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hylactic antibiotic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9초

고등급의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환아에서 급격히 진행된 신반흔 (A Case with Abrupt Progression of Renal Scarring or Abrupt Deterioration of Renal Function Associated with Vesicoureteral Reflux)

  • 김문규;박성은;이준호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5권2호
    • /
    • pp.179-183
    • /
    • 2011
  • 영아때 방광요관역류 환아로 진단된 남아중 2세가 넘어 후천적으로 신반흔이 급격히 악화되는 경우는 드물다. 본 증례는 생후 4개월 때 첫 열성 요로감염으로 입원하여, 왼쪽 5등급 방광요관역류로 진단되었고, 부모가 수술을 원치 않아 2년간 예방적 항생제 요법만 시행받았다. 생후 29개월 때 열성 요로감염이 한 차례 재발하였고, 이후 3년간 추적관찰되지 않았다. 이 후, 5세 때 본원을 방문하여 신장초음파, DMSA 신스캔,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을 재시행받았다. 추적 DMSA 신스캔에서 왼쪽 신상대섭취율이 생후 2세경 38%였으나, 8%까지 떨어졌으며, 왼쪽 방광요관역류는 4등급으로 남아있었다. 현재 방광요관역류의 수술적 요법이 신기능의 예후와 관련이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런 증례를 볼 때, 아직은 신반흔을 동반한 고등급의 방광요관역류 환자들에게 수술적 요법을 권유하는 것이 임상의들에겐 타당하다고 볼 수 있으며, 어떤 치료요법이 선택되어지든 상관없이 첫 요로감염 이후 환자를 장기적인 추적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려된다.

Implementation of 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 (ERAS) Program in Perioperative Management of Gastric Cancer Surgery: a Nationwide Survey in Korea

  • Jeong, Oh;Kim, Ho Goo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1호
    • /
    • pp.72-82
    • /
    • 2019
  • Purpose: Despite its clinical benefits, 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 (ERAS) is less widely implemented for gastric cancer surgery. This nationwide surve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implementation of ERAS in perioperative care for gastric cancer surgery in South Kore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urvey enrolled 89 gastric surgeons from 52 institutions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4 question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ERAS protocols in the management of gastric cancer surgery.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an electronic form sent via email. Results: Of the 89 gastric surgeons, 58 (65.2%) answered that they have knowledge of the concept and details of ERAS, 45 (50.6%) of whom were currently applying ERAS for their patients. Of the ERAS protocols, preoperative education (91.0%), avoidance of preoperative fasting (68.5%), maintenance of intraoperative normothermia (79.8%), thromboprophylaxis (96.5%), early active ambulation (64.4%), and early removal of urinary catheter (68.5%) were relatively well adopted in perioperative care. However, other practices, such as avoidance of preoperative bowel preparation (41.6%), provision of preoperative carbohydrate-rich drink (10.1%), avoidance of routine abdominal drainage (31.4%), epidural anesthesia (15.9%), single-dose prophylactic antibiotics (19.3%), postoperative high oxygen therapy (36.8%), early postoperative diet (14.6%), restricted intravenous fluid administration (53.9%), and application of discharge criteria (57.3%) were not very well adopted for patients. Conclusions: Perioperative management of gastric cancer surgery is largely heterogeneous among gastric surgeons in South Korea. Standard perioperative car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needs to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urgical care and patient outcomes.

이차성 자연기흉 환자에게 폐쇄식 흉관삽입술로 인한 재팽창성 폐부종에 관한 증례보고 (Re-expansion Pulmonary Edema in a patient with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Following Closed Thoracostomy: A Case Report)

  • 오선우;김수완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61-65
    • /
    • 2021
  • Although re-expansion pulmonary edema (RPE) is rare (incidence rate <1%), it is associated with a mortality rate of >20%;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important. We report a case of RPE following chest tube insertion in a patient with spontaneous pneumothorax. We have specifically focused on the mechanism underlying RPE and the possible etiology. An 82-year-old man with a history of chronic anemia,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was referr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management of recurrent right-sided pneumothorax. We performed emergency closed thoracostomy for suspected tension pneumothorax, which led to stabilization of the patient's vital signs; however, he coughed up frothy pink sputum accompanied by severe right-sided chest pain 30 min postoperatively. The patient showed new-onset right pulmonary consolidation on chest radiography, as well as desaturation, tachycardia, and tachypnea and was diagnosed with RPE. He was transferr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for mechanical ventilation and supportive treatment using diuretics, ionotropic agents, and prophylactic antibiotics. RPE gradually resolved, and the patient was extubated 3 days after admission. He has not experienced recurrent pneumothorax or pulmonary disease for 4 months.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PE prevention and that aggressive ventilator care and supportive treatment can effectively treat RPE following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pathogenetic mechanisms and risk factors.

Management of gunshot wounds near the elbow: experiences at a high-volume level I trauma center

  • Umar Ghilzai;Abdullah Ghali;Aaron Singh;Thomas Wesley Mitchell;Scott A. Mitchell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7권1호
    • /
    • pp.3-10
    • /
    • 2024
  • Background: Gunshot-related fractures near the elbow are challenging, and available data to guide the practitioner are lacking. This report analyzes injury patterns and treatment strategies in a case series from a high-volume urban trauma center. Methods: All periarticular gunshot fractures near the elbow treated at a level 1 trauma center from 2014 to 2018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racture location, patient demographics, concomitant injuries, treatment modalities,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wenty-four patients were identified. All patients received prophylactic antibiotics upon admission and underwent urgent surgical debridem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RIF) was performed with initial debridement in 22 of 24 patients. Seven patients sustained distal humerus fractures, 10 patients sustained isolated proximal ulna or proximal radius fractures, and seven had combined fracture patterns. Eleven patients presented with nerve palsy, and two had transected nerves. Two patients had vascular injury requiring repair. One patient required a temporary elbow-spanning external fixator and underwent staged debridement followed by ORIF. One patient with a grade IIIC fracture developed a deep infection that precluded ORIF. One patient required revision ORIF due to fracture displacement. Conclusions: This investigation reports on management of ballistic fractures near the elbow at a busy urban level I trauma center. Our management centered on rapid debridement, early definitive fixation, and intravenous antibiotic administration. We report on associated neurovascular injury, bone loss, and other challenges in this patient population. Level of evidence: IV.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 Chung Hyun Tae;Ju Yup Lee;Moon Kyung Joo;Chan Hyuk Park;Eun Jeong Gong;Cheol Min Shin;Hyun Lim;Hyuk Soon Choi;Miyoung Choi;Sang Hoon Kim;Chul-Hyun Lim;Jeong-Sik Byeon;Ki-Nam Shim;Geun Am Song;Moon Sung Lee;Jong-Jae Park;Oh Young Lee
    • Clinical Endoscopy
    • /
    • 제56권4호
    • /
    • pp.391-408
    • /
    • 2023
  • With an aging populatio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ifficulty in swallowing due to medical conditions is gradually increasing. In such cases, enteral nutrition is administered through a temporary nasogastric tube. However, the long-term use of a nasogastric tube leads to various complications and a decreased quality of life.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is the percutaneous placement of a tube into the stomach that is aided endoscopically and may be an alternative to a nasogastric tube when enteral nutritional is required for four weeks or more. This paper is the first Korean clinical guideline for PEG developed jointly by the Korean College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and led by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These guidelines aimed to provide physicians, including endoscopists, with the indications, use of prophylactic antibiotics, timing of enteric nutrition, tube placement methods, complications, replacement, and tube removal for PEG based on the currently available clinical evidence.

Variation of Practice in Prophylactic Protocol to Reduce Prosthetic Joint Infection in Primary Hip and Knee Arthroplasty: A National Survey in the United Kingdom

  • James Morris;Lee Hoggett;Sophie Rogers;John Ranson;Andrew Sloan
    • Hip & pelvis
    • /
    • 제35권4호
    • /
    • pp.228-232
    • /
    • 2023
  • Purpose: Prosthetic joint infection (PJI) has an enormous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burden on patients. Surgeons rightly wish to minimise this risk. It has been shown that a standardised, evidence-based approach to perioperative care leads to better patient outcomes. A review of current practice was conducted using a cross-sectional survey among surgeons at multiple centers nationwide. Materials and Methods: An 11-question electronic survey was circulated to hip and knee arthroplasty consultants nationally via the BOA (British Orthopaedic Association) e-newsletter. Results: The respondents included 56 consultants working across 19 different trusts. Thirty-four (60.7%) screen patients for asymptomatic bacteriuria (ASB) preoperatively, with 19 (55.9%) would treating with antibiotics. Fifty-six (100%) screen fo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treat if positive. Only 15 (26.8%) screen for methicillin-sensitive S. aureus (MSSA) or empirically eradicate. Zero (0%) routinely catheterize patients perioperatively. Forty-one (73.2%) would give intramuscular or intravenous gentamicin for a perioperative catheterisation. All surgeons use laminar flow theatres. Twenty-six (46.4%) use only an impervious gown, 6 (10.7%) exhaust pipes, and 24 (42.3%) surgical helmet system. Five different antimicrobial prophylaxis regimens are used 9 (16.1%) cefuroxime, 2 (3.6%) flucloxacillin, 19 (33.9%) flucloxacillin and gentamicin, 10 (17.9%) teicoplanin, 16 (28.6%) teicoplanin and gentamicin. Twenty-two (39.3%) routinely give further doses. Conclusion: ASB screening, treatment and intramuscular gentamicin for perioperative catheterisation is routinely practiced despite no supporting evidence base. MSSA screening and treatment is underutilised. Multiple antibiotic regimens exist despite little variation in organisms in PJI. Practice varies between surgeons and centers, we should all be practicing evidence-based medicine.

제왕절개술시 감염예방을 위한 Cephradine자궁내 세척법과 정맥내 주입법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Intrauterine Irrigation and Intravenous Injection with Cephradine at Cesarean Section)

  • 최재동;김종욱;이태형;박완석;이승호;정원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203-210
    • /
    • 1985
  • 1985년 3월 1일부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제왕절개술로 분만한 예중 적응이 되는 예에서 Velosef의 자궁강내 세척을 실시한 30예, 정맥주입을 한 35예와 대조군 35예로 총 100예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수술후 자궁내막염 및 감염의 발생반도를 비교 분석하였고, 연구대상자에 대한 fever index를 산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역학적 변수에서 Velosof 자궁강내 세척군과 Velosef 정맥주입군, 대조군 각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세 연구군은 서로 유사하였다. 2. 감염에 대한 위험인자에서도 각 실험군과 대조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연구집단은 서로 감염에 대한 위험인자 분포가 유사하였다. 3.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에 있어서도 각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며, 기왕제왕절개술, 아두골반불균형, 둔위 등의 순서로 많았다. 4. 수술후 자궁내막염의 발생반도는 대조군보다 정맥주입군과 자궁강내 세척군이 낮았으며 특히 정맥주입군은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x^2$=6.248, d.f.=1, P<0.05). 5. 자궁내막염을 포함한 수술후 감염에서도 정맥주입군, 자궁강내 세척군에서 대조군보다 낮은 발생빈도를 보였으며, 특히 정맥주입군에서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x^2$=5.352, d.f.=1, P<0.05). 6. Fever index는 자궁강내 세척군, 정맥주입군 모두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3.251, d.f.=68, P<0.05). 7. 수술적응증에 따른 수술후 자궁내막염 발생 빈도에서, 특히 기왕제왕절개술과 아두골반불균형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8. 감염에 대한 위험인자 별 자궁내막염 발생 빈도에서는 진통이 있는 경우, 6 시간 이상의 양수파막, 5번 이상의 내진, 응급제왕절개술의 경우에 대조군보다 각 실험군에서 자궁내막염 발생 빈도가 현저히 낮았다. 9. 연구대상의 fever index산포도에서 임상적으로 자궁내막염으로 진단된 경우 높은 fever index 수치를 보였다.

  • PDF

Group B β-hemolytic Streptococcus에 의한 소아 감염증의 임상상 (Clinical Features of Group B β-hemolytic Streptococcal Infection in Infants and Children)

  • 김윤경;곽영호;김예진;정혜선;홍정연;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6권2호
    • /
    • pp.194-202
    • /
    • 1999
  • 목 적 : 이전까지는 국내에서 발생 증례가 적었던 GBS 감염증이 최근에는 자주 접하게 되었다. 이에 최근 수년간의 발생 증례에 대한 고찰을 하여 그 임상적, 역학적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85년 6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소아과에서 균이 증명된 GBS 감염증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분려된 일부 균주의 혈청형과 항균제 감수성을 경시하였다. 결 과 : 기간 별 증례 수를 비교해 보면, 1990년대 후반에 그 이전보다 증례가 많았다. 총 27례중 25례가 신생아 감염증이었고, 지발형이면서 뇌막염인 증례가 많았다. 혈청형은 III(6균주), Ib(6), Ia(1)와 II(1)였다. 검사된 10개의 항균제에 대하여 모든 균주가 감수성을 보였다. 결 론 : 국내에서 신생아 GBS 감염증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신생아 패혈증 또는 뇌막염의 원인균으로서 GBS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향후 빈도가 더욱 증가하면 산모에게 산전 검사와 예방적 항생제 요법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 수두증 환자의 치과적 관리 (Dental Management of Pediatric Hydrocephalus)

  • 김미준;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8-234
    • /
    • 2017
  • 수두증은 뇌척수액이 비정상적으로 뇌실 혹은 두개강 내에 축적되는 것으로, 큰 머리둘레와 성장 지연, 지능 발육 저하, 영구치의 발육 속도 차이, 악안면 비대칭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뇌실 - 복강 단락술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료법이고 복강에 문제가 있는 경우 다른 단락술이 시행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소아 수두증으로 인하여 뇌실 - 복강 단락술을 받은 병력이 있는 7세 6개월 환자의 치과적 관리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환자는 유구치의 깊은 우식과 하악각 부위의 안면 부종이 관찰되었으며, 큰 머리 둘레와 신체적 및 정신적 발달 지연을 보였다. 아산화 질소 흡입 진정과 가벼운 보호 안정 하에 치수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예방적 항생제는 필요로 하지 않았다. 최근 검진 시까지 치료받은 부위는 잘 유지되고 있었으며 향후 전반적인 구강위생 및 영구치의 발육 정도, 악안면부의 비대칭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진 받을 예정이다. 단락술을 받은 병력이 있는 수두증 환자들은 치과 치료 시, 단락 장치의 도관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도관의 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하고, 뇌실 - 심방 단락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예방적 항생제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신경외과로의 의뢰가 추천된다. 수두증 환자들은 성장하면서 악안면부의 비대칭과 영구치의 발육 수준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찰이 요구된다.

우리나라 어린이 요로 감염의 치료 행태 (Treatment for Urinary Tract Infection of Children in Korea)

  • 강희경;김광명;정해일;최황;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5권1호
    • /
    • pp.15-21
    • /
    • 2001
  • 목 적 : 요로감염은 어린이에서 중요한 신요로계 질환으로 빠르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로 신장 손상의 위험을 줄이고 불필요한 검사와 치료를 피할 수 있다. 저자들은 우리나라 어린이 요로감염 치료의 개선을 도모하는 첫걸음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요로감염의 진단, 치료, 영상 검사와 예방에 관한 진료 행태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전국의 소아신장전문의와 비뇨기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요로감염의 진단, 치료, 영상검사, 예방의 진료형태를 조사하였다. 결 과 : 응답자들은 대부분 신생아에서는 소변 채취용 백을, 이후에는 중간소변 채취를 이용하여 소변 배양 검사를 하였고, 소변 배양검사가 음성인 경우에는 농뇨, nitrite 양성, 세균뇨 등의 소견을 보일 때 요로감염이라고 판단하였다. 요로감염 후에는 80$\%$가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하였다. 방광 요관 역류가 있는 환아에서는 1-2세 이상의 환아가 고도의 방광 요관 역류를 보이거나 예방 요법 중에도 요로감염이 발생할 때 수술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그 기준에는 차이를 보였다. 대부분이 요로감염 진단시에 신장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과반수에서 각각 다양한 시기에 배뇨 방광 요도 조영 검사와 DMSA scintigraphy를 시행하였다. 포경 수술은 대개 권하지 않았으며 반수에서 방광 요관 역류 환아의 형제에 대한 선별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론 : 이 보고에서 밝혀진 다양한 치료 행태로 보아, 어린이 요로감염 치료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체계적인 진료 방침의 고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