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umus mum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오매의 Butanol추출물이 Salmonella typhimurium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tanol Extracts from Prunus mume on the Growth of Salmonella typhimurium)

  • 서명희;배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9호
    • /
    • pp.926-931
    • /
    • 2002
  •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of extracts of Prunus mume were tested on Salmonella paratyphimurium and S. typhimurium. First, the Prumus mume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t several temperatures, and then fractionation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Prunus mume was carried out by using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or butanol. Secondly, absorption column chromatoraphy (using a Diaion HP 20) was conducted to eliminate some water soluble materials that might inhibi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extracts. The antimicrobial activitry of each of the Prunus mume extracts was determined using a paper disc method against several food-borne pathogens, The growth inhibition curve was determine using butanol extracts of Prunus mume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The extraction temperature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yield of the extract or on the level of antimicrobial activity. The butanol extract of Prunus mume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almonella paratyphimurium and S. typhimurium; a 1,000 ppm of butanol extract of Prunus mume retared the growth of S. typhimurium up to 36 hours. (Korean J Nutrition 35(9) : 926~931, 2002)

매실(Prumus mume Sieb. et. Zucc)추출물을 이용한 제빵 적성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Mume)

  • 이연화;신두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05-310
    • /
    • 2001
  • In order to study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fume, mume bread was baked, adding 0, 0.5, 1.0. 1.5 and 2.0 brix of mume extract to wheat flour. The rheological properties, dough pH, dough volume, bread volume, bread color. bread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were tested to examine bread properties baked adding extracts of mu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ximum viscosity measured by amylograph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fume extract concentration, while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was going up. The development time measured by farinograph increased with use of mime extract, but stability time decreased. After the first fermentation, dough volume decreased greatly under pH 4.0, and there was same tendency in loaf volume. Lightness and redness of the crumb decreased but yellowness increased. Hardness and fracturability of mume bread were lower than control. In sensory evaluation, fume bread with 0.5 brix muse extract was evaluated as the best in taste, textur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 PDF

매실과 알코올의 담금비가 매실 리큐르 숙성중의 품질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atio of Maesil(Prunus mume) and Alcohol on Quality Changes of Maesil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 박나영;채명희;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45-649
    • /
    • 2007
  • 매실과 45% 알코올의 담금비 1:1, 1:2, 1:3 (w/v)의 비율로 조절하여 $20^{\circ}C$에서 5개월간 숙성시키면서 매실리큐르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산도는 매실의 담금 비율이 증가할수록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다. pH는 알코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높았다. 색도는 매실의 담금비가 증가할수록, 숙성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짙은 색도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농도는 매실의 담금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숙성 2개월째는 각각 24.3(1:1), 32.2(1:2), 36.0%(1:3)이었으나 그 후 담금비에 따른 뚜렷한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숙성 기간 중 환원당과 polyphenol 함량은 매실의 담금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숙성 1개월까지 담금액 중에는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로 4종류의 당이 존재하였으나, 숙성 2개월 이후 sucrose와 maltose는 각 처리구 공히 검출되지 않았다. 담금액에서 매실 첨가량에 관계없이 citric, malic, succinic, lactic, acet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매실의 담금비가 증가할수록 유기산 전체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담금 비율에 따른 숙성 기간 중 유기산 함량의 변화는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매실의 첨가 형태에 따른 배추김치의 발효 및 품질 특성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Using Various Types of Maesil(Prumus mume Sieb. et Zucc))

  • 김규란;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4-222
    • /
    • 2010
  • 매실의 첨가 형태와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를 $10^{\circ}C$에서 25일간 저장하면서 김치의 발효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대조구의 pH는 발효 기간이 경과 할수록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매실 첨가구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산도의 변화도 pH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매실 첨가구는 발효 초기에 미생물의 성장이 다소 지연되었으나, 발효 말기에는 $10^8$ CFU/mL의 균수를 나타내어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김치의 색도는 담금 직후 매실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L, a, b값 모두 낮았으며, 매실 첨가 형태 및 첨가 농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환원당은 감소하였으며, 매실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그 감소 정도가 완만하였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경도는 감소하였는데, 전반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매실 첨가구가 높은 경도를 유지하였으며, 특히 6% 김치의 항산화 활성은 매실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발효 기간 동안 항산화 활성은 매실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특히, 매실분말과 마쇄한 매실 6% 첨가구가 높은 항산화 활성을 유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조직감의 강도(아삭아삭한정도)는 매실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았다. 맛, 풍미, 색, 풍미, 종합적 기호도에 관한 기호성은 매실채 첨가구가 가장 좋았으며, 다음은 마쇄한 매실 첨가구가 순이었으나 두 첨가구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