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ximal humeru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4초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근위 상완골 골절 - 1예 보고 -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and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Neurofibromatosis Type I - A Case Report -)

  • 황태혁;조형래;왕태현;양희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35-140
    • /
    • 2013
  •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동반된 근위 상완골 골절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으로 진단된 20세 남자로 가벼운 외상 후 발생한 우측 견관절의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로 내원하였다. 수상측 주관절부에는 큰 망상형 신경 섬유종들이 있었으며 견관절 탈구는 재발성 병변이었다. 단순 방사선과 컴퓨터 단층 촬영 소견 상 상완골과 견갑골의 골성 변형을 보였고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상 삼각근과 회전근 개에 다발성 신경 섬유종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관혈적 정복술 및 관절막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근위 상완골 골절은 재건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골유합과 만족스런 기능 회복을 보였으며 수술 후 7개월 추시 상 견관절 탈구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견관절 재발성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은 드문 합병증이나 질환의 정형외과적 접근 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Erlder 정을 이용한 치료 결과-방사선학적 분석 - (The Results of Ender Nailing for the Proximal Humerus Fractures - Radiological Evaluation -)

  • 박진수;정문상;윤강섭;백구현;이지호;강승백;김동욱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2호
    • /
    • pp.187-198
    • /
    • 1999
  • 목적 상완골 근위부 골절환자들을 대상으로 Ender 정을 삽입한 군과 보전적 치료를 한 군간의 비교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Ender 정 삽입군의 경우 9례에서 삽입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69세였고, 보전적 치료군의 경우 9례였으며, 평균 연령은 72례로 두군간의 연령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450). 모든 예가 2분 골절이었다. Ender 정은 상완골 원위부 또는 양측 외상과부를 통하여 삽입하였으며 보전적 치료군의 경우 Velpeau 붕대 고정으로 치료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15개월이었다. 결과 해부학적 정복의 정도는 원위부의 내측 전위, 골편의 중첩, 골절부의 내반각 변형등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는데, 두 군 모두 초기의 해부학적 정복 정도는 추시상 변화가 없었으며, 이러한 해부학적정복의 정도의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Ender 정의 경우 고정의 안전도는 대부분의 례에서 불량한결과를 보여주었고, Ender 정의 삽입부로의 후방전위(3례) 및 그로 인한 주관절 통증 및 운동제한,골두의 천공(3례), Ende, 정 상입부에서의 상완골 원위부의 피질골 파열 또는 골절(4례), 골절 정복후 재전위(1례)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고찰 및 결론 : Ender 정의 역행성 삽입후의 결과는 보전적 치료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점을 보이지않았으며, 오히려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 PDF

상완골 대결절 일분 골절의 치료 (The Treatment of One-Part Fractures of the Greater Thberosity of the Proximal Humerus)

  • 박태수;김태승;박예수;김도형;강창남;황건성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1호
    • /
    • pp.21-27
    • /
    • 199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unctional outcomes of one-part fracture of the greater tuberosity that had been treated either by a conservative treatment or an operative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 Eighteen shoulders in 18 patients who had an one-part fracture of the greater tuberosity of the proximal humerus were managed,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4 years and 10 months (range, 1 year to 8 years 6 months). Results: According to Neer's criteria for evaluation of results, in the group of 13 patients managed nonoperatively, the results were good or excellent in ten patients, fair in one, and poor in two. In the group managed operatively, the results were excellent in all five patients. Conclusion: If the displacement of the fragment is more than 5mm in young active patients, and more than 3mm especially in athletes and heavy laborers involved in overhead activity, the fragment should be mobilized, repaired and fixed into its original bed or a little bit inferolaterally with multiple heavy non-absorbable sutures, tension band technique, or cancellous screws and washers. We would suggest that the patients showing one-part fracture of the greater tuberosity of the proximal humerus should be evaluated individually.

  • PDF

A radiographic study of growth plate closure compared with age in the Korean native goat

  • Choi, Hojung;Shin, Heejae;Kang, Sangkyu;Lee, Heechun;Cho, Jongki;Chang, Dongwoo;Lee, Youngwon;Jeong, Seong Mok;Park, Seongjun;Shin, Sang Tae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5-289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growth plate closure time with aging in the Korean native goat. Radiographs of proximal and distal epiphysis of humerus, radius, ulna, femur and tibia were obtained at 2, 3, 4, 5, 6, 7, 8, 9, 11, 12, 13, 14, 17, 18, 20, 21, 30, 43 and 52 weeks after birth in 30 Korean native goats. The secondary ossification centers were scrutinized and assessed the maturity process on the basis of the criteria(stage 0 to 10). The secondary ossification centers of proximal and distal epiphysis of humerus, radius, femur and tibia and proximal ulna epiphysis appeared immediately after birth. While, that of distal ulna epiphysis appeared during the 1st to 2nd week of life. The fusion of distal humeral epiphysis occurred during the period from 8 to 12 months. The fusion of proximal radial epiphysis and distal tibial epiphysis were found at 1 year. The fusion of proximal and distal epiphysis of ulna and femur, proximal epiphysis of humerus and tibia and distal epiphysis of radius were found at 1 year or more than 1 year. As a result, growth plate closure was highly related to age in the Korean native goat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estimation of animal's age might be useful by illustration of maturity process of the secondary ossification centers in the Korean native goat.

상완골에 발생한 골막 연골종 - 1례 보고 - (Periosteal chondroma of the proximal humerus - A case report -)

  • 안병우;정성원;김병헌;조제일;왕경태;김우식;김종관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8권2호
    • /
    • pp.166-169
    • /
    • 2005
  • Periosteal chondroma is a slow growing benign chondroid tumor. It erode the surface of cortex and induce a saucer shape defect. Histologically, it occasionally show hypercellularity, mitosis which can lead to the erroneous diagnosis of malignant tumor. Clinical, radiographic and pathological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agnosis. Marginal excision proved an effective treatment. To our knowledge, this benign chondroid tumor of humerus has never bee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We report a case of periosteal chondroma of proximal humerus mimicking periosteal chondrosarcoma.

Preventing Varus Deformity in Senile Patients with Proximal Humerus Fractures and Poor Medial Support

  • Kim, Young-Kyu;Kang, Suk-Woong;Kim, Jin-Wo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9권4호
    • /
    • pp.216-222
    • /
    • 2016
  • Background: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fibular strut allograft augmentation of proximal humerus fractures to prevent varus deformity in patients over the age of 65 years with insufficient medial support. Methods: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locking plate fixation with adjunct fibular strut allograft augmentation in 21 patients with proximal humeral fractures.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ge (65-year-old or older); presence of severe medial comminution; inadequate medial support; and those who could participate in at least a one year follow-up. The average age was 76.4 years. We analyzed each patient's Constant score, our indicator of clinical outcome. As radiological parameters, we analyzed time-to-bone union; restoration of the medial hinge; difference between the immediately postoperative and the last follow-up humeral neck-shaft angles;; and anatomical reduction status, which was assessed using the Paavolainen method. Results: A successful bone union was achieved in all patients at an average of 11.4 weeks. We found that the average Constant score was 74.2, showing a satisfactory outcome.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humeral neck-shaft angles between the immediately postoperative time-point and at the final follow-up was $3.09^{\circ}$. According to the Paavolainen method, the anatomical reduction was rated excellent. The medial hinge was restored in 14 of 21 patients. Although we did not find evidence for osteonecrosis, we found that a single patient had a postoperative complication of screw cut-out. Conclusions: Fibular strut allografting as an adjunct treatment of proximal humeral fractures may reduce varus deformity in patients with severe medial comminution.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서의 최소 침습적 금속판 술식 (Minimal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in Proximal Humerus Fractures)

  • 신상진;도남훈;송미현;손훈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02-208
    • /
    • 2010
  • 목적: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대하여 최소 침습적 금속판 술식을 시행하고, 임상 결과를 분석하여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대하여 최소 침습적 금속판 술식을 시행한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 분류는 2분 골절 16예, 3분 골절 10예였으며, 4분 골절 1예가 포함되었다. 임상적 평가는 UCLA 점수와 KSS 점수 및 운동 범위 회복 정도와 합병증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방사선학적으로는 골유합 기간과 경간각 회복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9개월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UCLA 점수는 우수가 15예, 양호가 12예였으며 KSS 점수는 평균 91.4점이었다. 또한 최종 견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 거상이 평균 $167.2^{\circ}$로 측정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후 평균 14.1주에 골유합을 얻었으며, 경간각 회복 정도는 우수가 24예였으며 보통이 3예였다. 액와 신경 마비나 심부 감염, 금속판의 충돌 증후군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대한 최소 침습적 금속판 술식은 충분한 해부학적 지식을 숙지하고 시행하면 주변 연부 조직 박리를 최소화하여 합병증 발생을 감소시키고 조기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하므로 상완골 근위부 골절 치료의 효과적인 수술 방법의 하나로 사료된다.

65세 이상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환자에서 다축 각안정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 (Internal Fixation of Proximal Humerus Fracture with Polyaxial Angular Stable Locking Compression Plate in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 이기원;최영준;안형선;김정환;황재광;강정호;추한호;박준석;김태경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1호
    • /
    • pp.25-31
    • /
    • 2012
  • 목적: 65세 이상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환자에 대하여 다축 각안정 잠김 압박 금속판 (Non-Contact-Bridging proximal humerus plate, Zimmer, Switzerland, NCB)을 이용하여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그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8월부터 2011년 1월까지 65세 이상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환자 중 NCB 금속판을 이용하여 내고정술을 시행한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1세 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1.5개월이였다. 골절의 분류는 2분 골절이 14예, 3분 골절이 18예였다. 임상적 평가는 VAS 점수와 Constant 점수를 이용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는 골유합 시기와 Paavolainen 방법으로 경간각을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VAS 점수는 평균 3점, Constant 점수는 평균 64.5점이었으며 모든 예에서 수술 후 평균 16.2주에 골유합을 얻었다. 방사선학적 평가 결과 최종 추시 시 경간각은 평균 125.9도로 우수 24예, 양호 8예이었다. 강선 파열 1예 및 지연유합 1예, 경미한 금속판의 견봉하 충돌로 인한 통증 호소 3예 등의 합병증이 관찰되었으며 정복소실, 나사 이완, 불유합, 상완골 골두의 무혈성 괴사 등은 없었다. 결론: NCB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골절의 고정 및 정복의 유지가 어려운 고령의 상완골 근위부 골절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인 수술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