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ortional hazards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3초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Treatment and Survival: the Experience of Major Public Hospitals in South Australia Over Three Decades

  • Roder, David;Karapetis, Christos S;Wattchow, David;Moore, James;Singhal, Nimit;Joshi, Rohit;Keefe, Dorothy;Fusco, Kellie;Buranyi-Trevarton, Dianne;Sharplin, Greg;Price, Timothy J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923-5931
    • /
    • 2015
  • Background: Registry data from four major public hospitals indicate trends over three decades from 1980 to 2010 in treatment and survival from colorectal cancer with distant metastases at diagnosis (TNM stage IV). Materials and Methods: Kaplan-Meier product-limit estimates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 for investigating disease-specific survival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for indicating first-round treatment trends. Results: Two-year survivals increased from 10% for 1980-84 to 35% for 2005-10 diagnoses. Corresponding increases in five-year survivals were from 3% to 16%. Time-to-event risk of colorectal cancer death approximately halved (hazards ratio: 0.48 (0.40, 0.59) after adjusting for demographic factors, tumour differentiation, and primary sub-site. Survivals were not found to differ by place of residence, suggesting reasonable equity in service provision. About 74% of cases were treated surgically and this proportion increased over time. Proportions having systemic therapy and/or radiotherapy increased from 12% in 1980-84 to 61% for 2005-10. Radiotherapy was more common for rectal than colonic cases (39% vs 7% in 2005-10). Of the cases diagnosed in 2005-10 when less than 70 years of age, the percentage having radiotherapy and/or systemic therapy was 79% for colorectal, 74% for colon and 86% for rectum (&RS)) cancers. Corresponding proportions having: systemic therapies were 75%, 71% and 81% respectively; radiotherapy were 24%, 10% and 46% respectively; and surgery were 75%, 78% and 71% respectively. Based on survey data on uptake of offered therapies, it is likely that of these younger cases, 85% would have been offered systemic treatment and among rectum (&RS) cases, about 63% would have been offered radiotherapy. Conclusions: Pronounced increases in survivals from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have occurred, in keeping with improved systemic therapies and surgical interventions. Use of radiotherapy and/or systemic therapy has increased markedly and patterns of change accord with clinical guideline recommendations.

Behavioural and Metabolic Risk Factors for Mortality from Colon and Rectum Cancer: Analysis of Data from the Asia-Pacific Cohort Studies Collaboration

  • Morrison, David Stewart;Parr, Christine Louise;Lam, Tai Hing;Ueshima, Hirotsugu;Kim, Hyeon Chang;Jee, Sun Ha;Murakami, Yoshitaka;Giles, Graham;Fang, Xianghua;Barzi, Federica;Batty, George David;Huxley, Rachel Rita;Woodward, Mar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2호
    • /
    • pp.1083-1087
    • /
    • 2013
  • Background: Colorectal cancer has several modifiable behavioural risk factors but their relationship to the risk of colon and rectum cancer separately and between countries with high and low incidence is not clear. Methods: Data from participants in the Asia Pacific Cohort Studies Collaboration (APCSC) were used to estimate mortality from col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revision 9 (ICD-9) 153, ICD-10 C18) and rectum (ICD-9 154, ICD-10 C19-20) cancers. Data on age, body mass index (BMI), serum cholesterol, height, smoking, physical activity, alcohol and diabetes mellitus were entered into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 Results: 600,427 adults contributed 4,281,239 person-years follow-up. The mean ages (SD) for Asian and Australia/New Zealand cohorts were 44.0 (9.5) and 53.4 (14.5) years, respectively. 455 colon and 158 rectum cancer deaths were observed. Increasing age, BMI and attained adult height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hazards of death from colorectal cancer, and physical activity was associated with a reduced hazard. After multiple adjustment, any physical activity was associated with a 28% lower hazard of colon cancer mortality (HR 0.72, 95%CI 0.53-0.96) and lower rectum cancer mortality (HR 0.75, 95%CI 0.45-1.27). A 2cm increase in height increased colon and all colorectal cancer mortality by 7% and 6% respectively. Conclusions: Physical inactivity and greater BMI are modifiable risk factors for colon cancer in both Western and Asian populations. Further efforts are needed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reduce obesity while biological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by which they act to cause cancer mortality.

국가 암검진 사업의 주요 암종별 5년 생존율과 사회경제적 수준 및 요약병기의 관련성: 광주·전남 지역암등록본부 자료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5-year Overall Survival Rate, Socioeconomic Status and SEER Stage for Four Target Cancers of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in Korea: Results from the Gwangju-Jeonnam Cancer Registry)

  • 강정희;김철웅;권순석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7-246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5-year survival rate, socioeconomic status, and SEER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tage of stomach, colorectal, breast and cervical cancer patients. Methods: A total of 11,770 cases of four target cancers, which were diagnosed during 2005-2007, we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of Gwangju-Jeonnam Regional Cancer Regist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770 including stomach (n=5,479), colorectal (n=3,565), breast (n=1,516) and cervical cancers (n=710).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to obtain the hazards ratio (HR) according to the SEER stage and socioeconomic status. Results: Stomach cancer had a significantly higher HR in the medical aid recipients (HR=1.39), and the group below 20% (HR=1.20) compared to the group with the highest income level. Colorectal cancer had a significantly higher HR in the medical aid recipients (HR=1.26) than in the group with the highest income level. In addition, stomach, colorectal, breast and cervical cance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HR according to the SEER stage in regional direct (stomach=4.10, colorectal=1.76, breast=12.90, cervical=3.10), regional lymph only(stomach=2.58, colorectal=2.33, breast=4.32, cervical=4.43), regional both (stomach=6.74 colorectal=3.04, breast=15.57 cervical=6.50), and regional NOS (Not Otherwise Specified)/distant (stomach=17.53, colorectal=11.53, breast=25.34, cervical=26.51) than in situ and localized only.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ancer survival rate, a support system for early detection and early treatment of cancer should be established for groups with low individual income levels, and regular health checkups and management measures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through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위암 환자의 예후인자로서 림프관 정맥 및 신경 침범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Lymphatic, Venous, and Neural Invasion as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김치호;장석원;강수환;김상운;송선교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2호
    • /
    • pp.113-119
    • /
    • 2005
  • 목적: 표준화된 술식으로 위절제술을 시행한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성, 특히 암세포의 림프관, 정맥 및 신경 침범 유무가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진 만 5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진단되어 위절제를 시행받은 1,018명의 의무기록을 토대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통계는 chi-dquare test를 이용하고 예후 인자들은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을 사용한 다변량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 방법으로 5년 생존율을 구하고 log-rank test로 검정하였다. 유의 수준은 P <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s (Version 10.0, SPSS lnc,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각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단변량 분석 결과, 환자의 연령, 종양의 크기 및 위치, Borrmann형, 조직 분화도, 위절제술의 범위, 암의 위벽 침윤도, 림프절 전이 정도, 병기, 원격 전이 유무, 수술의 근치도 등이 유의하였으며, 이상의 유의한 인다들을 다변량 분석한 결과 암의 위벽 침윤도, 림프절 전이, 림프관 침범, 신경 침범 및 수술의 근치도가 독립적 예후 인자로서 유의하였다. 결론: 기존의 TNM 병기 분류법이 병의 진행 상태를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기본적인 예후 인자로서 역할을 하지만, 병리조직학적 검사 소견에서 림프관 및 신경 침범 유무를 확인하는 것은 위암의 예후 판정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Prognostic Significance of Preoperative Serum Alpha-fetoprotei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Correlation with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 Single-center Experience from China

  • An, Song-Lin;Xiao, Ting;Wang, Li-Ming;Rong, Wei-Qi;Wu, Fan;Feng, Li;Liu, Fa-Qiang;Tian, Fei;Wu, Jian-Xi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0호
    • /
    • pp.4421-4427
    • /
    • 2015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prognosis significance of preoperative serum alpha-fetoprotein (AFP) and the correlation with clinicopathological factor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patients who underwent hepatectomy. Materials and Methods: Clinicopathological data of retrospective analysis were collected for 251 HCC patients undergoing hepatectomy in this study. According to preoperative AFP level,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AFP-negative (0-20ng/mL) and AFP-positive (>20 ng/mL) groups for Kaplan-Meier analysis and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creased AFP was associated with longer prothrombin time (PTs), liver capsule invasion, low grade differentiation, and late Barcelona Clinic Liver Center (BCLC) stage. Moreover, the female patients had a greater prevalence of increased preoperative AFP than male patients [284.8 (3.975-3167.5) vs (3.653-140.65); Z-2.895, p=0.004]. The 1-, 3-, and 5-year recurrence-free survival (RFS) rates were 78.1, 57.5, and 40.6 % in the AFP-negative group and 61.8, 37.7, and 31.4 %, respectively, in the AFP-positive group (log-rank test 8.312, p=0.004). The 1-, 3-, and 5-year overall survival (OS) rates were 94.4, 83.8, and 62.3% in the AFP-negative group and 87.2, 60.0, and 36.7%, respectively, in the AFP-positive group.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og-rank test, 16.884, p=0.000). Cox proportional-hazards model identified preoperative AFP to be an independent prognostic predictor of overall survival. Conclusions: Preoperative serum AFP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prognosis among HCC patients following surgical resection. Female patients have a higher preoperative AFP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주입재료에 따른 Anchor Bar의 인발저항 특성 (Pull-out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the Anchor Bar According to the Grouting Material)

  • 여규권;송영석
    • 지질공학
    • /
    • 제18권2호
    • /
    • pp.227-23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급경사면에 설치되는 여수로를 지탱하기 위한 Anchor bar의 인발저항 특성을 현장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Anchor bar의 주입재료로 시멘트 모르타르와 시멘트 밀크를 사용하였으며, 조건별 주입재료의 일축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시멘트 모르타르와 시멘트 밀크는 물시멘트비가 증가함에 따라 일축압축강도가 감소하며, 재령일이 증가함에 따라 일축압축강도가 증가한다. 한편, 동일한 물시멘트비와 재령일을 가질 경우 시멘트 밀크의 일축압축강도가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보다 더 큼을 알 수 있다. 현장에서 Anchor bar의 인발시험시 편심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너트형태의 철근 고정커플링을 Anchor bar에 삽입하여 설치장비를 개선시켜 시험을 실시하였다. Anchor bar의 인발시험결과 시멘트 밀크의 경우 강도발현은 재령초기에 크게 발생되는 반면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우 재령일자가 지남에 따라 강도발현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Anchor bar의 신속한 시공을 위해서는 강도발현이 재령초기에 크게 발생되는 시멘트 밀크를 주입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령화연구조사(KLoSA) 패널을 활용한 중고령 자영업자의 일자리 이탈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Job Separation by Middle and Old aged Self-Employed using KLoSA Panel)

  • 최화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1호
    • /
    • pp.119-138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중고령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일자리 이탈 시점 및 일자리 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령화연구조사(KLoSA) 2006년 1차 조사대상자 중 자영업 시작 시기가 40세 이상인 684명을 대상으로 2014년 5차 조사 시기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콕스비례위험모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5년 자영업을 운영하던 중고령 자영업자의 일자리 지속기간은 평균 15.5년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684명 중 214명(31.3%)의 자영업자가 조사기간 내에 일자리를 이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서 성별, 창업 시 연령, 교육수준이 중고령 자영업자의 일자리 이탈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일 때, 창업 시 연령이 많을 때, 대학 이상의 학력일 때 자영업 이탈에 대한 위험이 증가하였다. 셋째, 자영업 특성에서 업종과 직무만족이 중고령 자영업자의 일자리 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어업보다 숙박 및 음식업에 종사할 경우, 자영업에 만족하는 정도가 낮을수록 자영업 이탈에 대한 위험이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여성 중고령 자영업자와 60대 이후에 자영업을 시작하는 고령 창업자에 대한 지원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입장벽이 낮은 업종에서 창업하기보다 자신의 적성 및 경력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동환경에서 직무만족을 증진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고학력 자영업자에게는 자영업에 의한 다양한 보상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장애인의 실업탈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on the Unemployment Hazard Rate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남정휘;최영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127-149
    • /
    • 2013
  • 본 연구는 실업의 장기화, 장애차별현상 등 장애인노동시장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장애차별변수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실업탈출과 이와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3차~5차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료를 구성하고 실업탈출(취업)과 관련하여 사건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기간에 따른 실업탈출가능성의 변화를 생명표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최장 실업기간(25개월)까지 실업상태로 남아 있는 비율은 90.5%이고, 노동시장에 진입한 비율은 9.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실업유지율은 매우 높게 나타났고, 실업탈출 가능성은 12개월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업탈출에 영향을 요인을 파악하고자 콕스비례해저드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남성일수록, 비수급가구일수록, 경증일수록, 직장차별경험이 없을수록 실업탈출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인의 실업탈출(취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용상에 발생하는 장애차별을 해소할 수 있는 장애인차별금지제도를 보다 강화해야 하며, 기초수급 장애인들의 근로를 유인할 수 있도록 현행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업탈출에 어려움이 있는 여성장애인, 중증장애인 등과 같이 정책대상을 보다 세분화하여 개별욕구와 특성에 부합하는 고용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서울지역 화강암 풍화토 토층지반의 토질특성 (Soil Properties of Granitic Weathered Soils in the Landslide-prone Areas in Seoul)

  • 김경수
    • 지질공학
    • /
    • 제29권1호
    • /
    • pp.23-35
    • /
    • 2019
  • 우리나라의 경우 자연사면에서 발생되는 산사태는 대부분 여름철의 집중호우에 기인되며 주로 토층지반에서 발생된다. 집중호우로 인해 자연사면의 토층지반이 포화되고 지반지지력이 약화되어 사면붕괴 가능성이 높아진다. 사면안정성과 토석류 확산성 평가시에는 지반의 토질특성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주요 산지 관악산, 수락산과 북한산에 분포한 화강암토층지반을 대상으로 총 44개소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물리 역학적 특성에 관한 지반공학시험을 통한 토질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산사태 발생 유발인자와 관계되는 토질의 물성과 공학특성을 산지별로 구분하여 대비하고 토질물성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시험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대상지역의 토층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입도의 모래 또는 점토질모래로 분류할 수 있다. 특히 조립토와 세립토 함유율이 각각 95%와 5%로 대부분 산지에서 점토함량이 매우 낮으며, 모래를 다량 함유한 토층지반으로 나타났다. 밀도, 액성한계, 그리고 습윤단위중량은 각각 $2.62{\sim}2.67g/cm^3$, 27.93~38.15% 및 $1.092{\sim}1.814g/cm^3$인 것으로 나타났다. 점착력과 내부 마찰각은 각각 4 kPa 및 $35^{\circ}$로서 산지별 큰 차이가 없었으며, 투수계수는 $3.07{\times}10^{-3}{\sim}4.61{\times}10^{-2}cm/sec$로서 보통~빠른 정도의 투수성지반으로 평가되었다. 투수계수는 균등계수와 반비례적 관계이고, 유효입경과는 비례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투수계수와 균등계수 관계식은 산지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는 반면, 투수계수와 유효입경은 산지별로 거의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Mortality: Khon Kaen Cohort Study, Thailand

  • Kamsa-ard, Siriporn;Promthet, Supannee;Lewington, Sarah;Burrett, Julie Ann;Sherliker, Paul;Kamsa-ard, Supot;Wiangnon, Surapon;Parkin, Donald Maxwel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4호
    • /
    • pp.2643-2647
    • /
    • 2013
  • Background: Despite anti-smoking campaigns, smoking prevalence among Thai males aged 30 or older is high, at around 5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mortality in a rural Thai community. Materials and Methods: Subjects enrolled into the Khon Kaen cohort study between 1990 and 2001 were followed up for their vital status until $16^{th}$ March 2012. The death resource was from the Bureau of Policy and Strategy, Ministry of Interior, Thailand. A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to analyse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death, controlling for age, education level and alcohol drinking, and confidence intervals were calculated using the floating risk method. Results: The study recruited 5,962 male subjects, of whom 1,396 died during a median 13.5 years of follow-up. Current smokers were more likely to die than never smokers after controlling for age, education level and alcohol drinking (HR, 95%CI: 1.41, 1.32-1.51), and the excess mortality was greatest for lung cancer (HR, 95%CI: 3.51, 2.65-4.66). However, there was no increased risk with increasing dose of tobacco, and no difference in risk between smokers of yamuan (hand-rolled cigarettes) and manufactured tobacco. Conclusion: Mortality from cancer, particularly lung cancer, and from all causes combined is dependent on smoking status among men in rural Thailand, but the relative risks are lower than have been reported from studies in high income countries, where the tobacco epidemic is more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