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putida C-5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초

Peudomonas putida H-5에 의한 포름알데히드의 생분해 (Biodegradation of Formaldehyde by Peudomonas Putida H-5)

  • 류병호;임복규
    • KSBB Journal
    • /
    • 제8권1호
    • /
    • pp.36-41
    • /
    • 1993
  • 본 연구는 포름알데히드를 분해하는 균주를 하천의 진흙에서 6종 분리하고 그 중에서 포름알데히드의 분해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인 H-5을 분리동정하여 Pseudomonas putida H-5라고 명명 하였다. Pseudomonas putida H-5의 최적 생장조건은 온도 $30^{\circ}C$, pH 7.0이었고, 포름알데히드는 0.02~0.04% 의 농도에서 가장 분해가 잘 되었고, 기질로는 glucose가 가장 우수하였다. Pseudomonas putida H-5에 의하여 포름알데히드는 메탄올과 개미산으로 분해되며 이는 균주의 생육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카페인 분해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ffeine Degrading Bacteria)

  • 류병호;주신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5-220
    • /
    • 1992
  • Caffeine을 기질로 이용할 수 있는 균을 토양과 폐수에서 7종을 분리하고 그중 카페인 분해능이 가장 좋은 KS-5를 동정하여 Pseudomonas putida KS-5라고 명명하였다. P. putida KS-5의 생장 최적조건은 온도 $30^{\circ}C$, pH 7.0이었고 카페인 농도는 1.0%였다. P. putida KS-5는 plasmid DNA가 존재하였으며, 카페인 분해유전자가 plasmid에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들 분해유전자의 유전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curing test와 transformation에 필요한 marker를 찾아본 결과 각종 항생물질에 대하여 내성이 있었다.

  • PDF

Naphthalene을 분해하는 Pseudomonas putida N3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putida N3 Degrading Naphthalene)

  • 고영희;하일호;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9-204
    • /
    • 1988
  • Naphthalene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균을 분식 배양과 연속식 배양에 의해서 토양과 폐수로부터 분리하였다. 이 균은 Pseudomonas putida로 동정되었으며,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7.0과 3$0^{\circ}C$ 이었다. 분리된 균은 1,5-dihydroxynaphthalene을 naphthalene보다 더욱 잘 이용하였으며 benzoate와 salicylate도 이용하였다. 또한 catechol dl meta-분해경로를 통해서 분해되었으며, ampicillin, chloramphenicol, kanamycin, streptomycin에 대해서 강한 저항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naphthalene의 분해에 관여하는 약 110kb 크기의 plasmid를 1개 지니고 있었다.

  • PDF

Benzoate와 Catechol을 분해하는 Pseudomonas putida Z104의 분리 및 분해특성 (Isolation of Pseudomonas putida Z104 and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Benzoate and Catechol)

  • 김기필;김준호;김민옥;박정아;정원화;김치경
    • 환경생물
    • /
    • 제18권3호
    • /
    • pp.307-313
    • /
    • 2000
  • 석유화학 공업으로부터 생산되는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질들은 여러 가지 산업과정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자연계에 오염될 때에는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환경 오염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 물질의 미생물 분해는 산화반응에 의한 benzene고리의 개환으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이 개환 작용을 갖는 미생물의 분리와 함께 그 분해 기능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천 화학공업단지 폐수로부터 benzoate와 catechol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에 대하여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여 생화학적 특성과 세포 지방산 분석에 의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putida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 균주를 Pseudomonas putida Z104라 명명한 후, benzoate와 catechol의 분해과정을 검토하였다. Pseudomonus putida Z104의 catechol분해능에 대하여 환경요소의 영향을 실험한 결과, 3$0^{\circ}C$와 pH 7.0 그리고 0.5mM의 농도에서 왕성한 세포의 생장과 catechol의 분해능을 보였으다. 그러므로 Z104 균주는 benzoate를 연속적으로 완전분해시키는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활용가치가 있는 균주라고 판단된다.

  • PDF

Pseudomonas sp. S-47로부터 5-Chloro-2-Hydroxymuconic Semialdehyde Dehydrogenase를 암호화하는 xylG 유전자의 클로닝 및 염기서열 분석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xylC Gene Encoding 5C-2HMS Dehydrogenase from Pseudomonas sp. S-47.)

  • 박송이;이동훈;김영수;이경;김치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14
    • /
    • 2002
  • Pseudomonas sp. S-47은 xylXYZLTE 유전자에 의하여 암호화되는 효소군에 의하여 4CBA를 분해하여 5-chloro-2-hydroxymuconic semialdehyde(5C-2HMS)를 생성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5C-2HMS의 다음 분해과정을 확인하였다. xylXYZLTE 유전자와 5-chloro-2-hydroxymuconic semialdehyde dehydrogenase(5C-2HMSD)를 암호화하고 xylG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균주인 pCSS202로부터, xylG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pENV5를 만들었다. 이 플라스미드는 2-hydroxymuconic semialdehyde, 3-chloro-muconate, 2-hydroxy-6-oxohepta-2,4-dienoate, 2-hydroxy-5-methylmuconic semialdehyde와 같은 aromatic compound 에서 분해능을 나타냈으며, 그 중 5C-2HMS에서 가장 높은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5C-2HMSD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인 xylC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약 1,600 bp의 염기와 486개의 amino acid residue를 갖고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P. sp. S-47의 xylG 유전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 P. putida CF600, P. putida G7과 P. putida mt-2 등의 5C-2HMS dehydro-genase와 85% 이상의 amino acid homology를 보여주었다.

Molecular Structure of PCR Cloned PHA Synthase Genes of Pseudomonas putida KT2440 and Its Utilization for Medium-Chain Length Polyhydroxyalkanoate Production

  • Kim, Tae-Kwon;Shin, Hyun-Dong;Seo, Min-Cheol;Lee, Jin-Nam;Lee, Y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182-190
    • /
    • 2003
  • A new phaC gene cluster encoding polyhydroxyalkanoate (PHA) synthase I PHA depolymerase, and PHA synthase II was cloned using the touchdown PCR method, from medium-chain length (mcl-) PHA-producing strain Pseudomonas putida KT2440.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cloned phaCl gene was analyzed, and the phylogenic relationship was compared with other phaCl genes cloned from Pseudomonas species. The cloned phaCl gene was expressed in a recombinant E. coli to the similar level of PHA synthase in the parent strain P. putida KT2440, but no significant amount of mcl-PHA was accumulated. The isolated phaCl gene was re-introduced into the parent strain P. putida KT2440 to amplify the PHA synthase I activity, and the recombinant P. purida accumulated mcl-PHA more effectively, increasing from 26.6 to $43.5\%$. The monomer compositions of 3-hydroxylalkanoates in mcl-PHA were also modified significantly in the recombinant P. putida enforcing the cloned phaCl gene.

Evidence of Indigenous NAB Plasmid of Naphthalene Degrading Pseudomonas putida PpG7 Strain Implicated in Limonin Degradation

  • Ghosh, Moushumi;Ganguli, Abhijit;Mallik, Meenakshi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5호
    • /
    • pp.473-479
    • /
    • 2006
  • A well characterized naphthalene-degrading strain, Pseudomonas putida PpG7 was observed to utilize limonin, a highly-oxygenated triterpenoid compound as a sole source of carbon and energy. Limonin concentrations evidenced a 64% reduction over 48 h of growth in batch cultures. Attempts were made to acquire a plasmid-less derivative via various methods (viz. Ethidium Bromide, SDS, elevated temperature & mitomycin C), among which the method involving mitomycin C ($20{\mu}g/ml$) proved successful. Concomitant with the loss of plasmid in P. putida PpG7 strain, the cured derivative was identified as a $lim^-$ phenotype. The $lim^+$ phenotype could be conjugally transferred to the cured derivative. Based on the results of curing with mitomycin C, conjugation studies and presence of ndo gene encoding naphthalene 1,2 dioxygenase, it was demonstrated that genes for the limonin utilization were encoded on an 83 kb indigenous transmissible Inc. P9 NAH plasmid in Pseudomonas putida PpG7 strain.

Pseudomonas putida에서 부분정제한 Guanosine Triphosphate Cyclohydrolase 의 특성에 관한 연구 (Partial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Guanosine Triphosphate Cyclohydrolase from Pseudomonas putida : GTP cyclohydrolase from pseudomonas)

  • 김완기;임정빈
    • 미생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1-209
    • /
    • 1982
  • An enzyme, named GTP cyclohydorlase, that catalizes the hydrolytic removal of carbon No.S of GTP has been partially purified from extracts of Pseudomonas putida (IAM 1506). The enzyme exists in two molecuar weight forms : a high molecular weight form (150,000) and a low molecular weight from (40,000). The high molecular weight form has been purified 25-fold. Some of the properties of the enzyme are as follows : It functions optimally at pH8.0, and at $52^{\circ}C$. The Km value for GTP is $20{\mu}M$. Divalent cations $(Cd^{2+}\;and\;Hg^{2+})$ 2+/) at a concentration of 5mM inhibit completely the enzyme activity. No metal ion including $Mg^{2+}$ is needed for the catalysis. The enzyme is heat labile ; its half at $57^{\circ}C$ is 1.5 min. Of a number of nucleotides tested, only GDP was used to any extent as substrbte in place of GTP. One of the products of the enzyme is determined to be a dihydro-neopterin compound.

  • PDF

Pseudomonas putida에서 분리한 SAL 플라스미드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SAL plasmid isolated from Pseudomonas putida)

  • 김희윤;임영복;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6
    • /
    • 1987
  • 분리한 살리실산 자화세균 중 플라스미드블 갖는 세 균주를 션별하였다. 세 균주, KU801(pKUs, pKUS) , KUS03(pKU6 pKU9), KUS06(pKU7, pKU10)는 각각 두 개씩의 플라스미드플 가지고 있음이 전기갱동에 의해 밝혀졌고, Pseudomoηas putida로 동정되었다. 세 문주들은 모두 암피실린, 터l트라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등의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지니며, 조사 된 방화족과 지방족 탄화수소들 중 삼리실산과 그의 중간 대사물인 카터1콜만을 이용하있다. 큰 분자량의 플라스비드(pKUS, p pKU6, pKU7)는 마이로마이신 C로 처리하였을때 큐어되며 그 빈도는 각각 0.40%, l,67%, 0.7S% 이었다. 큐어된 균주는 상리실산을 분해하지 못하였으나, 여전히 야생균주와 동일한 항생제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살리실산 분해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그들 플라스미드에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pKU5와 pKU6의 분자량은 103, SMd, pKU7의 분자량은 101Md으로 측정되었다. SAL 플라스미드인 pKU5, pKU6, pKU7은 접합에 의해 P.putida와 P.aeruginosa로는 전달되었으나, E. coli에서는 발현되지 아니하였다.

  • PDF

Pseudomonas putida BJ10의 Tetrachloroethylene (PCE) 분해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etrachloroethylene (PCE) Degradation by Pseudomonas putida BJ10)

  • 최명훈;김재수;이상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11-316
    • /
    • 2008
  • BTEX 분해능을 가진 BJ10세균을 이용하여 호기조건에서 toluene 첨가 시 tetrachloroethylene (PCE) 분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BJ10은 형태학적 특징, 생리 생화학적 특징,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및 지방산 분석 결과에 따라 Pseudomonas putida로 동정되었다. BJ10의 PCE 저농도 5 mg/L에서 PCE 분해 실험 결과(toluene 첨가 기질 농도 50mg/L, 균초기 접종농도 1.0g/L, 온도 $30^{\circ}C$, pH7 그리고 DO $3.0{\sim}4.2\;mg/L$), 10일간 52.8%의 분해 효율을 보였으며, PCE 분해 속도는 5.9 nmol/hr로 나타났다. 또한 BJ10의 PCE 고농도 100 mg/L에서 PCE 분해 실험 결과 (toluene 첨가 기질 농도 50 mg/L, 균 초기 접종 농도 1.0 g/L, 온도 $30^{\circ}C$, pH 7 그리고 DO $3.0{\sim}4.2\;mg/L$), 10일간 20.3%의 분해 효율을 보였으며, PCE 분해 속도는 46.0 nmol/hr로 나타났다. Toluene 첨가 농도에 따른 PCE 분해 효율 증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동일한 배양 조건하에 10 mg/L의 PCE에 toluene ($5{\sim}200\;mg/L$)을 첨가하여 분해 실험을 실시한 결과, toluene 200 mg/L 첨가시 10일간 57.0%의 PCE가 분해되어 가장 높은 제거 효율을 보였다. 또한 PCE 5.5 mg/L(총 7.6 mg/L)를 추가적으로 주입하여 동일조건하에서 PCE 분해를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8일 동안 63.0%의 PCE가 분해되었다. 이 때의 PCE 분해 속도는 13.5 nmol/hr로 초기의 분해속도(8.1 nmol/hr)보다 증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