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oplast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29초

Cellulomonas 속 종간 원형질 융합체의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usants by Interspecific Protoplast Fusion of the Genus Cellulomonas)

  • 배무;임정화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7-54
    • /
    • 1990
  • 섬유소를 분해할 수 있는 Cellutomonas flavigena NCIB 12901 과 Cellulomonas bibula NCIB 8142의 종간 원형질체 융합을 하고 그로부터 얻은 융합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C. bibuta의 원형질체는 lysozyme(600Ieιllulomoηas libula NCIB 8142의 종간 원형 섣처l 융 한응 하고:1로부터 얻은융합셰익 특성을 조사하였다 . C bibula의 원형선셰는 lysozyme $600{\mu}{\textrm{g}}$/ml)를 6시간 처리하여 얻었으며, 삼투안정제로는 O.5M sorbitol의 최저이었고 원형질체 재생률은 6.7%였다. 원형질체 융합은 25mM $CaCl_{2}$를 포함하는 40% PEG (M.W.6000)를 $30^{\circ}C$에서 30분간 처리함으로 수행하였고 C. bibuιl와 C. flavigeηa의 융합 빈도는 $5\times 10^{-4}$으로 원형질체 형성 및 합체를 얻었고, 모균주와 융합체의 영양요구성, 항생물질 내성, 효소활성, 세포벽 성분, 운동성 등을 비교하여 융합체는 모균주의 재조합체임을 밝히었다.

  • PDF

Penicillium verruculosum 으로부터 분생자 원형질체의 생성과 재생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Conidial Protoplast from Penicilliun verruculosum)

  • 김정호;허정원;정희종;이용규;정기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54-159
    • /
    • 1992
  • 섬유소 분해능이 우수한 P. verruculosum 의 분생포자로부터 원형질체의 생성 및 재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균의 원형질체 생성을 위한여 2-deoxy-D-glucose(2-DG) 가 첨가된 최소배지에서 분생포자를 10-12 시간 전배양 시킨후 시판 세포벽분해효소들을 작용시켜 본 결과 그중 Novozyme 234 (1%, w/v) 에서 50% 이상의 가장 좋은 원형질체 생성 수율을 보였다. 전배양 되지 않은 포자로부터는 원형질체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원형질체 생성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테로서 2-DG 의 효과가 무첨가에 비해 2배 이상의 수율을 증가시켰다. 포자 원형질체의 재생율은 49.2% 로 동 균주의 균사체 원형질체의 재생율4.6-27.8%(삼투압 조절체로서 0.6 M magnesium sulfate) 보다 높았다. 원형질체 생성 및 재생을 위한 상투압 안정제로서는 0.6M ammonium sulfate 와0.6 M magnesium sulfate가 가장 적절하였다. 광학 형미경을 통하여 부풀린 포자로부터 원형질체의 생성과정과 두 가지 각기 다른 양상의 재생과정이 관찰되었다.

  • PDF

Protoplast Culture by Electrofusion of Protoplasts from Solanum sisymbriifolium and Other Solanum Species

  • Kim Hag-Hyun;Jung Hye-Jin;Shin Un-Do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22-426
    • /
    • 2006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get the basic materials necessary to obtain the somatic hybrid plant between Solanum sisymbriifolium and other Solanum species (S. integrifolium and S. toxicarium). Regarding the formation of colony from the protoplast in S. sisymbriifolium, S. integrifolium and the fused protoplast mixture; for the S. sisymbriifolium, a colony was observed in F medium(Kao medium containing $5.0mg{\cdot}L^{-1}\;NAA,\;1.0mg{\cdot}L^{-1}$ 2,4-D and $1.0mg{\cdot}L^{-1}$ BA); and for the S. integrifolium, in G medium (a half strength MS medium containing 0.03 M sucrose, 0.4 M mannitol, $1.0mg{\cdot}L^{-1}\;NAA,\;1.0mg{\cdot}L^{-1}$ kinetin) respectively. In mixed cultured protoplast after electriofusion treatment, the cell division and colony formation were observed in both media F and G. For the shoot and root formation rat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 of each breed and mixed protoplast regardless of the medium. In the fused protoplast mixture of S. sisymbriifolium and S. toxicarium, a colony formation was also observed in both media F and H(a half strength MS medium containing 0.03 M sucrose, 0.4 M mannitol, $1.0mg{\cdot}L^{-1}\;NAA,\;1.0mg{\cdot}L^{-1}$ kinetin);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hoot and root formation rate between the parent and the mixed protoplast.

Penicillium verruculosum의 종내 원형질체 융합 (Intraspecific Protoplast Fusion of Cellulolytic Fungus, Penicillium verruculosum)

  • Chung, Ki-Chul;Park, Chang-Ryeol;Suk Bai;Chun, Soon-Bai;Kim, Ki-Chu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3-167
    • /
    • 1988
  • Penicillium verruculosum으로부터 유도된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간의 원형질체 융합을 위한 조건을 검토하였다. 20시간 배양한 P. verruculosum의 균사체에 Novozym 234를 처리하여 원형질체를 추출할 수 있었다. 원형질체 생성 최적조건하에서의 원형질체 생성량은 각 영양요구성 변이주의 균사체 400mg 당 2.4~3.0$\times$$10^7$ 수준이었고, 재생율은 36.6~42. 4%, RMM에서의 환원율은 $10^{-7}$ 수준이었다. 원형질체 융합을 위한 PEG6000의 최적농도는 20%였고, PEG 최적처리시간은 10분, CaCl$_2$최적첨가농도는 10mM, 최적 pH는 5.5였으며, 융합 최적조건 하에서의 융합율은 1.8$\times$$10^{-3}$~3.5$\times$0$^{-3}$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

Cellulomonas속 원형질체 재생과 종간 융합조건 (Protoplast Regeneration and Interspecific Fusion of the Genus Cellulomonas)

  • 배무;조보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3-309
    • /
    • 1988
  • Cellulose를 이용할 수 있는 Cellulomonas속 균주의 종간 세포의 융합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원형질체 재생 및 융합조건에 대해 검토하였다. Cellulomonas속 균주의 원형질체는 osmotic stabilizer를 포함하는 재생배지에서 유동성 한천배지로 중층하여 재생시켰고 재생 확인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하였다. 원형질체 융합은 항생물질 내성과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의 유전자 표지에 확인하였다. Lysozyme을 처리하여 형성된 C. flavigena 원형 질체의 세포벽 재생은 osmotic stabilizer로 0.4M sorbitol을 포함하는 재생배지에서 약 15% 수준이었으며 여기에 Polyvinyl Pyrrolidone(PVP) 3% 첨가로 재생율을 약 3배정도 증가시킬 수 있었다. Cellulomonas속 균주의 변이주간의 원형질체 융합은 융합유도제로 PEG 6000을 취하여 최적농도 40% (w/v), 치적 처리시간 15분, Ca농도 25mM에서 약 2.0$\times$$10^{-4}$ - 4.0$\times$$10^{-4}$의 융합빈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Cellulomonas속 종간의 원형질체 형성조건의 차이에 대하여 (Interspecific Variation in the Protoplast Formation of the Genus Cellulomonas)

  • 이은주;배무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4-160
    • /
    • 1986
  • Cellulose분해력이 높은 Cellulomonas속 세균의 원형질체 융합을 위한 원형질체 형성조건을 조사하여 본 결과 같은 Cellulomonas 속인 Cellulomonas sp. C S 1- 1과 Cellulomonas flavigena NCIB 12901 균주일지라도 그 형성조건에 현저한 차이가 있어 CS1-l균주는 lysozyme농도 $100{\mu}g/ml$ 30분정도의 처리로 99.9%의 높은 원형질체 형성을 얻을 수 있는 반면 C.flavigena 균주는 lysozyme 농도도 훨씬 높고 장시간이 소요되어 $600{\mu}g/ml$. 6시간 정도의 처리에 약80%의 원형질체 형성을 보였다. 또한 세균 배양기간이 미치는 영향도 CS1-l균주는 별 영향을 받지 않고 원형질체화 되었으나 C. flavigena균주는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받아 대수증식기 중기의 세포가 말기의 세포보다 원형 질체가 잘 이루어 졌다. 원형질체 형성확인방법에서도 CS-1 균주는 osmotic shock을 주어 원형질체를 계수하거나 SEM으로 확인하거나 같은 결과를 얻었으나 C. flavigena 균주는 osmotic shock에 의한 원형질체의 계수결과와 SEM으로의 결과가 서로 달라 확인방법으로 두 방법이 병행되어져야 함을 보여주었다.

  • PDF

Efficient isolation, culture and regeneration of Lotus corniculatus protoplasts

  • Raikar, S.V.;Braun, R.H.;Bryant, C.;Conner, A.J.;Christey, M.C.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2권3호
    • /
    • pp.171-177
    • /
    • 2008
  • This paper reports an improved protocol for isolation, culture and regeneration of Lotus corniculatus protoplasts. A range of parameters which influence the isolation of L. corniculatus protoplasts were investigated, i.e., enzyme combination, tissue type, incubation period and osmolarity level. Of three enzyme combinations tested, the highest yield of viable protoplasts was achieved with the combination of 2% Cellulase Onozuka RS, 1% Macerozyme R-10, 0.5% Driselase and 0.2% Pectolyase. The use of etiolated cotyledon tissue as a source for protoplast isolation proved vital in obtaining substantially higher protoplast yields than previously reported. Culture of the protoplasts on a nitrocellulose membrane with a Lolium perenne feeder-layer on the sequential series of PEL medium was highly successful in the formation of microcolonies with plating efficiencies 3-10 times greater than previous studies. Shoot regeneration and intact plants were achieved from 46% of protoplast-derived cell colonies.

Enhancement of Ethanol Tolerance of Lactose Assimilating Yeast Strain by Protoplast Fusion

  • Ryu, Yeon-Woo;Jang, Heang-Wook;Lee, Haing-S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3호
    • /
    • pp.151-156
    • /
    • 1991
  • In order to construct a yeast strain having high ethanol tolerance together with good lactose fermentation ability, the protoplast fusion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STV 89 and Kluyveromyces fragilis CBS 397 was carried out. Auxotrophic mutants of K. fragilis were obtained as a selection marker by treatment of ethylmethane sulfonate. The best mutant for protoplast fusion was selected based on the capabilities of ${\beta}-galactosidase$ production and lactose fermentation. The protoplast fusion using polyethylene glycol and calcium chloride solution led to the fusion frequence of $3{\times}10^{-6}$ and a number of fusants were obtained. Among these fusants, a fusant F-3-19 showed the best results in terms of ethanol tolerance, ${\beta}-galactosidase$ activity and lactose fermentation. The performance of lactose fermentation and ethanol tolerance by this fusant were better than those of K. fragilis. Study on the ethanol tolerance having relation to fatty acid composition and intracellular ethanol concentration revealed that the fusant F-3-19 had a higher 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 and accumulated less amount of intracellular ethanol compared with a parent of K. fragilis.

  • PDF

Combination Strategy to Increase Cyclosporin A Productivity by Tolypocladium niveum Using Random Mutagenesis and Protoplast Transformation

  • Lee, Mi-Jin;Duong, Cae Thi Phung;Han, Kyu-Boem;Kim, Eu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9호
    • /
    • pp.869-872
    • /
    • 2009
  • The cyclic undecapeptide cyclosporin A (CyA), one of the most valuable immunosuppressive drugs, is produced nonribosomally by a multifunctional cyclosporin synthetase enzyme complex by the filamentous fungus Tolypocladium niveum. To increase CyA productivity by wild-type T. niveum (ATCC 34921), random mutagenesis was first performed using an antifungal agar-plug colony assay (APCA) selection approach. This generated a mutant strain producing more than 9-fold greater CyA than the wild-type strain. Additionally, a foreign bacterial gene, Vitreoscilla hemoglobin gene (VHb), was transformed via protoplast regeneration and its transcription was confirmed by RT-PCR in the UV-irradiated mutant cell. This led to an additional 33.5% increase of CyA production. Although most protoplast-regenerated T. niveum transformants tend to lose CyA productivity, the optimized combination of random mutagenesis and protoplast transformation described here should be an efficient strategy to generate a commercially valuable, yet metabolite low-producing, fungal species, such as CyA-producing T. niveum.

느타리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원형질체(原形質體) 재생(再生) 및 환원(還元)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Protoplast Regeneration and Reversion of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florida)

  • 유영복;죤 페버디;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9-82
    • /
    • 1985
  • 식용으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느타리버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유전연구와 균주개 발을 위하여 원형질체의 재생 및 환원에 관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느타리버섯의 원형질체 재생에 알맞는 삼투압 조절제는 0.6 M KCl과 0.6 M Sucrose였으며, 균사의 생장을 촉진하는 amino acid와 vitamin을 혼합한 배지에서 원형질체 환원율이 약 5배로 증가하였다. 2. 삼투압 조절제가 첨가된 배지에서 재생후 2일부터 원형질체가 재생하여 $5{\sim}10$일에 균총을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환원율이 $0.24{\sim}3.19%$로 사철느타리버섯과 wild type이 느타리버섯과 영양요구성 균주보다 환원율이 다소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