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in/lipid ratio

검색결과 451건 처리시간 0.026초

체질량지수에 따른 여대생의 식이섭취 실태와 혈액성상에 관한 연구 (Food Intake and Clinical Blood Indic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Body Mass Index)

  • 김옥현;김정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07-316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body composition, dietary intake, and clinical blood indices in college students by body mass index (BMI). Their body compositions were determined by means of BI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method. Their dietary intake was determined using a 3-day record method and their hematological indices were determined by semi-automated microcell counter (Sysmex F-520). Their serum lipid levels were measured using biochemical analyzer (Spotchem). Subjects were classified as underweight, normal or over-weight groups according to their BMI. The subjects were 69 healthy college students aged 20 to 26 years.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and BMI was 21.3 years, 162.6 cm, 54.4 kg, and $20.6cm/m^2$, respectively. Their average consumption of energy was 1693 kcal, 84.7% of RDA and their mean ratio of carbohydrate: protein: fat were 54.5 : 16.4 : 29.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ent intake among the groups except ${\beta}$-carotene and vitamin C. The ${\beta}$-carotene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derweight group. Vitamin C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weight group. The mean intakes of Ca, Fe, Zn and folate of subjects were 74.8% to 83.2% of RDA. Especially, intakes of Ca, Fe, Zn and folate were lower in the abnormal weight groups. The overall mean values of the hematological indices in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However, anemic subjects with hemoglobin (< 12 g/dl) and hematocrit (< 36 g/dl) accounted for about 11% of the subjects. The everall mean values of the serum lipid level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But serum HDL-cholesterol level of the overweight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LDL-/HDL-cholesterol ratio and AI inde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weight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Based up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for college women to be educated regarding consuming more Ca, Fe, Zn, folate and less fat and cholesterol in order to have better health promotion.

개암종실(種實)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Hazel Nut Oil)

  • 홍형기;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61-365
    • /
    • 1978
  • 개암종실의 일반성분과 petroleum ether로 추출한 지방질에 대한 몇가지 물리, 화학적 항수, 지방질의 구성분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암종실의 일반성분은 수분 4.0%, 조단백질 15.5%, 조지방질 64%, 가용성무질소물 11.7%, 조섬유 2.0%, 조회분 2.5%였다. 그리고 참개암이 물개암보다 조지방질의 함량이 약 3%가량 더 많았다. 2) 개암종실에서 추출한 조지방질의 비중$(15/15^{\circ}C)$은 0.916. 굴절률$(15^{\circ}C)$은 1.468이였고, 비누화값은 184, 요오드값은 94.5, 산값은 0.2였으며 비비누화물량은 0.25%였다. 3) 개암종실유에는 중성지질이 약 97%이고 복합지질은 약 3%에 불과하였다. 4) 개암종실유중의 중성지질은 98 %가 triglyceride이고, free fatty acid와 free sterol은 각각 0.5% 및 1.3%였으며 esterified st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5) 개암종실유의 지방산조성은 oleic acid가 $76{\sim}80%$로 가장 많고 linoleic acid는 약 15%로 그 다음으로 많으며, palmitic 및 stearic acid는 각각 5.0% 및 1.7%였으며, 그외에 linolenic acid와 palmitoleic acid가 각각 0.4% 및 0.8% 함유되여 있었다. 그리고 p/s ratio는 $1.8{\sim}2.8$이었다.

  • PDF

Leptin 유전자 결핍 동물모델을 이용한 시네트롤(Sinetrol-XPur)의 항비만 효과와 cAMP를 통한 UCP-2 활성화 기전 연구 (Effects of Sinetrol-XPur on Leptin-Deficient Obese Mice and Activation of cAMP-Dependent UCP-2)

  • 유재명;이민희;권한올;최세규;배문형;김옥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84-49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시네트롤(Sinetrol-XPur)을 유전성 비만 마우스(Obese)에 7주간 식이 투여하여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네트롤을 섭취한 유전성 비만 마우스군(Sinetrol low와 Sinetrol high)의 체중증가량은 Obese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 무게변화량은 Sinetrol high군에서 Obese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백색지방의 무게변화량은 Sinetrol high군에서 Obese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의 혈청 지질 함량은 TC, TG, LDL/VLDL-콜레스테롤이 Obese군에 비해 Sinetrol군에서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은 유전성 비만군(Obese, Sinetrol low, Sinetrol high)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DL/LDL ratio를 계산한 결과에서는 Sinetrol군에서 Obese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군의 지방조직에서 비만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FAS와 LPL의 발현은 Obese군보다 Sinetrol군에서 감소하였고 HSL의 발현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UCP-2의 발현은 Obese군에 비해 Sinetrol high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내 cAMP를 측정한 결과 시네트롤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cAMP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증가한 cAMP에 의해 UCP-2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시네트롤이 지방 합성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의 억제 및 에너지 소비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체내 지방의 축적이나 합성을 감소시켜 체중의 증가를 예방하며, 혈중 지질 함량들을 개선하여 항비만 효과가 있는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치어기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 있어서 어분 대체원으로써 탈피대두박을 이용하여 생산한 오징어 간분의 평가 (Dietary Squid Liver Powder (SLP) with Dehulled Soybean Meal (DHSM) as a Fish Meal (FM) Substitute for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영철;배승수;이준호;박건현;이정열;배승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43-249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oper inclusion levels of squid liver powder (SLP) and dehulled soybean meal (DHSM) as a fish meal (FM) replacement in the diets for olive flounders. All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nitrogenous (50% crude protein, CP) and isocaloric (17.1 kJ energy $g^{-1}$ diet). Four diet were formulation of FM with SLP (DHSM) were tested at 0, 25, 50, 75% (SLP(DHSM)$_0$, SLP(DHSM)$_{25}$, SLP(DHSM)$_{50}$ and SLP(DHSM)$_{75}$, respectively). Triplicate groups of 12 fish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5.56$\pm$0.1 g (mean$\pm$S.D.) were fed one of three experimental diets for 7 weeks. Weight gain (WG) and the specific growth rate(SGR) of fish fed SLP(DHSM)$_0$ and SLP(DHSM)$_{25}$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SLP(DHSM)$_{50}$ and SLP(DHSM)$_{75}$ diets (P<0.05). Also, WG and SGR of fish fed SLP(DHSM)$_{50}$ had significantly higher WG and SGR than that of fish fed SLP(DHSM)$_{75}$ (P<0.05). The feed efficiency (FE)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of fish fed SLP(DHSM)$_0$ and SLP(DHSM)$_{2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ed SLP(DHSM)$_{50}$ and SLP(DHSM)$_{75}$ (P<0.05). The whole-body crude lipid content of fish SLP(DHSM)$_{7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SLP(DHSM)$_{50}$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hole-body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ash of fish fed all diets. Based on these growth performance results, the SLP(DHSM) combination replace up to 25% FM protein by the ANOVA test in juvenile olive flounder diets.

발달장애아동의 식습관 및 영양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Nutritional Statu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 박은주;문현경;이삼순;박원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2호
    • /
    • pp.188-197
    • /
    • 2001
  • The nutritional status is important for the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of children. Children should have sufficient nutrient intake, specially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In spite of the importance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for their food habit and nutritional status. In this study, nutritional status of the disabled children were examined, the number of children studied is 50 children in Seoul between 5 to 6 years old, of whom 11 were austism, 5 were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8 were down\\`s syndrome. In order to get the data questionnaires about the food habit and other related factors, and two days food records were used. Their mean height was 108.8$\pm$21.0cm and their average weight was 19.5$\pm$4.6kg. The proportion of study subject with problems of the food habits was 36%, without keeping the regular meal time was 16%, and having snacks 2-4 time daily was 56%. They chose confectionery and fruits as their favorite snacks. The proportion of study subject with the sensitivity to the food colors and smells when they ate was 54%, unskilled using spoon and fork was 58%, and having medications was 20%. When we asked them whether their parents used the food as compensation means or not, 32% of them said that they did it often or sometimes. For the nutrient intake, energy was 1,703 $\pm$ 511kcal, carbohydrate was 242.5 $\pm$ 69.3g, protein was 61.3 $\pm$ 17.5g, lipid was 50.0 $\pm$ 24.4g. As the nutrient intake, it was compared with RDA. The intake of vitamin A and calcium were below RDA. Intake of protein was more than 150% of RDA. The proportion of subject with more than 125% of RDA was 72% for the phosphorus, 62% for the protein, 60% for the Vitamin A and calcium were below 0.75 and that of the others was above 0.75. The mean adequacy ratio(MAR) was 0.88. As we sum up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were shorter and lighter than the reference, were having medications, had excessive appetites, and had unbalanced diets. Also they had the bad food habit. As for the nutritional intake, vitamin A and calcium intake were a little less than RDA, and protein and phosphorus intake were too much. With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for the disabled children, we can conclude that there are need to take some necessary measures for those children. To establish some programs measures for their better food environment, it is thought that much more research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Korean J Nutrition 34(2) : 188-197, 2001)

  • PDF

The Associations of Percent Body Fat with Dietary Intake, Plasma Lipids, Lipoprotein(a), and PAI-1 in Middle Aged Korean Adults

  • Kim Rim, Jean-Chinock;Kang, Soon-Ah;Hiojung Wee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5호
    • /
    • pp.695-706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the percent body fat dietary intake, plasma lipoprotein profile, lipoprotein(a),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PAI-1) concentrations of 1982 Korean subjects(men : 1000 and women : 982) between the ages of 40 and 59 years. The dietary assessment consisted of twenty-four hour dietary records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identified into one of the five rating groups of % body fat : lean,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and obese groups. The biochemical assessment included measurements of plasma total cholesterol(TC), HDL-cholesterol(HDL-C), LDL-cholesterol(LDL-C), triglyceride(TG), lipoprotein(a)(Lp(a)), and PAI-1. With respect to the ratio of percent energy intake of carbohydrate : protein : fat of the normal group of the women was 62% : 17% : 20%, respectively. Women apparently had a higher intake of carbohydrates than men(52% : 17 : 20%) did. There wa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energy intake and % body fat in both mean and women(with the exception of the underweight group of women). The relationship of % body fat of men to the protein and fat intak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arbohydrate intake. Of the men in the study, intakes of energy, protein and alcohol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 body fat. In women, energy, carbohydrate and protein intak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 body fat, however, the fat, cholesterol and alcohol intake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to the % body fat in women. This study showed that % body fa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lasma TC, LDL-C, PAI-1 levels, and TG, but the % body fa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lasma HDL-C level in both men and wome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 energy intake of obese or overweight subjects might contribute to several of the biochemical indices fo coronary heart disease(CHD) risk. In conclusion, increased energy intake is associated with overweight or obesity in middle aged Korean people.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 energy intake of fat and % body fat in the study, in middle-aged Korean men and women. The plasma lipid profile and PAI-1 level thought to be the risk factors of CHD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rcent body fat in middle aged Korean people.

  • PDF

넙치 치어 배합사료의 어분 대체 단백질원으로서 탈지 대두박 이용성 (Utilization of Defatted Soybean Meal As a Substitute for Fish Meal in the Diet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윤숙;김봉석;문태석;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69-474
    • /
    • 2000
  • 넙치 배합사료의 어분 대체 단백질원으로서 대두박의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균체중 359인 넙치를 각 수조마다 20마리씩 2반복 수용하여 대두박 함량을 $0{\%}, 10{\%}, 20{\%}$$30{\%}$로 조절한 사료로 45일간 사육실험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구에서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증중량은 대조구와 대두박 $10{\%}$ 첨가구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대두박 $20{\%}$$30{\%}$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 < 0.05). 사료효율과 단백질효율은 사료의 대두박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조구와 대두박 $10{\%}$$20{\%}$ 첨가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이와 반대로, 일일사료섭취율과 일일단백질섭취율은 사료의 대두박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어체간의 일반성분은 각 실험구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P > 0.05), 사료의 대두박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단백질과 수분함량은 증가하고, 지질함량은 감소하였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사료의 대두박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구와 대두박 $10{\%}$ 첨가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P > 0.05) 혈장 GOT는 사료의 대두박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험 사료 조성으로 넙치 치어를 사육하였을 때, 어분 대체단백질원으로서 대두박을 사료의 $10{\%}$까지 첨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잉어 사료에 있어 축산 가공 부산 혼합물의 어분 대체 가능성 (Possible Use of the Animal By-product Mixture as n Dietary Fish meal Relpacer in Growing Common Carp (Cyprinus carpio))

  • 배승철;장혜경;조은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80-385
    • /
    • 1998
  • 본 연구는 성장기 잉어 사료의 어분 대체사료원으로서 축산가공혼합부산물 (Animal by-product mixture. ABPM)의 이용 가능성과 어분단백질 대체 범위를 결정하고 잉어용 어분대체품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실험사료의 동물성 단백질원으로는 북양어분(White Fish Meal, WFM)과 수지박 (Leather Meal. LM). 육골분 (Meat&Bone Meal, MBM). 혈분 (Blood Meal, BM). 오징어내 장분 (Squid Liver Powder, SLP)의 혼합물인 축산가공부산혼합물 (Animal by-product mixture. ABPM)을 사용하였고. 식물성 단백질원으로는 대두박 (Soybean Meal, SM)과 콘글루텐밀 (Corn Gluten Meal, CGM)을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사료는 조단백질함량 $40\%$. 가용성 에너지 15.3 KJ/g (protein. carbohyd-rate and lipid; 16.7, 16.7 and 37.7 J/g)으로 동일하게 맞추었고 각 사료의 성분조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diet 1, $100\%$ WFM+$0\%$ ABPM ($0\%$ ABPM. control); dict 2, $75\%$ WFM+$25\%$ ABPM ($25\%$ ABPM); diet 3, $50\%$ WFM+$50\%$ ABPM ($50\%$ ABPM): diet 4, $25\%$ WFM+$75\%$ ABPM ($75\%$ ABPM), diet 5, $0\%$ WFM+$100\%$ ABPM ($100\%$ ABPM). 각 사료내 단백질원으로서, 동물성 단백질은 어분과 ABPM을 사용하여 총단백질의 $34.7\%$를, 식물성 단백질은 $65.3\%$를 공급하였다. 일주간의 먹이붙임후에 잉어는 각 실험군별 평균어체중 10g 되도록하여 3반복으로 무작위 배치하였고, 전반기 첫 번째와 두번째 4주간의 사육기간이 끝난 8주후에는 평균어체중이 28g 되도록 재배치하여 추가로 후반기 세번째 4주간 총 12주동안 사육하였다. 사료는 1일 3회 어체중의 $2.7\~4\%$로 12주간 공급하였다. 매 2주마다 체중을 측정하였고 전반기 8주, 12주후 체장, hemoglobin, hematocrit 및 일반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반기 첫 번째 4주후 증체율 및 사료전환효율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전반기 두번째 4주후 사료 3, 4 및 5는 사료 I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이와는 달리 후반기 세번째 4주후의 모든 사료구의 증체율 및 사료전환효율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또한, 전어체 일반성분 분석 결과 전$\cdot$후반기동안 모든 사료구의 일반성분치 (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본 실험 결과, 사료내 동물성 단백질원으로 ABPM은 충분한 먹이붙임 후에 어분단백질의 $100\%$까지 대체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 PDF

자성(雌性)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의 난소(卵巢) 발달단계(發達段階)에 따른 간세포(肝細布)의 활성변화(活性變化) 및 간조직(肝組織)의 단백질(蛋白質), 핵산함량(核酸含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Changes of the Activity of the Hepatic cells, and Variations of Protein and Nucleic Acid Contents of the Liver Tissue with the Ovarian Development Phase of Female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

  • 정의영;이근광;오영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8-57
    • /
    • 1991
  • 1988년(年) 4월(月)부터 10월(月)까지 전라남도(全羅南道) 영암군(靈岩郡) 삼호면(三湖面) 조간대(潮間帶)에서 월별(月別)로 채집(採集)된 자성(雌性)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Linnaeus)를 대상(對象)으로 간세포(肝細胞)의 활성변화(活性變化)를 조사(調査)하기 위해 투과전자현미경(透過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였고, GSI와 HSI의 월별변화(月別變化)와 난소발달단계(卵巢發達段階)에 따른 간조직(肝組織)의 단백질(蛋白質) 및 핵산함양(核酸含量)(총(總) RNA, DNA)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GSI는 성장기(成長期)인 5월(月)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성숙기(成熟期)인 6월말(月末)에 연중(年中)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었고, 산란기(産卵期)인 7월말(月末)부터 다시 감소하기 시작하여 퇴화기(退化期)인 9월말(月末)에 최저(最低)값을 나타내었다. HSI의 월별변화는 GSI와 역상관(逆相關) 관계(關係)를 갖는다. 난소(卵巢)가 성숙(成熟)하는 하계(夏季)에는 HSI값이 떨어지고 난소(卵巢)가 퇴화(退化)되는 10월(月) 중순(中旬)에는 HSI값이 최대(最大)에 이른다. 성숙기(成熟期)인 6월(月)에 암컷의 간조직(肝組織)의 간세포(肝細胞)들은 증대(增大)되고 핵(核)들은 비대(肥大)되었으며, 간세포내(肝細胞內)에는 글리코겐 입자(粒子)들과 지방적(脂肪滴)들이 정차로 감소되는 반면, 수많은 조면소포체(粗面小胞體)들은 증가(增加)되었다. 그리고 리보소옴이 부착된 잘 발달한 조면소포체(粗面小胞體)들은 세포질내(細胞質內)에서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 및 vitellogenin 축적(蓄積)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산란기(産卵期)인 7월(月)에 글리코겐 입자(粒子)들과 지방적(脂肪滴)들은 점차로 증가되었으며, 이들 물질(物質)은 퇴화기(退化期)인 8월말에도 다량(多量)이 그대로 관찰되었다. 난소(卵巢)의 발달시기(發達時期)에 따른 암컷 간조직(肝組織) 1gr 당(當) 단백질함양(蛋白質含量)은 성숙기(成熟期)인 6월에 최고값($4.720{\pm}0.103mg/g$)을 보였으며, 그후 점차 줄어들어 산란기(産卵期)인 7월에는 최저값($3.640{\pm}0.130mg/g$)을 나타낸 후, 퇴화기(退化期)인 8월에 다시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간조직내(肝組織內)의 핵산(核酸), 즉 RNA함량(含量)은 6월에 최고값($0.523{\pm}0.040mg/g$)을 나타내었으며, 그후 점차 감소하여 7월에는 최저값($0.158{\pm}0.006mg/g$)을 나타내었고, 다시 8월에는 약간 상승하였다. 이 결과로 볼 때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과 RNA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는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나타내었다. 간조직(肝組織) 중량(重量)(g) 당(當) 총(總) DNA 함량(含量)은 시기별(時期別)로 약간의 수치상(數値上) 차이(差異)는 있지만 거의 비슷하였다. 총(總) RNA/DNA의 비율(比率)은 6월(月)에 0.745, 7월(月) 0.262, 8월(月) 0.341이었다.

  • PDF

크릴 분말 및 NaF 첨가 식이가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 및 혈당 변동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Serum Lipid Components and Blood Glucose by Krill (Euphausia superba) Meal and NaF in Rats)

  • 진동혁;오다영;이영근;강동수;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38-946
    • /
    • 2017
  • Krill (Euphausia superba)과 NaF가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체중 및 장기 중량, 혈청 지질성분 및 단백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D군을 비롯하여 기본식이에 NaF 10 mg을 경구 투여한 BF군, 10%(KF10군), 20%(KF20군), 30%(KF30군)의 krill meal을 첨가 식이에 NaF 10 mg 경구 투여한 군으로 군당 6마리씩 5가지 군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쥐의 체중은 식이의 krill me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대조군인 BD군에 비해 NaF를 경구 투여한 BF군에서 낮게 관찰되었다. 각 장기무게에서의 변화는 간에서 BD군에 비해 NaF 경구 투여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고환에서의 무게는 KF10군을 제외한 NaF 경구 투여 군에서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심장, 폐, 뇌, 신장, 췌장에서의 각 군의 장기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lipid, 혈당 농도는 대조군인 BD군보다 BF군에서 높았지만, krill me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HDL cholesterol 농도는 BD군보다 BF군에서 낮았으며 krill meal 함량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중 total protein은 각 군에서 유의적 차이(p<0.05)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lbumin 농도와 albumin/globulin ratio는 BD군과 BF군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krill meal 섭취 군에서 감소되었다. Globulin 농도는 KF10군, KF20군, KF30군, BD군, BF군 순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krill meal 식이는 NaF 경구 투여한 흰쥐의 체중, 혈청 지질성분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