investigated. Azospirillum sp. and Pseudomonas sp. showed a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Fusarium sp., Pythium sp. and Rhizoctonia sp in thed ranges of 51.0% to 72.0% on potato dextrose agar medium, however photosynthetic bacteria had not antifungal activities. When cultured solution of Azospirillum sp., photosynthetic bacterial and Pseudomonas sp. were bacterialized by mixing with peatmoss compost, early growth of cucumber and tomato in terms of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leaf area, root length, fresh anf dry weight of leaf, stem and root were promoted, especially photosynthetic bacteria had a the best plant growth promting activities.

  • PDF

여수주변해역에서 분리한 유류분해세균 Pseudomonas sp. BCK-1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Oil Degrading Bacterium Pseudomonas sp. BCK-1 Isolated from the Coastal Water of Yosu, Korea)

  • 구헌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5-150
    • /
    • 2001
  • 한국 남해안 유류 오염지역인 전남 여수시 소리도 지역 해수로부터 유류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으며, Pseudomonas sp. BCK-1으로 명명하였다. 균성장에 대한 최적배양온도, pH, NaCl 농도는 각각 $30^{\circ}C$, 7.0, $3\%$(w/v)였으며, $2\%$ (w/v) arabian light crude oil과 bunker C oil을 기질로 72시간 및 168시간 배양한 결과 arabian light crude oil는 $92\%$ (w/w), bunker, C oil은 $72\%$ (w/w)가 각각 생분해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