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blennius percoide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동대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돌팍망둑(Pseudoblennius percoide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Pseudoblennius percoides (Pisces; Cottidae)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of Dongdae Bay)

  • 허성회;곽석남;김하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53
    • /
    • 2008
  •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동대만의 잘피밭에서 채집된 돌팍망둑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돌팍망둑의 주요 먹이는 어류 및 새우류였으며, 그 외, 곤쟁이류, 단각류 (옆새우류 및 카프렐라류), 요각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및 게류등이 소량 섭식되었다. 돌팍망둑은 초기에는 요각류와 단각류를 많이 섭식하였으나, 성장함에 따라 어류와 새우류의 섭식율이 점차 증가하였다. 돌팍망둑은 계절에 관계없이 새우류 및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체장별 및 계절별 dietary breadth는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Cytogenetic Study of Pleuronectes obscurus, Konosirus punctatus and Pseudoblennius percoides

  • Kim, Eun-Mi;An, Hye-Sook;Park, In-Se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1호
    • /
    • pp.24-29
    • /
    • 2007
  • Our objective was to clarify the cytogenetic characteristics, including karyotypes, cellular DNA content, and nuclear size of erythrocytes, of black plaice Pleuronectes obscurus, dotted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and perch sculpin Pseudoblennius percoides, collected from the coastal areas of Jo Island, Busan, Korea. Karyotypes of P. obscurus and K. punctatus both had a diploid number of 48 and a fundamental number (FN) of 48, with a chromosome formula of 48T. The karyotype of p. percoides had a diploid number of 46 and FN of 56, with a chromosome formula of 10SM +36T. No sex-associated heteromorphic pairs were detected for any species. The variation in DNA values (P. obscurus=1.15 pg/nucleus, K. punctatus=1.56pg/nucleus, P. percoides=1.11 pg/nucleus) was positively related to variation in chromosome FN.

Length-weight Relationships for 19 Fish Species in Sargassum Beds of Gamak Bay, Korea

  • Yoon, Ho-Seop;Choi, Sang-Du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3호
    • /
    • pp.254-256
    • /
    • 2010
  • Length-weight relationships were estimated for 19 fish species in sargassum beds of Gamak Bay: Aulichthys japonicus, Pseudoblennius cottoides, Pseudoblennius percoides, Ditrema temmincki, Acanthogobius lactipes, Chaenogobius heptacanthus, Cryptocentrus filifer, Pterogobius elapoides, Pterogobius zonoleucus, Hyporhamphus sajori, Hexagrammos agrammus, Rudarius ercodes, Lateolabrax japonicus, Pholis crassispina, Pholis nebulosa, Scomber japonicus, Sebastes inermis, Ernogrammus hexagrammus, and Takifugu niphobles. Samples were caught by surrounding net at depths of <7 m between November 2007 and June 2008. The most abundant families were Gobiidae (26.3%), Cottidae (10.5%), and Pholididae (10.5%). Estimates for parameter b of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W=$aL^b$) ranged between 2.491 and 3.354.

진동만 잘피발과 인근 잘피가 없는 해역의 어류군집 비교 (Comparisons of Fish Assemblages Associated with Eelgrass Bed and Adjacent Unvegetad Habitat in Jindong Bay)

  • 곽석남;허성회;최창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9-128
    • /
    • 2006
  • 진동만 다구리 잘피밭과 인근 잘피가 없는 해역의 어류군집을 비교하기 위해서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소형 빔 트롤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우점하였던 쥐노래미, 감성돔, 농어, 베도라치, 흰베도라치, 주둥치, 문절망둑, 그리고 실양태가 우점하였다. 특히 감성돔과 농어는 잘피밭에서 문절망둑과 실양태는 잘피가 없는 해역에서 많이 출현하였다. 청보리멸, 산호해마, 복섬 및 돌팍망둑, 실고기, 흰꼬리볼락 및 볼락 등은 잘피밭에서만, 양태 및 날개망둑 등은 잘피가 없는 해역에서만 출현하였다. 본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어류는 대부분이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잘피밭이 작은 크기의 어종들에게 좋은 성육장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어류군집은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였는데, 출현 종수는 2002년 5월에, 출현 개체수는 2002년 4월에서 7월 사이에 아주 높았다. 한편 생체량은 2002년 4월과 7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대체적으로 겨울철에는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낮았다. 잘피밭과 잘피가 없는 인근해역의 어류 군집을 비교해보면,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잘피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잘피밭은 잘피가 밀생되어 있어서 먹이 이용 가능성 및 포식자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서식처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주요 우점종의 체장분포에서도 두 서식처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거제도 구조라와 거제만 연안에서 소형 beam trawl로 채집된 치어와 미성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Juvenile and Immature Fishes Collected by a Small Beam Trawl on the Coasts of Gujora and Geoje Bay on Geoje Island, Korea)

  • 이대희;김병기;김태진;이소정;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5-144
    • /
    • 2011
  • 거제도 구조라 사질 연안과 거제만 치어와 미성어의 종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구조라에서 2005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거제만에서 2006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매월 1회 소형 빔트롤 (beam trawl)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구조라 사질 연안에서 조사 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6목 14과 20총, 224개체, 534.9 g 이었다. 주요 어종으로는 날개망둑, 황매퉁이, 돌팍망둑, 바닥문절, 날돛양태, 별넙치 등이 많이 채집되었으며, 이들 6종은 총 개체수의 83.9%를 차지하였다. 생체량에 있어서는 전체 생체량의 47.1%를 차지하였다. 거제만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4목 8과 14종, 1,406개체, 1,899.7 g 이었다. 주요 어종으로는 줄망둑, 양태, 점망둑, 문절망둑, 꾹저구, 풀망둑 등이 많이 채집되었으며, 이들 6종은 총 개체수의 97.7%를 차지하였다. 생체량에 있어서는 전체 생체량의 96%를 차지하였다. 구조라와 거제만에서 출현종수와 개체수는 비교적 고수온 시기에 증가하였고, 수온의 하강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거제만은 조사를 시작한 6월 이후 증가하든 양상을 보여 출현종수는 9월, 개체수는 8월에 최대를 기록하였다. 구조라의 출현종수와 개체수는 불규칙한 양상을 보였는데 특히 11월에 개체수와 생체량이 가장 높았다.

경남 거제 명사 잘피밭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in Eelgrass Bed of Myeongsa on Geoje Island, Korea)

  • 김준섭;이대희;박준수;한동훈;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9-127
    • /
    • 2011
  • 경남 거제시 저구리 명사 연안 잘피밭에서 어류의 종조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예인망(surf net)으로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31종, 1,387개체, 4,776.5 g 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으로는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가 378개체(27.3%)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살망둑(Gymnogobius heptacanthus), 망상어(Ditrema temminckii), 복섬(Takifugu niphobles), 미역치(Hypodytes rubripinnis), 점망둑(Chaenogobius annularis),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 일곱동갈망둑(Pterogobius elapoides) 순으로 채집되었고, 전체 개체수의 89.3%를 차지하였다. 잘피 건중량은 2009년 8월 154 g/$m^2$에서 11월 31 g/$m^2$, 2010년 2월에는 41 g/$m^2$로 낮아졌고, 그 이후 증가하여 5월부터 78 g/$m^2$로 높아졌다. 살망둑, 점망둑, 일곱동갈망둑, 그물코쥐치 그리고 돌팍망둑은 잘피가 무성해지는 5~9월에 주로 채집되었고, 실고기, 풀해마(Urocampus nanus) 그리고 실비늘치는 잘피의 성쇠와 상관없이 연중 출현하였다.

남해 안골만 잘피밭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s in Angel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이태원;문형태;황학빈;허성회;김대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39-477
    • /
    • 2000
  • 남해안에 위치한 안골만 잘피밭에서 1998년 4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월별로 beam trawl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기 간 동안 39종 2,065개 체, 8,930.0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소형 주거종과 회유종의 유어들이 주를 이루었다. 출현한 어류 중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베도라치 (Pholis nebulosa), 실고기 (Syngnathus schlegeli)와 볼락 (Sebastes inemis)이 전체 개체수의 $60{\%}$를 차지하였다. 출현 종수와 생체량은 수온이 낮은 12월에서 3월 사이에는 낮았으며, 잘피가 성장하는 4월과 5월에는 주거종과 볼락의 유어들이 대량 채집되어 생체량이 높았다. 6월과 7월에 산란을 마친 주거종이 양적으로 줄어 생체량이 줄었으나, 8월에는 봄에 부화된 경제성이 높은 어종의 유어들이 가입되어 생체량이 증가하였다. 그 이후 잘피의 현존량이 감소하면서 어류의 생체량도 줄었고, 겨울에는 소수 개체만이 채집되었다. 종간 유사성을 집괴 분석한 결과 4개의 무리로 구분되었다. 온수기에는 주거종인 베도라치, 실고기와 주둥치가 우점하였고, 냉수기에는 살망둑 (Chaenogobius heptacanthus)과 양태 (Plarcephalus indicus)가 출현하였다. 잘피가 성장하는 $3{\~}6$월에는 주거종인 쥐노래미의 유어, 잘피의 현존량이 높은 $4{\~}7$월 사이에는 가시망둑 (Pseudoblennius couoides), 돌팍망둑 (Pseudoblennius percoides)과 볼락의 유어, 그리고 잘피가 시들어가는 $8{\~}9$월에는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와 해마 (Hippocampus coronatus)의 유어들이 출현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잘피밭 어류의 종조성은 수온과 잘피의 현존량에 따라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